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9 북한에도 우렁이 농법이 있다 북한에서도 우렁이를 이용한 벼농사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https://m.yna.co.kr/view/AKR20191114171100504? 2019. 11. 15. 제초 로봇 제초 로봇 기술이 여기까지 왔다. 언젠가 상용화가 되겠구나 싶네. 2019. 7. 12. 유기농업의 김매기 일본의 한 유기농 농부가 발명한 "호킹"이란 제초 방법. 호킹은 빗자루(ほうき)라는 일본어에 현재진행형을 나타내는 영어의 'ing'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다. 그러니까 한국어로 옮기자면, "비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제초법으로 논밭에서 벼와 밀, 보리, 잎채소 등의 그루가 자라고 있는 .. 2018. 4. 11. 호밀 - 콩 농법의 효과 입증 요즘 미국에서 유전자변형 대두, 특히 제초제 저항성 대두를 심으면서 가장 골치 아픈 것이 바로 풀이라고 한다. 그동안 열심히 글리포세이트 계통 제초제를 살포한 결과 그에 내성이 생긴 풀들이 우후죽순처럼 발생해서 그렇다고 한다. 특히 명아주 종류들이 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이.. 2017. 11. 21. 덮개작물이 풀을 이기는 방법 들어가며덮개작물을 재배하면 몇 가지 방법으로 풀을 이길 수 있다. 직접 경쟁타감작용(Allelopathy)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물질을 방출풀씨가 싹트는 걸 막는 자극제토양의 미생물 군집을 바꾸어 특정한 풀에게 불리하도록 만듦덮개작물을 갈아엎고, 베고, 말아 버리거나 여러 방법.. 2017. 4. 21. 유전자변형 작물이 안고 있는 문제의 핵심은 바로 농사이다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안전성에만 집중하다가는 문제의 핵심을 놓치기 쉽다. 유전자변형 작물을 개발하여 재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풀 문제'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미국에서 재배되는 유전자변형 콩의 거의 대부분 -90% 이상- 이 제초제 저항성 작물이고, 옥수수와 면화의 경우에도 .. 2015. 7.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