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딧물4

개미는 농사에 이롭다 매우 흥미로운 연구결과. 저 거뭇거뭇한 것이 바로 개미의 똥.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의 연구진이 사과 유기농업과 관련하여 개미와 식물의 공생관계를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개미는 진딧물을 지켜서 농사에 해가 되는 나쁜놈들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개미가 진딧물을 사육하는 건 .. 2017. 9. 8.
지렁이와 식물의 성장 지렁이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이다. 흙속에 지렁이가 존재하면 확실히 식물의 성장이 더 나아지고, 질소의 함량도 높아진다고 한다. 식물과 벌레와의 관계는 좀 복잡한 양상인데, 식물의 총채벌레에 대한 저항성은 높아지지만 진딧물에게는 오히려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식물이 .. 2017. 8. 22.
복숭아혹진딧물 귀엽게 생긴 복숭아혹진딧물을 봅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068&cid=40942&categoryId=32518 귀여운 외모와 달리, 농사에서 이놈이 참으로 골치가 아픈 건... 조사 결과 70여 가지의 살충제에 내성이 있어 약을 쳐도 잘 죽지 않고, 또 다른 놈들과는 달리 야생식물에 건너가서도 살 수 있.. 2017. 2. 17.
진딧물을 조종해 확산되는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감염을 확산시키고자 진딧물이 찾아오게 하려고 식물의 생화학을 변화시킨다 BBSRC의 자금을 받은 캠브리지 대학의 연구진은 바이러스가 이미 감염된 작물에 영원히 정착하여 곤충들의 기를 꺾고, 건강한 작물에 감염을 확산되도록 진디를 앞잡이로 이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 2013.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