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간5

대담 유라시아의 풍토와 농업 유라시아 농경사 권1 대담 유라시아의 풍토와 농경 사사키 타카아키佐々木高明 사토 요우이치로佐藤洋一郞 풍토와 농경 사토; 오늘은 많은 사람이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사키 선생에게도 참석해 주셔서 매우 고맙습니다. 시간이 없기 때문에 빨리 시작하겠습니다. 우리의 연구 프로젝.. 2018. 5. 2.
중앙아메리카에서 고추를 작물화하며 생긴 화학적 방어능력의 변화 Jose de Jesus Luna-Ruiz1*, Gary P. Nabhan2 and Araceli Aguilar-Meléndez31Centro de Ciencias Agropecuarias, Universidad Autonoma de Aguascalientes, Aguascalientes, Mexico2The Southwest Center,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AZ, United States3Centro de Investigaciones Tropicales, Universidad Veracruzana, Xalapa, MexicoWe propose that comparisons of wild and domesticated Capsicu.. 2018. 4. 25.
와츠지 데츠로와 풍토 유라시아 농경사 권1 기고 4 와츠지 데츠로和辻哲郞와 풍토 -풍토론의 가능성을 열며 쿠라타 타카시鞍田崇 풍토는 이 시리즈 <유라시아 농경사> 전체를 꿰뚫는 핵심어의 하나이다. 광대한 유라시아 대륙과 그 주변의 각지에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가 생성되어 전개되었는데, 그.. 2018. 4. 16.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서장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들어가며 왜 지금 농경인가 인간은 왜, 농경이라 하는 '귀찮은' 일을 시작한 것일까? 그 전의 생업인 '수렵채집'과 어째서 결별하게 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답은, 사실 필요 없다. 여러 가지 가설은 있지만 모두 '넘고처지어' 결.. 2018. 3. 27.
농사와 두개골의 변화 수렵채집보다는 농사, 특히 치즈의 출현과 함께 인간의 두개골 모양도 변화했다는 연구결과. 부드러운 음식을 먹으면서 그런답니다. 일본에 가서 수많은 교정전문치과를 보며 놀란 기억이 있는데, 요즘은 한국도 그런다. 이런 것도 모두 먹을거리에서 오는 영향일까?http://blogs.ucdavis.edu/egg.. 2017.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