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매우 흥미로운 연구결과.


저 거뭇거뭇한 것이 바로 개미의 똥.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의 연구진이 사과 유기농업과 관련하여 개미와 식물의 공생관계를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개미는 진딧물을 지켜서 농사에 해가 되는 나쁜놈들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개미가 진딧물을 사육하는 건 사실 달콤한 꿀물 때문이다. 이러한 입맛을 이용해 식물들이 개미에게 꿀을 제공하고, 그들을 유인해 자신에게 붙는 해로운 곤충들을 쫓아내기도 한다는 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작물이란 범주에서는 이러한 작용이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이번에 실험실에서 베짜기개미들을 커피나무와 함께 살게 하고 관찰했는데, 개미들이 나무를 해로운 곤충에게서 지키는 역할 이외에도 엽면시비를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는 걸 발견했단다. 개미들이 이런저런 걸 먹고 나뭇잎에다 똥을 싸면, 식물이 잎을 통해 그 똥에서 질소를 섭취하여 성장에 활용한다는 내용이다.

재미나다. 개미를 이용한 과수 농사도 재미나겠다.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1365-2745.12841/full

728x90
728x90

지렁이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이다.
흙속에 지렁이가 존재하면 확실히 식물의 성장이 더 나아지고, 질소의 함량도 높아진다고 한다. 식물과 벌레와의 관계는 좀 복잡한 양상인데, 식물의 총채벌레에 대한 저항성은 높아지지만 진딧물에게는 오히려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식물이 더 잘 자라서 맛있으니까 진딧물이 더 꼬이는 걸까? 아무튼 재미나네. 요약 부분을 엉터리이지만 옮기면 다음과 같다.

http://onlinelibrary.wiley.com/…/1…/1365-2435.12969/abstract


요약

1. 지렁이 같은 땅속의 부식성 생물은 굴을 파고 똥을 싸는 활동으로 토양 양분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지렁이가 원인이 되는 이러한 변화가 식물의 자람새와 초식동물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탐구했지만, 아직까지 이 논문들이 공식적으로 집계되지는 않았다.

2. 우린 2016년까지 발표된 논문들의 메타 분석을 수행해, 식물의 성장과 초식 곤충에 대한 저항 및 화학적 방어에 지렁이가 미치는 영향을 공식적으로 실험했다. 또한 지렁이가 식물의 성장과 저항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에 대한 연구들 사이의 변화를 설명하는 생태적 요인도 탐구했다. 

3. 우린 지렁이의 존재가 식물의 성장(20%까지)과 질소 함량(11%까지)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전반적으로 지렁이는 씹어 먹는 초식동물(애벌레, 민달팽이, 뿌리벌레류)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심지어 체관부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초식동물(진딧물)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은 22%나 떨어지기까지 했다. 하지만 지렁이의 존재는 식물이 세포를 먹어치워 공격(총채벌레류)을 당할 때 화학적 방어력을 31%까지 높였으며, 그 결과 총채벌레에 대한 저항력이 81% 증가했다. 지렁이가 미치는 효과의 강도는 생태적으로 여러 종이 혼합되고 지렁이의 밀도가 높을 때 더 컸다. 

4. 이러한 결과는 지렁이의 존재가 초식동물에 대한 식물의 방어에 자연적 변이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며,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모두에서 식물-초식동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에 토양생물의 더 나은 통합을 요구하는 바이다.


728x90
728x90

귀엽게 생긴 복숭아혹진딧물을 봅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068&cid=40942&categoryId=32518


귀여운 외모와 달리, 농사에서 이놈이 참으로 골치가 아픈 건... 
조사 결과 70여 가지의 살충제에 내성이 있어 약을 쳐도 잘 죽지 않고,
또 다른 놈들과는 달리 야생식물에 건너가서도 살 수 있어 약을 쳐도 잠시 도망갔다가 다시 찾아올 수 있고, 
또 작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여러 바이러스를 퍼뜨린다는 점.

귀엽게 생기고 볼 일이다.






728x90
728x90

바이러스는 감염을 확산시키고자 진딧물이 찾아오게 하려고 식물의 생화학을 변화시킨다 



BBSRC의 자금을 받은 캠브리지 대학의 연구진은 바이러스가 이미 감염된 작물에 영원히 정착하여 곤충들의 기를 꺾고, 건강한 작물에 감염을 확산되도록 진디를 앞잡이로 이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진디는 여러 유형의 식물을 공격하고 작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매개체가 되는 수액을 빨아먹는 곤충이다. 작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진디가 찾아오도록 식물의 냄새와 맛 같은 생화확을 변화시킨다. 이는 건강한 작물로 바이러스를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퍼뜨리는 원인이 되어, 곤충을 쫓아버린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의 농업에 중요할 수 있다. 다양한 기관과 함께 일하는 John Carr 박사와 동료들은 중요한 작물에서 진디를 유인하는 식물을 배치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을 막아 자원이 빈약한 농민들의 생계를 돕고자 하고 있다. 



About this research, Dr Carr said: "The work started almost accidentally when about five years ago a student and I noticed that aphids became sick or died when confined on a virus-infected plant. It's an illustration of how research driven by curiosity can lead to findings that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in the real world – in this case in combating crop-damaging insects and the viruses they transmit."

The Cambridge team collaborated with researchers at Imperial College, London, using Arabidopsis plants as hosts and monitoring the effect that the crop-infecting cucumber mosaic virus had. It was observed that the virus launched a concerted attack on the plant's immune system whilst concurrently altering its biochemistry; in this way, the weakened Arabidopsis plant was unable to fight off either its attacker or visiting aphids. The aphids, instantly repelled by the smell and taste of the plant, left for healthier plants, but not before landing on the plant and contracting the virus. In this way, the mosaic virus ensured that the spread of the infection would be self-sustaining and highly efficient.

This research focuses on an example of what evolutionary biologist Richard Dawkins has called the 'extended phenotype'. For Dawkins, the word 'phenotype' (the traits of an organism) should not be limited solely to biological processes, but should also be used to describe all effects that a gene has on the organism or environment in which it exists, or other organisms nearby. In this case, it was discovered that a virus influences the infected host, the Arabidopsis plant, and forces the host to change in a way that is beneficial to the parasite.

This revolutionary research has been done as part of a £16M Sustainable Crop Production Research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SCPRID) initiative to use bioscience in the improvement of food security in developing countries. Bioscience is playing an increasingly crucial part in meeting the challenges of feeding an ever-expanding population, projected to increase to 9 billion people by 2050. By developing ways to mitigate pest impact and reduce the spread of parasites, scientists are working to ensure successful harvests, now and in the future.

The study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PLOS onE.

ENDS

Notes to editors

The paper 'A trio of viral proteins tunes aphid-plant interactions in Arabidopsis thaliana' is published in PLOS onE. DOI: 10.1371/journal.pone.0083066

This work is funded by the Leverhulme Trust and the Sustainable Crop Production Research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SCPRID) programme, which is funded by the 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BBSRC), the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and (through a grant awarded to BBSRC) 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The Cambridge team worked with groups at Rothamsted Research (UK), Biosciences eastern and central Africa - Inter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Hub (BecA-ILRI Hub), Nairobi, Kenya, and the Eastern and Central Africa Bean Research Network (ECABREN) coordinated by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Tropical Agriculture (CIAT), Kampala, Uganda.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