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시아7

아시아 지형도 중화 문명이 세계 최강이었던 건 저 너른 평지 덕분이었을까? 그나저나 만주 벌판도 광활하구만. 2024. 12. 16.
꿀벌은 아시아에서 기원했다 https://entomologytoday.org/2014/08/25/study-finds-honey-bees-originated-from-asia-not-africa/ 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연구진이 꿀벌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인류와는 달리 아프리카가 아닌 아시아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니까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기원해서 세계 여러 곳으로 이동하여 확산되.. 2018. 4. 23.
고구마의 이동 고구마의 이동. 정말 엄청난 연구성과이다. 한국에는 멕시코 쪽의 고구마가 필리핀 군도를 거쳐 들어왔겠구나 짐작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에서 뉴질랜드 쪽으로 이동한 경로가 하나, 멕시코 쪽에서 아시아로 이동한 경로가 하나, 라틴아메리카에서 유럽인에 의해 유럽으로 갔다가 다.. 2018. 2. 9.
아시아 지역의 농민들 먼저 방글라데시의 산간 지역에서 밭벼 농사를 짓는 농민들. 수확에 한창이다. 낫으로 벼를 베어 머리로 고정시킨 바구니에 휙 뒤로 던져 넣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렇게 수확한 벼 등의 곡식은 절구질을 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먹는다. 나무 절구와 공이 등이 예전 한국에서도 쓰던 것과.. 2014. 11. 7.
소농에겐 별 이득 없는 유전자변형 작물 GM technology is not suitable for farmers with small holdings South Asian countries lack infrastructure for testing and labelling of GM crops Regulatory frameworks for GM crops are weak in Pakistan and other South Asian countries Small farmers, who constitute the majority of South Asian farmers, do not benefit from GM crops, says Pervaiz Amir. In May 2014, a Pakistani court di.. 2014. 6. 4.
농생태학과 고취: 아시아에서 혁신 2011_10_14_Agroecology_Advocacy.pdf 2012.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