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추에 병 하나 없이 깨끗함. 이건 초록물의 효과일까? 


호박은 별로 달리는 게 없음. 


오이는 오늘 잔뜩 땄다. 반 푸대는 되겠다.



토마토는 이례적으로 사상 최초로 병으로 시들거림. 


고구마는 폭풍 확산 중. 거기에 섞어짓기하는 조도 이삭이 나와 잘 크고 있음.



기장은 이삭이 나와 조금씩 익어가고 있다. 이걸 새들에게서 어떻게 보호할지 걱정이 되기 시작.



콩은 무럭무럭 자라서 꽃이 피었음. 하얀꽃과 보라꽃.



팥은 튼실하게 자라고 있음. 


녹두는 이제 꽃이 피면서 하나씩 꼬투리가 달리기 시작. 



밭벼는 아직 이삭이 패지 않았음. 논벼들은 벌써 이삭이 패기 시작하던데 좀 늦다.



이상 오늘의 텃밭.




마지막으로 텃밭 지킴이... 사마귀...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이 왔다  (0) 2014.03.02
기장 수확  (0) 2013.08.26
환삼덩굴과 놀다  (0) 2013.07.27
토종 자주감자 수확과 맛  (0) 2013.07.02
복슬황차조  (0) 2013.06.28
728x90

네팔의 벼농사 모습을 보자.


먼저 지난해 잘 갈무리해 놓은 볍씨를 꺼내 못자리를 만든다.





못자리에서 모가 어느 정도 크면 물을 떼서 말린 뒤 모내기를 위해 모를 찐다.

적당한 크기로 모를 쪄서 단을 묶어 놓으면 됨. 

그런데 이게 보통 일이 아니다. 뿌리가 쫙 흙을 붙들고 있어서 잘 안 떨어진다는 것이 힘듦.

바랭이나 피 같은 풀을 뽑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보면 된다.






모를 쪄서 단으로 묶어 놓으면 그걸 모내기하는 논으로 나른다. 

논 여기저기에 적당한 간격으로 던져 놓음. 그것은 모내기 할 때 동선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이다.





모내기를 하기 전에는 이렇게 논에 거름도 좀 내다가 펼치고...





논도 쟁기질로 갈아엎은 뒤 물을 담아 잘 나라시(물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바닥을 고르게 만드는 일) 해야 한다. 

일제강점기에 나라시라는 말이 널리 퍼져서 아직도 쓰는 분들이 많다. 나부터라도 안 써야지.

네팔의 이 지역에서는 겨리 써레로 바닥을 고르게 써린다.





그러고 나면 모내기에 들어간다. 

논 옆에 있는 소쿠리에 쪄 놓은 못단을 담아서 옮겼나 보다.





조선에 들어온 일본인들이 본 조선의 모내기도 이러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못줄을 잡고 모내기하는 걸 옛날 방식의 농사로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못줄을 이용한 줄모 내는 방식은 일제강점기 근대 농업이 들어오면서 퍼진 농법이다.

예전에는 못줄을 띄우지 않고 막모라는 걸 냈다.

그건 오로지 경험이 많은 농부의 감에 의존하는 농법이다.

어찌 보면 규격화되지 않은 낙후된 농법이라 할 수도 있고, 어찌 보면 아주 효율적인 농법이라 할 수 있다.

전적으로 모를 내는 사람의 연륜과 경험, 기술에 의존하기에 그렇다. 사람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는 말이다.

근대 농법은 사람보다 체계와 규격 등이 더 중요해진다. 체계와 규격에 맞추어 교본대로 농사를 짓기만 하면 된다. 더하고 말고도 없다. 딱 그대로 따르면 예상했던 만큼의 결과가 나온다.

근대 기술이란 것이 모두 그렇지 않은가.





벼를 수확해서 마당에서 잘 말린다. 

벼의 건조 과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밥맛이 달라진다.

일본의 밥맛이 좋은 이유는 이걸 과학적으로 분석해서 최고의 밥맛을 내는 조건을 잘 맞추기 때문이다.





잘 말린 벼는 방아를 찧어 쌀로 만든다.

거기에서 검불과 싸라기 등을 분리해 내야 하는데...





이렇게 키질을 하면 된다.

보기에는 간단해도 막상 해보면 정말 어려운 기술이다.

채소 농사는 심어서 재배하는 과정이 어렵다. 수확해서 먹는 과정은 정말 간단하다.

반대로 곡식 농사는 심어서 재배하는 과정이 쉽다. 하지만 수확해서 먹는 과정이 정말 까다롭다.





마지막으로 오이밭에서 참을 준비하는 모습.

이것은! 한국의 토종 오이랑 똑같다. 네팔의 오이도 조선오이와 같은 계통이었어.

마운틴 듀가 인상적이네.




728x90
728x90

여행을 가면 맛난 음식을 먹으로 식당에만 갈 것이 아니라, 그 음식을 만드는 재료를 파는 시장에 가 보라. 더 나아가 그 농축산물을 재배, 사육하는 농가에 가서 보고, 농민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더욱 좋다. 

여행을 가면 빼놓지 않고 들르는 곳이 마트나 시장의 농산물 판매점이다. 


이번 일본 여행(오사카-교토)에서도 교토의 슈퍼마켓에 들러 어떤 농산물들을 판매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과 비슷하면서 다른, 무척 재밌는 구경이었다.



먼저 딸기, 이치고이다. 일본의 딸기야 달고 맛있기로 유명하다. 로열티 문제만 아니었으면 지금도 한국의 딸기는 대부분 일본 품종을 가져다 재배했을 것이다. 지금은 한국에서 육종한 딸기로 바뀌고 있는 추세. 과일과 관련해서 한국은 일본에게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딸기 한 팩에 698엔, 한화로 9000원 돈이다. 비슷한가? 후쿠오카에서 재배한 것이니 운송비도 더해졌을 테고, 아무튼 결코 싸지는 않다. 





다음은 당근. 일본에서는 당근을 인삼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진짜 인삼은 '고려인삼'이란 이름으로 부른다. 마치 제주도에서 고구마를 '감자'라 부르고, 감자를 '지실'이라 부르는 것과 비슷해 보인다. 일본의 뿌리채소들은 그 흙의 물리성 때문인지 길쭉길쭉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당근은 짧고 통통한 모양인데, 일본은 쭉 뻗고 얄쌍하다. 품종의 차이 때문인지 토양의 차이 때문인지는 더 자세히 알아봐야겠다. 한국에선 화산토 지역은 당연히 제주도인데, 제주산 당근과 또 생김이 다르다. 제주도 어느 지역이냐에 따라 또 흙이 다르니 단순 비교는 힘들겠다. 148원, 한화로 2000원 돈으로 한국에서 팔리는 당근에 비해 꽤 비싼 편이다. 무게가 그만큼 차이가 나서 그럴지도...




일본 하면 다꽝! 다꽝 무! 역시나 무가 길쭉하다. 무를 길러 보면 흙이 어떠냐에 따라 무의 모양이 달라진다. 단단한 흙에서는 몽뚱하게 자라고 부드러운 흙에서는 길쭉하게 자란다. 그런데 이 무는 도대체 어떤 흙에서 자랐기에 이렇게 길쭉하단 말인가. 무 재배농가를 찾아가 보고 싶다. 





하지만 무가 길쭉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다. 동글동글한 것도 있는데, 이렇게 생겼다. 이런 형태도 일본에서 널리 재배하는 것이다.





미야자키현에서 재배한 오이고추. 한국에선 오이고추라고 부르는데 일본에서도 따로 그런 이름이 있는지 모르겠다. 오이고추가 분명 일본에서 건너왔을 것 같다는 느낌적 느낌이다.  





오이다. 오이마저 길쭉하다. 무슨 오이가 이렇게도 길쭉하다냐. 달라, 달라, 한국과 달라도 너무 달라. 오이소박이를 담그는 오이가 그나마 길쭉한 편인데, 이에 비교하면 몽툭하다. 





이건 도대체 뭐다냐? 콩나물도 아니고 콩 싹을 먹는다! 이걸 데쳐서 나물로 먹는가 보다. 한국에선 콩에 물을 줘서 뿌리가 자라게 하여 그걸 먹는 데 반해, 일본에선 콩에 물을 줘서 줄기가 자라게 한 다음 그 싹을 먹는다. 같은 콩으로도 활용하는 방법에선 이렇게 차이가 난다. 





마늘쫑 먹는 건 한국과 똑같구만. 그런데 마늘이 난지형인가? 마늘쫑이 엄청나게 굵다. 한국에서 팔리는 마늘쫑과는 같은 마늘쫑이지만 생김새가 다르다. 





삼도콩. 아마 3번을 심을 수 있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인 듯하다. 한국에도 이런 콩 종류에 세벌콩, 세불콩 등의 이름이 붙은 것이 있다. 그건 바로 1년에 세벌(3번) 심어서 수확할 수 있다는 뜻이다. 꼬투리의 생김으로 봐서 동부의 일종이다. 갓끈동부처럼 콩알을 먹는 것이 아니라 꼬투리채로 요리해서 먹는 것이다. 만약 콩알을 먹는 것이라면 꼼꼼한 일본인이 꼬투리채로 팔 리가 없다!  





일본의 들깨라고나 할까, 이건 바로 차조기 잎이다. 차조기라고 하면 자주빛이 나는 것이 보통인데, 이건 푸른 차조기로서 생선회와 함께 먹거나 튀김으로 먹는다. 이 향이 처음 먹는 사람에게는 에퉤퉤 하며 뱉어버릴 만한데, 먹다 보면 그에 빠지게 됨. 비슷한 것으로는 방아를 떠올리면 된다. 고수도... 보면 더운 지방에 사는 사람들이 주로 향이 독특하고 강한 식물을 주로 먹는다. 아마 해충을 쫓고 몸을 시원하게 보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럴 것 같다. 





오오오, 고사리다! 내가 좋아하는 고사리. 일본인도 고사리를 먹는다는 사실에 그저 놀랐을 뿐이다. 




하우스 감귤. 귤도 하우스에서 재배하다니... 하긴 제주도에서도 요즘 하우스 감귤이 재배되고 있지 않은가. 그러나 난 그런 재배방법에 반댈세. 환경을 일정하게 통제할 수 있게 만듦으로써 생산에는 편할지 모르나 그렇게 재배한 것이 자연에서 자란 것만큼 맛있을 리는 만무하다. 큰 병충해 피해 없이 생산조건을 통제할 수 있고, 남들이 출하하지 못하는 시기에 출하하여 제값을 받는다는 장점 때문에 시설하우스를 선택한다. 하지만 생산비가 증가하여 그 가격이 오르는 것은 막을 수 없다. 이 귤도 6개에 6000원 꼴. 즉 하나에 1000원이다. 헐. 





콩나물이 아닌 숙주. 콩나물을 즐겨 먹는 건 한국인뿐이지 않을까 한다. 이런 형태의 나물을 먹는 곳은 주로 아시아 지역인데 대개 녹두를 이용한 숙주를 먹지 콩나물을 먹는 곳은 거의 보지 못했다. 어디선가 먹긴 먹겠지만, 한국만큼 즐겨먹지는 않을 듯하다. 




이건 그냥 곁다리로 소고기. 한국에 한우가 있듯이 일본에는 와규가 있다. 사다가 한 번 구워먹어보고 싶었으나,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서 구경만 했다. 이건 특별히 일본 소 중에서도 검은소의 고기. 한국으로 치면 요즘 열심히 개발하고 있는 칡소라고나 할까.





요즘 사람들이 좋아하는 마블링 좋은 소고기다. 살에 지방이 가득 꼈다. 불쌍해.





한국과 달리 흰달걀이 많았다. 물론 누런달걀도 있었는데 흰달걀의 비율이 좀 더 많았다. 누가 한국에서 흰달걀을 사라지게 만들었는가? 바로 소비자.




마지막! 일본의 다양한 음료수와 맥주. 왜 한국은 이렇게 다양한 술을 만들지 못하는 것이야! 과점의 산업구조가 맘에 들지 않는다. 술도 몇몇 회사가 과점하고 있으니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지 않는 것일지도. 그나마 요즘은 그래도 나아졌다. 



728x90
728x90


오이와 토마토 82%, 상추 65% 이상 선충 밀도 감소



뿌리혹이 생긴 뿌리.bmp
▲뿌리혹이 생긴 뿌리
[환경일보 한이삭 기자] 농촌진흥청은 전국의 시설재배 오이, 토마토, 상추에서 생육 및 생산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토양선충을 녹비작물인 수단그라스를 간작(사이짓기)해 밀도를 감소시키고 피해를 줄이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중부지방의 오이, 토마토와 상추 재배지에서 토양선충의 피해를 입은 농가들은 작기와 다음 작기 간에 휴경기간이 14~40일로 짧아 대부분 살선충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살선충제는 독성의 잔류기간이 길어 사용에 제약을 받고 있다.

 

토양 선충으로는 과채류인 오이, 토마토에 주로 피해를 주는 고구마뿌리혹선충과 엽채류인 상추에 피해를 주는 당근뿌리혹선충이 있으며 작물의 생육 및 생산량에 직·간접적으로 15% 이상 피해를 주고 있는 심각한 해충이다.

 

뿌리혹선충은 토양 중에 서식하던 어린유충이 뿌리로 침입하고 가해해 뿌리에 혹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피해를 예찰하거나 인식하기 어려운 해충이다. 뿌리혹선충 피해를 받은 작물은 오전 11시~오후 3시 사이 햇볕이 강하면 잎 전체가 시들고 4시 이후에 다시 건전해지는 증상을 보이며 피해가 심해지면 뿌리의 혹이 커지고 뿌리가 부패돼 수분과 양분의 흡수가 어려워지고 결국 죽게 된다.

 

이에 농진청 원예특작환경과에서 뿌리혹선충의 밀도 감소를 위해 2년여에 걸쳐 녹비작물 수단그라스, 라이그라스, 헤어리베치, 네마장황을 시험한 결과, 뿌리혹선충 밀도 감소에 수단그라스 사이짓기 한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 토마토, 상추 재배 농가에서는 6월 상순~중순에 작기가 종료되면 뿌리를 뽑아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반드시 확인하고 수단그라스를 재배하면 오이와 토마토에서는 82%, 상추에서는 65% 이상의 선충 밀도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시설재배지에서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확인되면 여름기간 휴경을 대체해 수단그라스를 10a(991㎡) 당 5kg을 골고루 흩어 파종하면 효과적이다.

 

 

오이와 토마토 재배지에서는 수단그라스를 40일 이내로 재배하고 상추 재배지에서는 20일 내외로 재배하면 기존 15%의 생산량 감소를 5%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수단그라스를 파종한 후 5~7일 동안은 싹이 안정적으로 발아되도록 물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녹비작물 품종간 생육차이 비교..bmp

▲녹비작물 품종간 생육차이 비교(위쪽좌: 네마장황, 위쪽우: 수단그라스

  아래좌: 헤어리베치, 아래우: 라이그라스)

수단그라스는 뿌리, 줄기, 잎에서 모두 특유의 살선충 성분인 듀린이라 불리는 시아노글리코사이드가 발산되기 때문에 재배할 때 뿐만 아니라 간작 후 잘게 경운작업을 하고 다음 작물을 정식한 후 2주 동안에도 살선충 물질이 토양에 발산된다.

 

농촌진흥청 원예특작환경과 김형환 박사는 “6~8월 사이에 수단그라스를 간작 혹은 윤작하는 기술은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많은 농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실용기술”이라고 전했다. 녹비작물의 품종에 따라 재배시기가 다르므로 수단그라스는 여름에 효과적이고, 헤어리베치는 겨울에 사용하면 뿌리혹선충의 밀도도 감소시키고 연작장해도 해소할 수 있다.

 

press1@hkbs.co.kr

728x90
728x90

 

2주가 지나니 오이싹이 텄다.

이놈이 올 한해 나에게 맛난 오이를 나눠줄 것이다.

고맙다.

생각해 보니 오이는 곡우 무렵에 모종을 키우던가 심던가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래야 콩 심을 때 옮겨심을 수가 있다.

지난해 오이를 키워보니 콩밭에서 아무래도 더 늦게까지 더 많이 달리는 것을 확인했다.

그 콩은 5월 중하순에 심으니 오이와 발맞춰 심으려면 오이도 4월 중하순에 심는 것이 좋다.

우연히 이런 사실을 깨달았다.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기꽃  (0) 2008.09.04
마늘밭  (0) 2008.09.04
비타민채  (0) 2008.09.04
겉보리와 쌀보리  (0) 2008.09.04
고추 실험  (0) 2008.07.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