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14

오하라녀 大原女 교토라는 대도시에 농산물을 공급하던 오하라 지역. 그곳에 살던 여성들이 직접 농산물을 이고 지고 운송해 팔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오하라녀라고 하면 강인한 여성들을 가리킨다고. 물론, 지금은 흔적도 보기 힘들고 그냥 상품화되어 있지만. 2024. 9. 12.
여성과 농업에 관련된 일본의 도서 자료를 뒤지다가 흥미로운 도서 목록을 발견해서 알려드립니다. 일본에서 출간되었던 "여성과 농업"을 주제로 한 도서의 목록입니다.최근 한국에서도 여성의 귀농귀촌 비율이 높아지는 것과 함께 여성의 사회적 권익 신장에 대한 많은 논의가 나오고 있는 시점이니 한국에도 꽤 시의적절.. 2019. 11. 8.
농업 고충의 여성화 한국으로 돈을 벌러 찾아오는 제3세계, 특히 동남아시아의 남성 노동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이다. 그들이 떠난 빈자리는 당연히 남아 있는 여성들이 오롯이 채우고 있다. 그들의 상황과 관련된 아래와 같은 논문이 있구나. 한국도 과거에 지나온 길이기에 남의 이야기 같지가 않다. <.. 2019. 6. 14.
남성들이 농촌을 떠나면 남아 있는 여성에겐 어떤 일이 생기는가 네팔과 세네갈의 사례 공유 네팔의 여성 소농. 네팔 정부의 빈곤 경감 펀드 II 프로젝트 코피 아난Kofi Annan 씨는‘여성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도구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농업 부문에서는 분명 사실이다. 권한이 강화된 여성은 지속가능한 농업 성장과 평등한 농촌.. 2019. 1. 29.
쿠바의 여성농민이 모두를 먹여살리는 방법 "난 일찍 일어나서 하루종일 농장에서 지내며 열심히 일하고, 노동자와 파종, 수확, 판매, 교육을 관리합니다. 난 이 모든 일을 사랑한다." 쿠바에서 여성은 국가에서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분배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이다. Photo by Sarah L. Voisin/The Washington Pos.. 2018. 7. 17.
여성을 위한 농작업복 농촌에 가서 보면 다들 입고 일하는 옷이 후줄근하다. 특히 할머니들 옷은 몸빼로 통일이라도 한 듯하다. 몸빼. 그 바지는 어떤 바지인가? 일제강점기 여성들의 작업복으로 보급이 된 옷이 아니던가. 그 옷이 100년 넘게 계속 작업복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도 농작업복에 패션.. 2016.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