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제강점기17 여성을 위한 농작업복 농촌에 가서 보면 다들 입고 일하는 옷이 후줄근하다. 특히 할머니들 옷은 몸빼로 통일이라도 한 듯하다. 몸빼. 그 바지는 어떤 바지인가? 일제강점기 여성들의 작업복으로 보급이 된 옷이 아니던가. 그 옷이 100년 넘게 계속 작업복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도 농작업복에 패션.. 2016. 5. 3. <조선농민> 1호, 농민 과학 강좌 -벽타술 제1과사람과 밥쌀과 떡쌀1오곡은 우리 사람의 목숨을 살려주는 귀중한 물품이올시다. 그 가운데도 쌀이라는 것은 우리 동양 사람의 피가 되며 살이 되며 또 뼈를 굵게 하는 물품입니다. 일시도 없어서는 안 될 긴요한 것이올시다. 쌀에는 메벼쌀과 찰벼쌀이 있으며 또 같은 메벼쌀에도 논.. 2016. 2. 28. 2008년 한중일 농업사학회 발표자료 http://www.agri-history.kais.kyoto-u.ac.jp/East-Asian2008/proceedings.pdf P-1 岩本純明 (도쿄농업대학) 근대 일본의 공업화와 농업 부문 P-2 구자옥(전남대 명예교수), 이은웅(서울대 명예교수), 이병렬(한국 기상청) 한국의 벼농사 재배 및 품종의 변천사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P-3 王思明(난징농업대학 .. 2013. 7. 10. 마지기는 몇 평인가? 경기도 군포에 소재한 귀농운동본부의 실습 논. 여기만 총 600평이다. 이 정도만 해도 까마득하지 않은가? 사람들이 주르륵 늘어서서 그렇게 보이지, 기계로 하면 금방이다. 어제 이야기를 나누다가 정보(3000평)-단보(300평)-무보(30평)는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면적 개념으로, 일본이 서양의 .. 2013. 7. 10. 일제강점기 쌀 생산량과 인구 1914년부터 1933년도까지의 쌀생산과 관련한 당시 일본인의 논문이 있어 그 논문에서의 그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년도 쌀생산량 (만석) 단보당 생산량(석) 일본반출량 (만석) 반출율 조선내 쌀소비량(만석) 1인당 연간 쌀소비량(석) 일본 조선 1914 1,413 0.952 114 8% 1,299 0.98 0.69 1915 1,285 0.858 221 17%.. 2013. 1. 25. 일제강점기 작물별 재배면적 朝鮮ニ於ケル主要作物分布ノ狀況 조선총독부 권업모범장 1923년 2012. 7. 1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