반응형 질병7 토양 미생물은 식물이 질병에 저항하도록 돕는다 식물은 질병이 발생하면 자가격리를 할 수 없지만, 친구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다. 이로운 토양 미생물이 여러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미국 텍사스 A&M AgriLife의 과학자들은 옥수수가 병원균을 방어하는 데 이로운 균류가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 밝혔다. 그 결과가 The Plant Cell 1월호에 발표되었다. 연구를 주도한 것은 텍사스 A&M 대학 농생명과학의 식물병리학 및 미생물학 박사 Michael Kolomiets 씨이다. 연구비는 미국 농무부 국립 식량농업원(National Institute for Food and Agriculture)에서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식물 면역의 신비한 측면을 밝히고 더 생산적인 곡식 작물의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신중히 작물을 선발, 육종하면.. 2020. 4. 9. 위틀라코체 옥수수의 맛을 버섯처럼 만드는 멕시코 균류의 별미 아즈텍의 농민들은 검푸른 포자가 옥수수를 뒤덮었을 때 그리 걱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기뻐했다. 그건 병원성 균류인 Ustilago maydis에 옥수수가 감염된 위틀라코체huitlacoche인데, 버섯 같은 풍미를 내고 훌륭한 케사디아 소가 된다. 위틀.. 2019. 7. 1. 작물다양성의 중요성 밀의 원산지라고 일컬어지는 에티오피아는 그런 만큼 다양한 밀 품종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유전적 다양성 때문에 특정 질병에 대응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지요. 다양한 품종을 보전하는 일이 중요한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생산성만 최고의 가치로 여기.. 2018. 2. 13. 비를 타고 확산되는 질병 식물의 질병은 어떻게 비나 물을 주는 일을 통해 전파되는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된 미국 MIT 기계공학과의 정영수 연구원과 컬런 뷰이 조교수의 연구 결과가 그에 대한 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아래의 사진처럼 빗방울이나 물방울이 다공성 표면(지.. 2017. 6. 28. 식물들의 방어 체계 식물들도 알면 알수록 놀라울 뿐이다.식물 자신에게 해충 등이 발생하면 그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적인 노력도 기울이는 한편, 주변의 동료들에게도 자신들만의 수단으로 위험 상황을 알려 방어체계를 갖추도록 돕는다고 한다.병해충이 발생하는 걸 막고자 간단하고 빠르며 편한 수단으.. 2017. 4. 11. 메소포타미아의 작물 관개가 질병을 퍼뜨렸을 수도 있다 유프라테스강 랜싯 전염병(Lancet Infectious Diseases)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시리아 유프라테스강의 선사시대 마을에 있는 6200년 전의 무덤에서 주혈흡충증을 일으키는 기생충의 알을 발견한 것이 중동에서 농업 관개체계가 질병을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는 첫 번째 증거가 될 수 있다고 한다... 2014. 6.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