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9 제주의 지하수 문제 사회 시간에 배웠듯이 제주는 화산섬이라 물이 풍족한 곳이 아니다. 그런 곳에서 요즘 지하수를 활용해 중산간에서도 농사를 짓고 그런다. 그런데 최근 지하수를 너무 남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기사를 보니 한달에 5천원만 내면 마음껏 써도 된다고 한다. 지.. 2017. 6. 21. 질산염으로 인한 식수의 오염 오늘 아침에는 미국 미네소타에서 올해 초, 질산염이 식수까지 오염시킨다는 소식을 보았다. 그래서 혹시나 하고 찾아보았더니, 이미 미국의 산업형 농축산업이 발달한 곳에서는 질산염으로 인한 식수 오염 문제가 인식되고 있었다.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377510 그런데 문제.. 2015. 11. 19. 제주의 지하수 이용량 2013. 8. 21. 잃어버린 둠벙을 찾아서 둠벙이란 단어를 처음 들었던 것은 6~7년 전쯤이었다. 논에 붙어 있거나 논 안의 한 귀퉁이에 있는 웅덩이에서 물고기나 개구리를 잡아서 먹었던 기억 속에서나 존재하던 것이 비로소 제 이름을 얻는 순간이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지역마다 덤벙(경북), 둠뱅·툼벙(전남), 둠벙(경기, 충청.. 2013. 6. 27. 제주의 지하수 문제가 하나둘 나타나고 있다 우려했던 대로 제주의 지하수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용천수 941개소 가운데 1/3에 해당하는 346개소가 수량 부족과 주변 훼손 등으로 완전히 기능을 상실했다고... 여기에 농축산업이 한몫을 하리라는 건 의심할 여지가 없다. 중산간 지방에까지 펼쳐져 있는 관개시설을 갖춘 밭들, .. 2013. 1. 17. 제주의 지하수 문제 아래 기사는 제주에서 새로운 관정을 개발했다는 소식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기존 3개의 관정에서 염분이 유출되었다는 점, 새로운 관정을 뚫어 3.8km를 이동시켰다는 점이다. 기존 관정에서 염분이 유출되었다는 건 지하수를 너무 퍼올려서 지하수가 말라버렸다는 뜻이다. 그래서 그.. 2012. 8. 1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