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aschmann.net/AmEng/#LargeMap2Right


세상에나 어떻게 이런 일을! 

미국 같이 엄청 넓은 땅에서도 가능한데 한국은 더 쉬울 것 아니여? 

왜 한국은 사투리 지도도 없는가...


미국 짱이다.

728x90
728x90

이번호에서는 어렵고 낯선 농사 용어 대신 우리말로 농사짓는 문제를 제기하려고 합니다. 범람하는 외국어의 홍수와 그 잔재 속에서 우리말로 농사짓는 것도 전통을 지키는 한 방안입니다. 토종과 전통 농업을 되살리는 일만큼 우리말을 되살리는 일도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말로 농사짓자는 생각은 예전부터 했습니다. 처음 한자어나 외국어로 된 농사 용어를 마주하고는 이게 무슨 말인지 몰라 한참 고민했던 적이 있습니다. 추비니 윤작이니 종자니 하는 말들이 모두 그랬습니다. 그냥 우리말로 웃거름, 돌려짓기, 씨앗이라고 하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데 굳이 어려운 말을 썼습니다. 왜 그럴까 가만히 그 까닭을 생각해보니 우리의 역사와 무관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의 학문은 일본 제국주의가 들어오면서 확립되었습니다. 물론 이 학문은 서양식 근대 학문을 가리킵니다. 그러면서 이른바 신식 공부했다는 일본 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이 주요한 자리에 앉아 자기들이 배운 것을 그대로 들여오고, 사람들도 그냥 그걸 따르게 되었습니다. 요즘에는 그 역할을 미국 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이 대신합니다. 그래서인지 우리말은 일본식 표현과 미국식 표현으로 뒤범벅되어 있습니다. 책을 봐도 그렇고, 일상생활에서 쓰는 말을 봐도 그렇습니다.

어떤 사람은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고 했습니다. 어느 날 영어나 일본어를 보고 있다가 문득 드는 생각이 외국어를 잘하려면 생각하는 방법도 그네들처럼 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그만큼 말은 그것을 쓰는 사람들의 역사, 문화, 사상, 가치를 반영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우리말로 농사짓는 일은 참 중요한 일입니다. 이 땅에서 나고 자란 것들과 소통하는 가장 첫걸음이 이름을 붙이고 부르는 일인 만큼 농사도 우리말로 지으면 더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입으로만 신토불이를 외치지 말고 정신을 올곧게 세워야 FTA건 뭐건 이길 수 있지 않을까요.


이제 바야흐로 새들이 우짖고 푸른 새싹이 돋는 따뜻한 봄날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자연에 맞춰 우리네 몸도 겨우내 묵은 때를 털고 봄기운을 맞이하느라 찌뿌드드하고 졸음이 쏟아집니다. 그와 함께 본격적인 농사철도 다가왔습니다. 부지런한 농부는 이미 준비를 다 마쳤습니다. 가으내 열심히 마련한 거름을 내 논밭을 갈고, 이것저것 씨앗을 추스르고 심을 때입니다. 그래서 이번호에서는 지금까지 토종에 대해서 열심히 취재했으니 그것을 심는 일인 파종播種, 곧 "씨뿌리기"와 관련된 말을 간략하게 알아보며 우리말로 농사짓자는 문제를 말하려 합니다.

씨뿌리기에 앞서 가장 중요한 일은 흙을 만드는 일입니다. 씨도 씨지만 땅을 빼고는 농사를 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흙살림’이라고 이름을 지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찌 보면 씨보다도 땅이 더 중요합니다. 수컷들이 씨를 뿌려 놓고 나 몰라라 하면 암컷들이 다 거두어서 기르는 것처럼 말입니다. 땅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서 한 해 농사의 풍흉이 좌우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겁니다. 땅 이야기는 다음 기회로 미루고 다시 씨앗 이야기로 돌아가겠습니다.


씨를 심으려면 먼저 씨앗(종자種子)을 준비해야 합니다. 종묘상에서 파는 씨앗을 보면 씨앗이 알록달록합니다. 잘은 모르는데 약품 처리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그것이 아니라 손수 받은 씨라면 미리 씨앗가리기(종자예조種子豫措)를 해야 합니다. 겉은 말짱해 보이지만 물에 담그면 둥둥 뜨는 것들은 속이 덜 여문 것이니 골라내고, 알찬 놈들만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씨고르기(선종選種)를 마치면 바람이 잘 통하는 선선한 곳에 매달아 놓고 심는 날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취재를 다녀 보니 한곳에서 오랫동안 심던 씨앗이면 옆 마을이나 이웃과 서로 씨앗바꾸기(종자교환種子交換)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멀리 사는 사람에게 아들딸을 시집장가 보내는 것과 비슷한 이치일까요? 또 옛날 사람들은 난리가 나서 피난을 가더라도 가장 먼저 씨앗을 챙겼다고 합니다. 중앙아시아로 쫓겨난 고려인들도 그랬다고 합니다. 그만큼 씨앗을 목숨처럼 생각했기 때문일 겁니다.

이러한 씨에는 잔씨앗(소립종小粒種)과 중씨앗(중립종中粒種), 큰씨앗(대립종大粒種)이 있습니다. 정확하게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잔씨앗이고 큰씨앗인지 서양에서 들어온 농업 이론서처럼 수치로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그냥 내가 보기에 상추씨 같이 재채기에도 날아가 버리는 것들은 잔씨앗이고, 작두콩 같은 것은 큰씨앗이 아닐까 합니다. 수치화하고 계량화하면 편리하기는 하지만 재미는 없습니다. 저마다 기준이 다르고 처한 조건이 다른 만큼 자기한테 알맞게 해야지, 시스템이 먼저고 거기에 사람을 끼워 맞추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같은 요즘은 참 이상한 시대입니다.


아무튼 한데(노지露地) 심는 것 가운데 잔씨앗은 잎남새(엽채류葉菜類)나 줄기남새(간채류幹菜類)가 대표적입니다. 이렇게 잔씨앗은 흩뿌림(산파散播)하거나 줄뿌림(조파條播)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흩뿌림은 아무나 할 수는 없고, 연륜이 많은 분들이 잘하십니다. 어르신들이 흩뿌림하는 모습을 보면 대충 뿌리는 것 같은데도 나중에 보면 어김없이 좍좍 흩어져서 싹이 틉니다. 이를 초보자가 따라하면 한 군데에서 뭉텅뭉텅 싹이 나 솎을 때 애먹습니다. 배게뿌림(밀파密播)은 처음 씨를 뿌리는 분이 조심해야 할 사항입니다. 심지어 어떤 분은 몇 십 평에 심을 씨앗을 한 평에 다 쏟아 붓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작은 놈들을 다룰 때는 손가락으로 한 줄 골을 내고, 손가락으로 조금씩 집어서 살살 뿌리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얕심기(천식淺植)를 하다보면 정신을 집중하느라 잡념이 사라지는 무념무상의 경지도 살짝 맛볼 수 있습니다. 흙덮기(복토覆土)도 두 손가락으로 살살 덮고, 따로 밟기(답압踏壓)나 누르기(진압鎭壓)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고 일주일에서 열흘이 지나면 터져 나오는 새싹들! 참 신비롭고 가슴 뿌듯한 뭔가가 가슴에서 찌르르 흐릅니다.


어느 정도 알이 굵은 놈들은 점뿌림(점파占播)합니다. 점뿌림해야 "새 한 알, 벌레 한 알, 사람 한 알"이란 말이 나옵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 말도 뻥입니다. 새들이 어찌나 극성인지 다 먹어 치웁니다. 뒤적거려서 찾아 먹지 않으면 떡잎만 똑똑 따먹어서 더 이상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아주 속 터질 노릇입니다. 저는 몇 해는 "눈치 농법(새들이 없거나 보지 않을 때를 눈치 봐서 심는 방법)"으로 거의 피해를 보지 않았는데, 지난해에는 그 방법도 통하지 않더군요. 어디에 심었는지는 들키지 않았으나 떡잎은 숨길 수 없었습니다. 결국 모종을 키우거나 방충망을 덮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새들의 등살에도 굴하지 않고 살아남은 놈들도 있었습니다. 그런 놈들 주변에는 풀덮기(부초敷草)를 해서 위장하고, 떡잎이 없는 놈들은 뽑고서 메워심기(보식補植)를 하거나 덧뿌림(보파補播)을 했습니다.

요즘은 잘 안하지만 그냥 집에서 뜯어 먹을 푸성귀를 기를 때는 섞어뿌림(혼파混播)했다고 합니다. 밭에 오는 형님이 그러시는데 옛날 어머니께서 그렇게 하셨다고 합니다. 그러께에는 그 말대로 해봤는데 그거 참 좋은 방법이었습니다. 텃밭 정도라면 이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앞에서 말한 남새 종류는 한 해에 봄뿌림(춘파春播)과 가을뿌림(추파秋播)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봄에 뿌린 놈들을 실컷 먹다가 몇 놈만 놔둡니다. 그럼 지가 알아서 꽃이 피고 씨가 달립니다. 저절로 힘들이지 않고 씨받이(채종採種)를 하는 겁니다. 그럼 알아서 떨어진 놈들은 거기에서 가을에 다시 자라거나 받은 씨를 가지고 또 심으면 됩니다. 아주 쉬운 두번짓기, 그루갈이(이모작二毛作) 방법입니다.

부추 같은 경우는 다른 것처럼 한해살이(일년생一年生)나 두해살이(월년생越年生)가 아닌 여러해살이(다년생多年生)라서 한자리에서 4~5년은 거뜬합니다. 그래도 한자리에서 오래 지나면 신통찮아져서 뿌리 채 캐다가 옮겨 심어야 합니다. 부추는 농담으로 던져만 놓아도 산다고 할 정도로 생명력이 강합니다. 보통 냄새가 강한 것들이 생명력이 강합니다. 그에 비해 사람 입에도 맛있거나 무른 것들은 손도 많이 가고 아주 골치 아픕니다. 지난봄에는 비타민채를 심었는데 이게 맛나니까 배추에 갈 벌레들이 모두 달라붙었습니다. 배추에 끼는 벌레들을 꾀는 데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놈들이 겨울나기(월동越冬)를 하더군요. 일본에서 들어와 추위에 약하지 않을까 했는데 정말 뜻밖이었습니다. 잘하면 언피해(동해凍害) 없이 시금치처럼 키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씨를 가지고 곧뿌림(직파直播)하는 작물 말고도 모종(묘苗)으로 심는 것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바로 고추입니다. 고추는 얼마나 손이 많이 가는지 모릅니다. 2월 초중순이면 모판흙(상토床土)을 만들어서 씨앗 넣어야지, 그러고 나면 날마다 들여다보며 싹트기 알맞은 온도(발아적온發芽適溫)를 맞추려고 밤에는 이불 덮어 주고 낮에는 햇볕 쪼이게 하고, 지극 정성을 들여야 합니다. 모판흙 만드는 일도 얼마나 까다로운지 모릅니다. 깨끗한 흙에 모래도 넣고 숯에다 잘 썩은두엄(부숙퇴비腐熟堆肥)에,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만들어야 합니다.

저는 게으른지라 이도 저도 귀찮아서 그냥 곧뿌림합니다. 지난해 곧뿌림하니 확실히 수확량이 떨어지긴 했지만 편하긴 하더군요. 그래도 환금작물이 목적이면 힘들어도 집에서 먹을 것은 충분했습니다. 신기한 건 곧은뿌리(직근直根)가 속흙(심토深土)으로 쭉 뻗어서 버팀대(지주支柱) 없이도 바람에 쓰러지지(도복倒覆) 않는다는 겁니다. 모종으로 키우는 고추는 어느 정도 자라면 옮겨심기(이식移植)해야 합니다. 그걸로 끝이 아닙니다. 그 때는 한때심기(가식假植) 상태라서 서리가 내리지 않는 시기가 되면 제밭(本田)에 아주심기(정식定植)를 해야 합니다. 고추는 얕은 뿌리성(천근성淺根性)이라서 자꾸 옮겨 심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수확량 때문에 그렇습니다. 자꾸 옮겨 심으면서 곧은뿌리가 끊기는 대신 잔뿌리를 많이 내서 위기를 느끼는 만큼 더 종족 번식에 힘쓰는 원리입니다.


이밖에도 많은 씨앗과 관련한 많은 말이 있지만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말하고 끝내겠습니다. 다른 것보다 일찍 익는 올씨(조생종早生種)와 늦게 익는 늦씨(만생종晩生種), 적당한 때 익는 가온씨(중생종中生種), 엊늦씨(중만생종中晩生種)라는 구분도 있습니다. 올씨와 늦씨는 헷갈리기 딱 좋습니다. 올씨라고 하여 일찍 심는 씨라고 생각했는데, 빨리 익는 만큼 오히려 늦게 심을 수 있는 씨앗입니다. 이런 씨는 부룩이나 대우칠 수 있습니다. 여느 때보다 일찍 심는 것은 올뿌림(조파早播)라고 합니다. 요즘은 뭐든지 철당겨가꾸기(촉성재배促成栽培)를 합니다. 딸기만 해도 어릴 때만 해도 5월쯤부터 먹은 것 같은데, 이제는 한겨울에 나와 봄이면 들어갑니다. 뭐든지 몇 개월씩 빨라졌습니다. 자연의 만물은 나이가 들수록 철든다는데, 사람은 거꾸로 시간이 지날수록 철부지가 되어 갑니다.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살면서 가장 억울한 일  (0) 2008.09.04
소리  (0) 2008.09.04
자전거 타고 서울로  (0) 2008.08.22
예산 장터 국수집  (0) 2008.08.21
우리말로 농사짓자 3-1탄 땅을 알아야 농사짓지  (0) 2008.08.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