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중국과 오가기 좋은 곳은 사람에게도 벌레에게도 마찬가지라는... 



- 농촌진흥청, 애멸구 긴급 예찰·방제 당부 -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최근 태안·서산·보령·군산·부안 등 서해안 일대의 벼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애멸구가 공중포충망에 대량으로 채집됨에 따라 이 지역에 병해충 발생 경보와 주의보를 발표하고 철저한 방제를 당부했다.

 



애멸구는 벼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병인 벼줄무늬잎마름병을 옮겨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최근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대발생 원인이 중국으로부터 기류를 타고 날아온 애멸구가 옮기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은 일단 발생하면 잎에 연한 푸른색이나 노란색의 줄무늬가 길게 생기고, 비틀림·말림현상이 나타나며, 이삭은 패다 말거나 패더라도 기형이 된다. 2007∼2009년과 2011년 충남 서천·보령, 전북 부안·김제, 전남 해남·진도 등 서해안 지역에 대발생해 큰 피해를 주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애멸구 비래시기는 5월 27∼29일로, 지난해 5월 31일∼6월 2일보다 약간 빠른 반면, 채집량은 태안 378마리, 서산 51마리, 보령 52마리, 군산 36마리, 부안 105마리 등으로 작년에 비해 46 % 정도 적은 편이다.

 

또한 기류를 타고 날아온 애멸구 가운데 바이러스를 몸에 지닌 보독충률을 분석한 결과, 태안은 5.0 %, 부안은 1.1 %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애멸구가 채집된 서해안 지역에서는 벼줄무늬잎마름병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논이나 논 주변에 애멸구가 어느 정도 있는지 긴급히 살펴보는 한편, 애멸구가 많이 보이는 지역은 적용 약제로 초기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애멸구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앙 전 애멸구 방제전용 입제를 육묘상에 처리해야 한다. 만약 약제처리를 하지 않고 이앙한 논에서 애멸구 발생이 확인되었다면 유제·수화제 등 방제전용 약제를 반드시 살포해야 한다.

 

또한 기류를 타고 날아온 애멸구는 벼를 이앙한 논뿐만 아니라 논둑, 제방, 용·배수로 등 주변에 산재해 있으므로 그 일대까지 살충제를 골고루 살포해 방제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고현관 과장은 “벼줄무늬잎마름병은 일단 발생되면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병을 매개하는 애멸구를 초기에 철저히 방제해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장 고현관, 작물보호과 이관석 031-290-8480


728x90
728x90

기후변화가 도시인들에게는 조금 불편하고 이상한 일일지 몰라도, 자연과 맞닿아 살아야 하는 농사에는 커다른 충격으로 다가온다.

지난해 늦가을과 초겨울의 고온다습한 기후는 밀, 보리, 마늘, 양파 등이 웃자라게 만들었고, 바로 숨돌릴 틈도 주지 않고 찾아온 추위로 그렇게 웃자란 것들이 타격을 입었다. 

작물은 그렇게 피해를 입었지만, 해충으로 분류된 벌레들에게는 아주 좋은 조건을 제공했나 보다. 이래저러 올해 농사도 그리 녹록치 않을 것이 예상되네...



꽃매미 부화율 8.3%P↑

바이러스 품은 애멸구도 두 배 가까이 증가
미국선녀벌레 등 신종 해충도 확산 중


[이미지 크게 보기]

15일 오전 경기 화성시 송산면 지화리의 자연생태원 '미니벅스' 옆 포도밭. 미니벅스 운영자 노경애씨가 포도나무 잎사귀 하나를 따서 현장조사를 나온 이영수 경기도농업기술원 농업연구사에게 내밀었다. 잎사귀 뒤에는 검은색 좁쌀만한 벌레 십여 마리가 다닥다닥 붙어있었다. 2006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국내 대표해충이 된 꽃매미의 약충(若蟲ㆍ애벌레)이었다. 약충은 4번 허물을 벗으면 몸길이 1.5㎝의 성충이 돼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꽃매미 약충은 건너편 밭과 야산의 감나무 등에서도 발견됐다. 과수나무들의 굵은 가지 아래에는 마치 껌을 씹다 붙여 놓은 듯한 흰색 물질도 덕지덕지 붙어 있었다. 개체보호를 위해 알이 비에 젖지 않도록 꽃매미가 교묘하게 알을 낳은 것이다.

농번기를 앞두고 해충의 대 습격이 우려되면서 방제당국과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유난히 따뜻했던 지난해 초겨울과 올 봄 기온이 해충 발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 탓이다.

도농기원이 올해 초부터 수집한 꽃매미 알 수천 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부화율이 70.2%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년 평균인 61.9%보다 8.3%P 높아져 실제 환경에서도 꽃매미 부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벼 에이즈'로 불릴 정도로 치명적인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를 옮기는 해충 애멸구의 보독충율도 11.5%나 됐다. 100마리 중 바이러스를 품은 애멸구가 11.5마리라는 의미다. 보독충율이 6.4%인 평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도농기원은 산란기인 지난해 가을의 따뜻한 날씨가 건강한 알을 많이 낳게 해 해충밀도가 증가했고, 올 4월 하순에서 5월 초도 평년보다 기온이 높아 해충 증식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신종 해충의 습격도 거세질 전망이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서울 우면산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경부축을 따라 용인, 안성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겨울 기온이 낮은 경기북부의 경우 아직 아열대성인 꽃매미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일명 갈색날개매미충이 북한산 자락을 타고 퍼져나가는 중이다. 지난해 고양시 농작물에 타격을 입힌 갈색날개매미충에 대해선 원산지가 어디인지 역학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사는 "아직까지는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없고, 해충들 발생시기가 비슷해 동시방제가 가능하다"며 "해충이 발생한 농경지는 물론, 인근 야산 공원 도로 등까지 꼼꼼하게 약을 뿌려야 해충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창훈기자 chkim@hk.co.kr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