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s://entomologytoday.org/2014/08/25/study-finds-honey-bees-originated-from-asia-not-africa/


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연구진이 꿀벌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인류와는 달리 아프리카가 아닌 아시아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니까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기원해서 세계 여러 곳으로 이동하여 확산되었다는 것이 정설인데, 이와 달리 꿀벌은 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약 30만 년 전에 유럽과 아프리카 쪽으로 빠르게 퍼졌다고 합니다.



728x90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점 무당벌레  (0) 2018.06.05
강원도의 흙  (0) 2018.05.25
곤충이 사라지고 있다  (0) 2017.12.13
‘안데스의 유산’ 감자가 사라진다  (0) 2017.09.27
개미는 농사에 이롭다  (0) 2017.09.08
728x90



고구마의 이동. 

정말 엄청난 연구성과이다. 한국에는 멕시코 쪽의 고구마가 필리핀 군도를 거쳐 들어왔겠구나 짐작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에서 뉴질랜드 쪽으로 이동한 경로가 하나, 멕시코 쪽에서 아시아로 이동한 경로가 하나, 라틴아메리카에서 유럽인에 의해 유럽으로 갔다가 다시 동남아시아로 이동한 경로가 하나. 이렇게 크게 세 가지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단다.



http://www.pnas.org/content/110/6/2205

728x90
728x90

먼저 방글라데시의 산간 지역에서 밭벼 농사를 짓는 농민들. 수확에 한창이다. 낫으로 벼를 베어 머리로 고정시킨 바구니에 휙 뒤로 던져 넣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렇게 수확한 벼 등의 곡식은 절구질을 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먹는다. 나무 절구와 공이 등이 예전 한국에서도 쓰던 것과 비슷하다. 



다음은 인도의 벼농사 모습이다. 못자리에서 여성들이 모를 찌고, 남성은 겨리질로 논을 써리고 있다. 써레 같은 것도 한국에서 예전에 쓰던 것과 흡사하다. 논농사 모습은 어디나 비슷한 것일까? 아니, 농사짓는 모습은 어디나 비슷한 것일지도.



족답식 탈곡기를 이용해 벼의 낟알을 떠는 모습. 저 탈곡기는 안 쓰이는 곳이 없는가? 한국에서도 과거 엄청나게 사용하던 것이다 .




무언가를 심고 있는 모습인데 무언지 모르겠다. 골을 타서 거기에다 심는다. 대파 같은 것일까? 저런 자갈밭에 무얼 하는 것인지 가서 물어보고 싶다.




연출된 사진이라는 티가 많이 나지만, 못자리와 거기에서 모를 찌고 있는 여성들의 모습에서 볼 바가 많다. 한 여성은 대야를 뒤집어 의자 대신 사용하고 있다. 못자리의 규모로 보아 본논이 엄청나게 큰 것 같다. 




역시 아시아는 벼농사가 주를 이룬다. 모내기하는 모습이 너무나 인상적이다. 일렬로 늘어서 못줄 등과 같은 걸 이용해 모를 내는 것이 아니라 아무렇게나 서서 막모를 내고 있다. 예전 조선의 모내기가 이와 비슷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새로 정비한 논두렁이며, 모내기를 마친논과 이제 모내기를 하려고 모를 던져 놓은 논, 그리고 아직 못자리가 남아 있는 논이 모두 흥미롭다. 이 날은 아마 비가 오는 날인가 보다. 파란색 옷은 그래서 우비인 것 같다. 한 사람은 우비가 없어 그냥 우산을 쓰고 일하고 있다.






필리핀의 물소. 코를 꿴 모습이며 멍에 등이 한국의 일소와 닮았다. 



미나리인지 고수인지를 옮기고 있는 필리핀의 농부.






인도네시아의 모내기 모습. 길다란 다 자란 모를 심는 것과 못줄을 띄우지 않고 대나무(간격을 표시했는지는 모르겠다)를 이용해 모내기하는것이 눈에 들어온다. 한 그루에 포기 수는 3포기 안팎인 듯하다. 이런 방식도 모두 한국의 예전 농사와 닮았다.



티모르. 무슨 일을 하는지 정확히 모르겠다. 갈아놓은 논에서 줄을 띄우고 있는 것 같긴 하다. 





베트남. 물소에 올라탄 아이가 보인다. 어릴 적 시골에서 저러고 놀기도 했는데...




곡물을 옮기고 있는 베트남의 농부.



베트남 북부의 농민 같다. 써레로 밭의 흙을 고르게 펴는 모습이다. 아이들도 괭이를 들고 돕겠다고 나섰는가 보다.





옥수수를 선별하는 미얀마의 농민.







중국의 농부가 닭들에게 모이를 주고 있다. 






728x90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을 숭배하는 일본인  (0) 2015.01.01
잡초를 먹자  (0) 2015.01.01
국제 가족농 사진 대회 수상작  (0) 2014.11.07
강원도는 왜 감자인가?  (0) 2014.07.16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라  (0) 2014.07.04
728x90



  • GM technology is not suitable for farmers with small holdings

  • South Asian countries lack infrastructure for testing and labelling of GM crops

  • Regulatory frameworks for GM crops are weak in Pakistan and other South Asian countries





Small farmers, who constitute the majority of South Asian farmers, do not benefit from GM crops, says Pervaiz Amir.
 

In May 2014, a Pakistani court directed the national bio-safety committee to suspend issuance of new licences for growing GM crops until there was a proper legislative framework and adequate facilities for testing and screening.[1] It was a long overdue step. Pakistan, along with other South Asian countries, took to GM technology without addressing regulatory issues first.

Neighbouring India saw the illegal sale of GM cotton seeds preceding official approval for commercial cultivation. In 2009, India imposed a moratorium on growing GM brinjal, or eggplant, but in October 2013 Bangladesh became the first South Asian country to approve commercial cultivation of a GM version of the vegetable. GM food crops such as maize, rice and vegetables are now poised to enter the South Asian market on a large scale, either through the efforts of foreign companies or of domestic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s, but regulation remains a thorny issue.

The uncontrolled expansion of GM cultivation, without adequate regulation in place, could lead to widespread contamination of non-GM crops. Similarly, market domination of a few GM strains could wipe out local crop biodiversity and lead to non-sustainable farming systems with grave implications for the economy.


Regulation apart, GM seeds are no panacea for the kind of smallholder agriculture that is typical in South Asia where the majority of farmers have fewer than five hectares of land. It is clear that GM crops should be introduced only after extensive scrutiny and screening to protect the livelihoods of millions of small South Asian farmers. There is a strong need for reform and revision of regulatory frameworks that address the interests of smallholder agriculture and not just those of private companies.

Pakistan's experience with Bt cotton


Since 2008 Pakistan has been growing Monsanto's genetically modified Bt cotton (cotton with a gene from the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to fight the bollworm pest) in over 80 per cent of its 2.5 million acres cotton-growing area in Sind and Punjab provinces. GM maize is in the pipeline, though no varieties have yet been released, and the fate of those 14 applications pending approval for release is unclear in the light of the recent court order.

What, however, goes under the clearance radar are GM seeds of flowers and vegetables and even trees, imported surreptitiously by several private farmers. These are difficult to identify in the absence of adequate testing and labelling infrastructure and also because quarantine check posts at airports are seldom effective.


파키스탄 has had mixed experience with GM cotton. Despite its aggressive promotion by both private companies and some scientists from the country's public-funded crop and biotechnology institutes, small farmers have not been able to reap anything like the promised 50 per cent rise in yields. 


Farmers’ dependence has increased: fresh GM seeds need to be bought each year and these require higher quantities of fertiliser, pesticide and water. When Bt cotton was informally introduced in 2002 by some progressive farmers and private seed vendors, cotton yields improved, peaking at 5,500 kilograms per hectare by 2007. But since then yields have declined gradually to 2,400 kilograms per hectare by 2013.

Small farmers at a disadvantage

Small farmers who are the main cotton growers complain that these seeds perform only at high levels of input  — more water due to a longer growing period, fertilisers, and pesticides to fight pests other than the bollworm — often beyond their reach. The overall increased cost of Bt cotton production often forces small farmers to opt for other crops or leave land fallow.[2] An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study [3] confirms that profit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 on smaller farms compared to large farms, when farmers do not have access to the latest knowhow and, are unable to hedge and insure against crop losses.

Also, they lack the literacy or knowhow to understand complex crop management issues and strategies such as the need to maintain a healthy pest balance and the risks and consequences of not doing so when grown on a large scale.

The emergence of numerous untested Bt varieties that were imported from India and through other international companies in the market pose a problem of choice for small farmers who are often swayed by slick advertising. They are at the mercy of seed vendors who often recommend seeds with an eye to increasing profit margins.

Adding to the woes of small farmers is the emergence of new pests such as mealy bug, sucking insects and cotton leaf curl virus.[4] Farmers in southern Punjab and Sindh, for example, complain of negative impact of cotton on water availability and soil fertility and increased pest control costs.

Pakistan could learn from neighbouring India's experience where farmers now grow second-generation Bt cotton, following bollworm resistance to first generation seeds. Sometimes, GM cotton may not provide all the answers to pest resistance, and traditionally bred varieties have a role.

Test and regulate

Pakistan has several facilities for molecular genetics, but it lacks the required protocols for GM testing, government investment is low and currently at around US$0.75 million. Compared to that, the annual volume of cotton seed industry is around US$40 million.

Government needs to take steps to put a regulatory framework in place, which takes cognizance of long term implications of GM crops on productivity, profitability, resource use, food security and equity.

Labelling and advertising should be sensitive to farmers' literacy and understanding levels. Information on risks associated with GM seeds such as impacts on neighbouring crops, seed sterility and performance under extreme drought or rainy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in symbolic and easily understood visuals.

Most importantly, South Asian countries need to open up the debate on GM technology to ensur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the welfare of the majority of farmers should be protected with policies that are based on the best science evidence.

Pervaiz Amir, based in Islamabad, is a regional expert for the Global Water Partnership and former member of the  Prime Minister’s Task Force on Climate Change. He is on the technical advisory panel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Chair for Futuristic Innovation in Agriculture for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akistan.

This opinion has been produced by SciDev.Net's South Asia desk for SciDev.Net's global debate: What's wrong with GM?, taking place on Wednesday 11 June at 11.00-13.00 (BST).

References

[1] Pakistan High Court Bans GM Crop Licenses over Poor Regulation, (Sustainable Pulse, 14 May 2014).
[2] Sabir M Hazoor. 2011. BT Cotton and its Impact on Cropping Pattern, inPunjab Pakist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PJSS), Vol. 31, No. 1 (June 2011), pp. 127-134.  
[3] Nazli, Hina, David Orden, Rakhal Sarker and Karl Meilke (2012). Bt Cotton Adoption and Wellbeing of Farmers in Pakistan
[4] Abdullah, A. (2010). An analysis of Bt cotton cultivation in Punjab, Pakistan using the Agriculture Decision Support System(ADSS). AgBioForum13(3), 274-287.  


728x90
728x90


2011_10_14_Agroecology_Advocacy.pdf


2011_10_14_Agroecology_Advocacy.pdf
0.43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먹을거리와 농업정책을 향하여  (0) 2012.07.11
아프리카의 토지수탈 보고서  (0) 2012.07.11
옥수수의 세계 2010년  (0) 2012.07.11
벼의 진화  (0) 2012.07.11
나는 옥수수다  (0) 2012.07.11
728x90

세계의 인구, 특히 개발도상국의 인구가 성장하며 작물 수확량을 수요에 맞추기 위한 압박이 심해지고 있다. Clark은 아시아 각지의 농민과 소비자가 직면한 문제와 어떠한 해결책이 있을지 살펴본다.

4500평의 Naryana Reddy 씨의 농장은 중앙 인도 외곽의 Kothapally 마을에 있다. 그는 자기 가족의 수가 늘어나는 것보다 식량 생산이 더 빨랐던 전형적인 아시아 지역의 소농이다. Reddy 씨가 농장을 물려받았을 때 그가 부양할 가족은 4명이었다. 현재 그의 가족은 7명이지만, 더 나은 물 관리, 화학비료, 농약을 사용하여 그는 일 년에 일모작이 아닌 이모작을 하고, 작물 수확량을 2배로 올리고 있다. 

지난 40년에 걸쳐 세계 인구는 80%까지 성장했지만, FAO에 따르면 모든 사람들이 전에 먹던 것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식량을 구할 만큼 식량 생산이 그를 앞질렀다.

FAO는 인구 성장이 감속하고 2050년에는 거의 0에 가까울 것이라 예측하지만, 그때까지 아직 25억 명이 더 늘어날 것이고 그 60%가 아시아에서 살 것이다. 

1970년대 엄청난 식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은 잘 알려진 "녹색혁명" 덕이다.

농업 생명공학 응용을 위한 국제 업무의 임원인 Clive James는 "역사 분석을 뒤져 보면 과학이 농업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했다는 것을 알 것이다"라고 한다. 

"사람들은 녹색혁명의 건설자 노만 볼로그를 잊어 버렸다. 그는 화학비료와 농약을 잘 받아들여 수확량을 높이는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 10억 명을 굶주림에서 구하여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녹색혁명"은 인구 증가율보다 작물 수확량을 높였는데, 1980년대부터 작물 수확량의 증가율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1990년대 식량 생산 증가율이 인구 성장률보다 아래로 떨어졌다.

농민의 식량 생산 능력을 떨어뜨리는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기후변화는 작물 수확량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국제 식량정책연구소는 기후변화에 대한 몇몇 시나리오를 작성했는데, 2050년까지 작물 수확량을 더 떨어뜨릴 것이라 한다.

반건조 열대 지역에 대한 국제 작물연구소의 William Dar는 "기후변화가 물 부족과 높아지는 기온이란 문제를 불러온다"고 한다. 

"오늘날 모델은 이미 작물 수확량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는 2050년까지 90억의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하여 생산성을 회복하는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육류 수요가 증가하는 것도 세계의 수자원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앞으로 40년 동안 육류 수요는 2배로 늘어날 것인데, 육류 1kg에 밀 1kg을 생산하는 것보다 8배나 많은 물이 들어간다.

인구 성장으로 농지는 점점 부족해질 것이고, 농촌의 가난한 사람들은 식량과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주할 것이다.

도시에서는 식량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너무 비싸다는 큰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Mohammed Mohasin 씨는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 외곽의 빈민가에 산다.

그는 시골에선 거의 먹고 살 수가 없어서 더 나은 삶을 찾아서 700만의 거대한 도시로 이주했다.

다른 많은 방글라데시인과 비교하여, 이 두 아이의 아버지는 안정된 일자리가 있어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편이다. 

그러나 그런 사정에도 그의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

양철 지붕의 시궁창에 그대로 노출된 그의 좁은 집에서 왜 자신이 점심을 거르는지 설명한다.

"식량 가격이 올랐을 때 나는 처음으로 더 값싼 식량을 찾으려 노력하고 하루 세끼를 두끼만 먹어서 우리의 지출을 줄였다."

아시아 전역의 도시 빈민 대부분처럼 Mohasin 씨도 자기 수입의 약 90% 식량을 사고 집을 빌리는 데 쓴다. 2008년 식량 가격이 폭등하여 그는 여기를 떠나야 했다.

세계은행은  식량 가격이 올라가서 온 세계에서 1억 명이 추가로 기아에 빠질 것이라 추산했다.

대부분의 분석가들이 식량 가격이 앞으로 20년 안에 다시 2배 이상 오를 것이라 예상한다.

농촌의 빈민은 빈땅이나 숲과 강에서 식량을 구할 기회나 있지만,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세계 시장의 성쇠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과학원의 Cai Jianming 교수는 도시 농지를 개발하여 중국의 도시들이 자신의 지방자치제 경계 안에서 채소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한다.

"중국 남부에서 우린 옥상의 공간을 활용하지만, 북부에서는 시장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짧은 도심지 주변의 공간을 더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먹을거리를 기를 수 있는 가정의 발코니를 활용한 수직 농장은 베이징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역사학자들은 종종 대부분이 기근이 식량 부족 때문에 아니라 잘못된 경영으로 인한 것이란 사실을 지적한다. 

1996년 FAO는 세계의 모든 이가 하루 2700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는 충분한 식량을 생산한다고 추산했다. 

그러나 70억으로 추정되는 세계의 인구 가운데 10억은 비만에 시달리는 한편, 10억은 영양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다.

싱가포르 난양 기술대학에서 비전통적인 안정보장을 위한 센터에 있는 Paul Teng 교수는 식량 생산과 분배, 소비 체계에서 일어나는 손실을 연구하여, 그것이 우리 입으로 들어오기 전에 50%나 손실이 발생한다고 추산했다.

그는 "다시 말해, 우리가 그 손실분을 회복시킬 수 있다면 우린 더욱 충분한 식량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잠재적 식량 결손을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점에서, 최근 영국의 옥스팜에서 나온 보고서는 간단한 질문을 제기한다: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는 것이 미래의 식량 수요에 대한 답이냐, 아니면 우리의 부숴진 식량 체계를 바로잡는 것이 답이냐?

필리핀에 있는 국제미작연구소 작물과 환경과학의 수장 Bas Bouman은 앞으로 40년 동안 아시아에서 벼의 생산량을 2배로 올리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고 믿는다.

"녹색혁명 시기 이후 만들어진 현재의 벼 품종을 보면, 그것의 잠재적 수확량은 3000평에 8~10톤이다. 그런데 이곳 필리핀의 평균 수확량은 3.7톤이다. 주요한 벼 수출국인 태국에서 평균 수확량은 3000평에 3.5톤이다. 이 두 나라에서 새로운 종자 품종 없이 더 나은 관리만으로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엄청난 기회가 있다."

더 나은 물 관리와 조작된 작물의 조합은 생명공학 농업에 대한 비판이 없는 건 아니지만 많은 과학자들이 제시하는 답이다.

필리핀 Los Banos 대학의 작물과학 교수 Ted Mendoza 씨는 점적 관개와 집수, 사이짓기, 유기 퇴비가 어떻게 유전자조작된 씨앗이나 살충제 없이 동등하게 인상적인 결과를 가져오는지 보여주었다.

옥스팜의 보고서는 전통적인 농법으로 돌아가는 것이 곧 들이닥칠 위험의 빛에 "위태로운 낭만'이라고 제안하지만, Mendoza 씨는 위기의 존재를 받아들이길 거부한다.

그는 현재의 공포는 농민이 그걸 사서 수확량을 높이도록 하려고 하는 상업적 화학비료, 농약, 종자의 수혜자인 농산업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 믿는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