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급6

소규모 유기농부를 위한 안내서 캐나다의 한 농부가 쓴 재미난 책을 찾았다. <Market Gardner>가 그것이다. http://www.themarketgardener.com/ 제목부터 재밌다. 자급으로 먹고 살 수 있는 세상이 아닌데 '시장'을 배제한 채 살아가기는 힘들다. 그렇다면 시장을 현명하게 이용하자. 마켓 가드너, 즉 시장형 텃밭농부는 그러한 뜻을.. 2015. 4. 24.
중국의 유전자변형 쌀 시식회 식량안보 문제로 유전자변형 작물의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중국 정부. 현재까지는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 작물의 위해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인간이 먹기보다는 가축의 사료용으로 쓰는 국가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요즘은 골든라이스를 위시하여 인간이 주식으로 이용하는 작물까지.. 2015. 2. 11.
아프리카의 비옥한 농지가 세계를 먹여살릴 수 있을까 에티오피아의 기근이 발생하기 쉬운 고원에서 농기구와 가축을 이용하여 한 가족이 밀을 수확하고 있다. 교육은 소농이 더 효율적적으로 일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밀 수확량은 여전히 세계 평균의 1/3 이하이다. 에티오피아 인구의 1/3 이상이 영양부족 상태이고, 정부에서는 이를 줄이고.. 2014. 6. 29.
실험실에서 만든 고기가 아프리카의 식량을 보장하지 못한다 앞으로 어떤 미래를 열어줄지 모르지만, 한마디로 엉뚱한 곳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여기에 투자할 돈을 아프리카 농민들이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하면 어떨까? 특히 소농과 생태농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체와 개인들에게 말이다. 여기.. 2013. 8. 7.
텃밭으로 자급과 함께 소득도 올리는 미국의 도시농부 Dervaes(63) 씨는 10년 전 가족에게 건강한 먹을거리를 먹이기 위하여 텃밭 농사를 시작했다. 그는 로스엔젤레스 중심가에서 15분 거리에 있는 자신의 120평 크기 텃밭에서 1년에 2700kg 이상의 먹을거리를 생산한다. Dervaes 가족은 400종 이상의 식물을 재배하여 1950kg의 농산물과 달걀 900개, 오리.. 2013. 6. 26.
자급하려면 땅이 얼마나 필요? 외국에서 만들어진 자료라 우리와 조금 거리가 있지만, 이런 시도가 우리에게도 필요하지 않을까? 4인 가족이 자급하려면 에너지는, 땅은, 농사는, 가축은 얼마나 있어야 먹고 살 수 있는 것일까? 일단 외국은 아래와 같은 규모이면 가능하다고 본다. 우리는 과연? 그 답을 찾아야 하는데... 2011.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