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젊은이들에게 앞으로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농업인이 되라고 이야기하는 전혜경 국립농업과학원장의 기고문을 보았다. 


그분의 말씀처럼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이다. 

그런데 말이지, 거기에 대해서 한 가지만 이야기하고 싶다.

그렇게 억대 농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인 너른 농지와 대규모 농기계 및 시설 등을 갖추려면 투자비도 만만치 않은데 젊은이들이 그 비용을 어떻게 충당한답니까? 

부모에게 물려받거나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서 그런 조건을 갖추면 말씀하신 것처럼 억대 농부도 가능하지요. 

그런데 그 진입장벽은 어떻게 한답니까?

너무 쉽게 말씀하신 것이 아닌가 싶네요.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민에게 월급을 준다  (0) 2015.02.26
몰락하는 농촌  (0) 2015.02.25
유기농 시장의 규모  (0) 2015.02.25
농업 생산방식의 전환기  (0) 2015.02.24
중국의 쌀 수입이 폭증하고 있다  (0) 2015.02.23
728x90

요즘 언론과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억대 부농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대강 계산해 보니까 전체 농민 가운데 억대 부농의 비율은 2~3%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아무리 농사를 잘 지어도 되기 힘든 것이 억대 부농인데 왜 그걸 전면에 내세우는가? 은퇴자들에게 듣기 좋은 소리로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무튼 귀농귀촌자가 많아지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나, 그들에게 억대 부농이니 그런 환상을 심어주기보다는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삶으로 전화하는 걸 알렸으면 좋겠다.  

---------






귀농·귀촌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듯 전국적으로 귀농·귀촌 가구 수가 가파른 증가 추세다. 지난 2월 23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발표한 '2011년 귀농·귀촌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 수는 1만503가구로 나타났다. 인구수로는 2만3415명으로 가구당 2.2명꼴이다. 귀농·귀촌 가구 수는 집계를 시작한 2001년 880가구이던 것이 2005년에는 1240가구, 2010년에는 4067가구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더니 지난해에는 급기야 1만 가구를 훌쩍 넘어서며 전년 대비 무려 158%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귀농·귀촌 가구 수는 3만82가구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강원(20.6%)·전남(17.2%)·경남(16.8%)·경북(16.7%)순으로 가구 수 비율이 높았으며 이들 상위 4개 도의 비중이 71.3%를 차지했다.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합계로 보면 경북(22.4%)·경남(16.3%)·전북(14.8%)·전남(14.1%)·강원(12.5%)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강원도는 전년 대비 7배 가까이 늘어나 주목을 끈다.

이는 강원도가 다른 지역 대비 수도권에 인접해 있으면서도 전원생활 여건이 좋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닌 게 아니라 지난해 귀농 가구와 귀촌 가구의 지역별 비율을 보면 전남(84.4%)을 비롯해 경북(70.8%)·경남(68.2%)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귀농 가구 비율이 높은 반면 강원도는 귀촌 가구가 70.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귀농 가구(29.7%)의 2.3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1년 전국 귀농·귀촌 가구 중 귀농 가구는 62.3%로 귀촌 가구(37.7%)의 두 배 가까이 된다.

지난해 귀농·귀촌이 급격하게 증가한 배경에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시작 시점과 맞물리며 전원생활 등을 통한 인생 2막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 데다 귀농·귀촌에 대한 달라진 시각도 한몫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지난해 연령별 귀농·귀촌 현황을 보면 50대(33.7%)·40대(25.5%)·60대(18.7%)순으로 높게 나타나 40~60대 비중이 77.9%에 달한다. 50대와 40대가 각각 전년 대비 142%, 118% 증가한 데 비해 60대는 무려 230%가 증가했고 30대도 160%나 늘었다.

귀농·귀촌 전 직업 현황 결과로는 가장 높은 비율이 자영업(27.5%), 그다음 사무직(19.3)과 생산직(8.8%), 주부(5.6%)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농어촌에 이주해 농어업에 종사하는 귀농자의 주요 작목은 경종(벼·배추 등 노지 작물)이 52.7%로 가장 많았고 과수(17%)·원예(13.1%)·축산(6.3%)순이었다.

베이비부머 은퇴 시작과 맞물려

연간 1억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부농(富農)도 늘어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전국 농업인과 농업법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연봉 1억 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1만672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1만4641명) 대비 14% (2081명) 증가한 것으로, 농업인은 2009년 대비 14% 증가한 1만5959명으로 조사됐고 농업법인은 18% 증가한 763개로 나타났다.

종사 분야별로는 축산이 7844명(46%)으로 가장 많았고, 과수(2817명, 17%), 채소(2087명, 12%), 벼(1663명, 10%), 특용작물(1145명, 7%)순이었으며, 벼는 2009년 대비 41%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축산업도 9% 정도 증가했다. 지역별 부농의 수를 보면 역시 축산업이 가장 발달한 경북이 7499명(44.8%)으로 가장 많이 분포돼 있다. 이어 전남 2753명(16.5%), 전북 1568명(9.4%)순이었으며 전남이 2009년 대비 148.7%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가 8220명(49.1%), 40대가 3785명(22.7%)으로 나타나는 등 40~50대가 71.8%를 차지했다.

소득대별 분포는 1억~1억5000만 원 미만의 소득을 올린 농민이 9885명으로 전체의 59%에 해당했고, 1억5000만원~2억 원이 2949명(18%), 2억~3억 원이 2128명(13%), 3억 원 이상이 1760명(10%)으로 조사됐으며 이 중 10억 원 이상을 버는 초고소득 농민도 164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억~1억5000만 원 소득 농민은 2009년 대비 1019명(12%) 늘었으며, 2억~3억 원의 소득 농민도 20% (350명)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이처럼 부농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영농의 규모화 및 생산성 향상,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 농업의 기반 확대, 가공 산업 육성, 판로 안정, 현지의 마케팅 경쟁력 증대 등을 꼽았다.

박진영 기자 bluepjy@hankyung.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