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우리의 농업이 이러한 방향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데, 세상은 이리로 간다. 환금작물이 아니라 식량작물 중심, 수출과 상업농 위주가 아닌 자급과 지역 먹을거리 중심의 농사가 되었으면 한다. 

---------




"농업은 새로운 가치 창출 산업이고 첨단 융·복합 산업(첨단기술·건강·관광·에너지)의 중심이다." (2009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최근 식량 위기, 먹을거리 안전성, 건강 등이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면서 첨단 융·복합 산업으로서 농업의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젊은 귀농 층을 중심으로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예견하고 비즈니스 마인드로 접근하는 형태가 많이 늘고 있다.

이들은 생태적 가치를 지향하며 자연 농법, 태평 농법, 삼무(三無) 농법, 탄소 순환 농법 등 새로운 농법의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험해 보고 있다. 또한 정보기술(IT) 활용 능력과 도시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자 주도형 농산물 직거래라는 새로운 마케팅 방법도 확대하고 있다. 새로운 경영 기법의 도입과 함께 특화 작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부가가치형 농산물을 재배해 억대 연봉을 창출하는 '강소농'도 속속 등장하게 됐다. 다양한 기능성을 갖춘 작물과 부가가치가 높은 농작물을 선택하는 것은 성공적인 귀농과 비즈니스 측면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등 관계 기관 및 연구소 등에서도 유망 작물을 적극 발굴·개발하고 농업인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남미 고산 작물, 국내 고랭지 재배 가능

최근 떠오르고 있는 유망 작물을 살펴보면, 남미 안데스산맥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아마란스·퀴노아·야콘·아피오스 등이 있다. 이들 고산식물들은 특유의 탁월한 기능성이 있어 상품성이 높다. 농촌진흥청은 이들 작물들의 국내 고랭지 적응성과 실용성 등을 검토한 결과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 경관용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우선 야콘은 안데스 원산의 국화과 식물로 고구마 모양의 덩이뿌리(괴근) 형태다. 씹으면 아삭아삭하면서 배 맛이 나는 특성을 지녀 '땅속의 과일'이라고 부른다. 농진청 연구 결과 야콘 덩이뿌리는 건강 기능성 성분인 프락토올리고당이 많이 들어 있고 잎에는 만병의 근원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생리 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야콘은 병해충의 피해가 크지 않고 화학비료 없이 유기 재배도 가능하다고 밝혀지면서 재배 면적이 급속히 늘고 있다. 야콘은 2010년 전국적으로 166ha 정도 재배돼 10년 전에 비해 재배 면적이 약 20배나 증가했고 단위면적당 소득도 높은 유망 작물로 꼽힌다.

또한 '아마란스'는 비름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과거 잉카시대부터 '신이 내린 작물'로 불렸다. 단백질 함량이 15.7%로 매우 높고 라이신·타우린 등 균형 잡힌 아미노산 구성으로 영양학적 관점에서 완전식품에 가깝다는 평가다. 국내 고랭지에서 시험 결과 10a당 300kg 이상의 다수확이 가능해 새로운 식품 작물로 유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능성 곡물류인 '퀴노아', 땅속에서 열리는 콩 '아피오스', 형형색색의 덩이뿌리 작물인 '올루코' 등도 개발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약용식물도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로 알려져 있다. 장뇌삼은 가장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작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장뇌삼은 숲속에 한 번 심어 놓으면 수확할 때까지 손볼 필요가 없어 노동력이 들지 않고 비료나 농약을 줄 필요가 없는 데다 높은 소득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13년간 장뇌삼을 연구해 온 상주대 이동섭 교수는 서울시립대 우수영 교수, 의성군청 김택동 씨와 함께 연구팀을 만들어 산속에 직접 씨를 뿌리고 싹이 나는 것을 조사했다. 이 교수는 "숲은 그 자체가 적당한 그늘과 토양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물 빠짐이 좋은 활엽수림이나 혼유림에서는 어디에서든 장뇌삼이 잘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산에서 자란 장뇌삼은 7년이 지나면 강한 향을 내는데 이때부터 약효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교수는 농민들이 장뇌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 축적된 장뇌삼 재배 기술을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제주에 적합한 10대 약용작물을 선정했다. 선정된 약용작물은 백수오·백도라지·방풍·석창포·반하·황금·우슬·작약·하수오·백출 등이다. 약용작물 선정 협의회의 학계·한약계·유통업체·농업인 등은 "국내 생산 농가가 거의 없는 반하, 국내 수요가 높고 제주 지역 재배가 가능한 작약이 소득원으로 유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기후변화로 인해 아열대식물의 도입도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강릉시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2009년부터 구아바·무화과·감귤 등 아열대식물 생산력 검증 시험을 벌이고 있다. 무화과는 우량 품종 지역 적응 선발을 마치고 현재 사천면 사기막리, 구정면 금광1리 등 3개 농가에 묘목 1000그루를 보급했다. 또 감귤과 왜성 바나나는 지역 적응 시험 중이며 올리브와 석류, 커피나무를 기후변화 대응 유망 과종으로 선발했다. 또한 블루베리 묘목을 일시에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는 조직 배양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대량 증식 체계가 확립됐다.

제주 망고, 수입산보다 3배 비싸게 거래돼

우리나라 온난화 최전선 지역인 제주에서는 이미 열대·아열대 과수 재배가 정착 단계에 접어들었다. 현재 제주에서는 95농가가 35.8㏊의 농지에서 바나나·파인애플·망고·용과·파파야·아보카도·구아바·아테모야 등 다양한 열대·아열대 과일을 재배해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

제주 망고는 특히 뛰어난 품질로 수입산보다 3배 이상 비싼 값에 거래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과일과 함께 아티초크·오크라·차요테·인디언시금치 등 열대 및 아열대 채소류도 농진청 온난화대응센터에서 적응성을 연구 중이다. 이 가운데 아티초크와 인디언시금치는 소규모지만 일부 농가가 재배를 시작해 새로운 소득 작물로 부상하고 있다.

해외 수출을 겨냥한 고품질 농산물 재배도 수익 확보에 좋은 방법이다.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일본·중국·러시아 등 인접 국가에 약 2억 명에 걸쳐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 세계 최대 농산물 시장인 유럽까지도 한국 농산물의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강원도에서 생산된 백합 절화 한 품목만으로도 연간 200억 원 규모로 일본에 수출하고 있고 파프리카·장미·밤호박·토마토·양배추·브로콜리·칼라·리시언더스 등도 대일 수출에 유망한 작물로 꼽히고 있다.

난류는 우리나라의 수출 화훼 산업을 선도하는 수출 효자 품목으로 수출액은 2000년 4422달러에서 2009년 1만6518달러로, 약 3.7배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난류 중 팔레놉시스는 수출 유망 작물로 각광받고 있다. 농진청은 2009년 팔레놉시스 품종 1000주를 미국에 시범 수출했으며 올해 미국 수출량이 급증하게 됐다. 팔레놉시스는 미국 시장에서 분화류 중 소비량이 가장 많은 품목이지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전략 작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농진청 귀농귀촌종합센터 김부성 지도관은 "작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농사 방법에는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재배할 작물로 어떤 게 좋다고 권하기는 힘들다"며 "최근 새 귀농 층이 새롭고 특이한 작물을 고르는 경우가 많은데 매우 모험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우선 귀농 희망하는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재배하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기술적 조언, 판매 경로 확보 등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3~4년 정도 주요 작물의 재배 경험을 가진 후 새로운 작물에 도전해 보는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이진원 기자 zinone@hankyung.com


728x90

이 기사에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다섯 가지 곡물을 소개하고 있다. 

그 식물이 자라는 지역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활용하던 것들이 영약학적 가치 등으로 새로이 주목받고 있다.

한 가지 조심할 점은 그 작물이 새로이 고부가가치로 각광을 받으며 다른 토종 작물들을 밀어내고 대규모 단작으로 재배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슈퍼푸드로 각광을 받는 퀴노아의 경우, 지역 농민들은 수출형 농업으로 대량으로 재배, 생산하지만 정작 자신들은 먹어보지도 못하고 노동력만 제공한 채 그 먹거리는 선진국의 건강식품으로 모두 팔려나간다는 소식을 들은 적이 있다.


아무튼 인간이 지구에서 먹을 수 있는 식물은 모두 3만 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인간이 먹고 있는 식물은 기껏해야 열댓 가지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문명화가 진행되면서 대량 생산의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몇몇 품종만 재배하게 되면서 벌어진 일이다.

우리의 먹거리, 우리의 식문화, 우리의 삶은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 잘 돌아볼 일이다.

----------


By Jenna Banning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에서 소비되는 칼로리의 절반 이상이 곡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난 몇 십 년 동안 곡물 생산은 몇몇 제한된 수의 품종으로만 좁아졌다 –예를 들어 밀은 20만 이상의 품종이 있으나, 몇몇 유전 계통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한된 수의 작물에 대한 의존은 특히 식량 가격의 상승, 기후변화, 건강 등의 문제가 입증되었다. 

이 토착 여성은 아마란스를 모으고 있다. 이 중남미의 토착 식물은 지역 농민에게 영양과 수입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Photo credit: Slow Food International)

오늘, Nourishing the Planet는 아직 잘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대안을 약속하는 다섯 가지 곡물에 주목한다.

1. 아마란스Amaranth

아마란스의 곡식과 채소 모두는 옥수수와 콩처럼 중남미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먹거리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아즈텍 문명 동안 재배의 절정을 이룬 뒤에 이 먹거리는 확 사라졌다. 현재 비정부기구인 Alternativas y Procesos de Participación Social(시민사회를 위한 대안과 계획)은 이 귀중한 작물을 복구하는 노력에 멕시코의 1100가구 이상을 조직했다.

그 식물이 화사한 색의 꽃과 커다란 푸른 잎을 가져 아름다운데, 아주 거칠고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다. 아마란스는 섬유질과 단백질 함량이 높아 매우 영양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곡물에는 없는 필수 아미노산인 리신도 포함하고 있다. 그 식물은 매우 용도가 다양하다 –채소로 먹을 수도 있고, 묵나물을 만들고 향신료로 쓰거나 글루텐이 없는 가루로 만들 수도 있다. 시금치보다 철분이 더 많은 아마란스의 잎도 먹을 수 있고, 볶은 아마란스의 씨앗은 달콤한 전통 음식을 만드는 데 쓰이곤 한다.

Alternativas 조합과 함께 일하고 있는 60농가 이상의 멕시코인들은 그들의 작부체계에 아마란스를 집어넣었고, 함께 모여 아마란스 식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영양가 높은 작물에 대한 생산과 수요의 상승이 이 지역 사람들의 수입과 온 세계 사람들의 건강을 약속하고 있다. 


2.  디스타 벼Dista Rice

마다가스카르에서 벼는 소농의 밥상에서 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종교와 예식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곳에는 여러 유형의 벼가 있지만 2000년에 발견된 연분홍빛의 단 한 품종만 인기가 높아져 마다가스카르 농민에게 큰 잠재력을 제공한다. 
처음 이를 발견해 재배한 농민이 이름을 디스타 벼라고 지었는데, 비타민이 매우 풍부하고 꾸준히 높은 생산량이 나온다. 또한 마다가스카르 농민들은 벼 강화 체계(SRI)란 농법을 사용하여 그 수확량을 더욱 높이고 있다. 1980년대 마다가스카르에서 개발된 SRI 농법은 적은 물과 비료, 농약을 사용하면서 더 강하고 수확량이 많도록 벼를 재배하게 농민을 돕는다. SRI 농법을 사용하는 농민의 수확량이 3000평에 8~10톤으로 증가함으로써, 200명 이상의 농민이 그들의 벼를 팔고 농기구를 구입하기 위한 돈을 마련하고자 조합을 조직했다.

국제 슬로우푸드에 따르면, 디스타 벼에 대한 수요는 현재 현지의 또는 수입산 백미와 동일하다. 마다가스카르의 농민들이 계속하여 자신들의 생산을 개선시키고 수확량을 늘리고 있기에, 그들은 자신의 삶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SRI와 디스타 벼에 대해 더 알고자 한다면 “마다가스카르의 ‘마법의 벼’- 디스타 벼”를 보라.


3. 프리카Freekeh

프리카(파리크farik로도 알려진)는 일찍 수확하여 구워서 먹는 밀의 유형이다. 섬유질과 단백질 함량이 많아 매우 영양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칼슘과 철분 같은 영양분이 풍부하다. 프리카는 중동 전역에서 다양한 요리에 쓰이고, 서구 시장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프리카는 대를 이어 씨앗이 전해진 레바논 Jabal ‘Amel 지역의 특산물이다. 그 지역의 독특한 토질과 가공법이 결합되어 특색있는 향을 풍기는 푸른 곡물이 된다. Jabal ‘Amel 지역의 프리카 생산은 현재 시리아의 공업형 농업으로 생산되는 엄청난 양과 레바논 정부의 담배 경작 보조금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촉진 프로그램에서, 베이루트 슬로우푸드와 이탈리아 옥스팜, 생물다양성을 위한 슬로우푸드재단은 이 원산지에서 프리카의 생산을 되살리고, 또한 Jabal ‘Amel 시민들의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 걸 돕고자 함께 협력하고 있다. 이 지역은 특히 2006년 레바논-이스라엘 전쟁으로 큰 시련을 겪었다. 남아 있는 지역의 생산자와 협력함으로써, 이번 사업은 그 지역에서 지속가능하고 성공적인 프리카 생산 기반을 확립하고, 또한 지역 농민들의 생계를 개선하고자 한다.


4. 적관밀Red Fife Wheat

적관밀은 글래스고에 사는 농부가 온타리오에 사는 자기 친구에게 씨앗을 보낸 1842년에 그 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극단적인 기후와 캐나다의 추위에 대한 적관밀의 적응력이 20년 안에 널리 퍼진 요인이었고, 그 밀은 캐나다 전역에서 재배된다.
시간이 흘러 1920년대 농민들이 적관밀의 하이브리드 품종을 재배하는 쪽으로 이동하면서 그 밀의 인기는 떨어졌다.

이것이 역사 현장 Keremos 제분소에서 1880년대 재배하던 밀을 재생하려고 한 환경운동가 Sharon Rempel 씨가 적관밀 종자 450g을 식물육종가에게 받으면서 바뀌었다.  Keremos 제분소의 전시포에 절반의 종자를 심은 뒤, 그 품종의 장점에 빠르게 관심을 끌었다.

적관밀은 캐나다 평원의 북극성 추위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재배 환경에 잘 적응하는 외에, 많은 화학 투입재 없이도 생산성이 높고, 그 밀가루는 품질이 좋고 맛이 강하여 사워도우sourdough 빵을 만드는 데 안성맞춤이라 제빵업자들에게 인기가 높아졌다. 재도입된 이후 1988년 450g의 씨앗에서 시작해 2007년 캐나다에서는 적관밀 약 454톤이 수확되었다.  


5. 손가락 조Finger millret

석구 식품 시장에는 조가 이제 들어오기 시작했지만,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밥상에선 이미 중요한 요소였다. 약 4천 년 전 에티오피아와 우간다의 고원에서 기원한 뒤 인도와 남아시아로 퍼진 토종 손가락 조는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의 하나이자, 세계의 주요 곡식 작물 가운데 가장 영양가 높은 곡물이기도 하다.

해마다 약 450만 톤의 손가락 조가 생산되어, 동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전역의 사람들에게 중요한 영양분을 공급한다. 조는 녹말과 철분이 많고, 그에 함유된 단백질은 소화가 잘 된다. 

밀은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 살고 그 곡물은 쥐와 해충에도 잘 견디기에 많은 빈곤한 농경사회의 식량안보 전략에 중요한 작물이 되고 있다. 수확하는 데에 매우 노동집약적이라 최근 정치가들은 “가난뱅이의 작물”이라며 무시하여 생산이 감소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지금은 부활하여 인도에서는 지난 50년 동안 수확량이 50% 늘어났고 네팔에서는 연간 재배면적이 8% 증가하고 있다. 케냐에서 조는 수수와 옥수수보다 2배 비싸게 팔리고, 우간다의 모든 농경지의 절반이 현재 조를 생산하고 있다. 

이 중요한 작물과 그 영양 가치에 대한 자각이 높아져서 세계의 다른 건조지역에 사는 농민들도 조 농사를 짓기 시작하여 세계의 인구를 먹여 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약속하고 있다. 

손가락 조에 대해 더 읽으려면 “손가락 조: 예전의, 그리고 미래의 주식”을 보라

당신은 이런 곡물들을 먹어 보았나요, 아니면 영양과 지역의 생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곡물을 알고 있나요?  알려주세요!

Jenna Banning은 Nourishing the Planet의 사업에 인턴으로 연구한다.

세계를 먹여 살리고, 기후변화와 싸우거나 농민이 자신의 생계를 개선하는 도구를 제공하는 토종 작물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다음을 보라: 기아를 끝내는 데 도움이 되는 당신이 들어보지 못한 다섯 가지 채소, 육종은 토종 종자를 존중한다, 그리고 Nourishing the Planet의 연속물 이번 주의 토종 채소.


http://blogs.worldwatch.org/five-great-grains-with-promise-for-the-future/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