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출발. 수암 파출소 앞에서 골목으로 들어서면 옛날 수암면사무소로 썼다는 주류창고의 앞에 군수 송덕비가 몇 개 서 있다. 아래의 비석은 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강희 oo년이라 써 있는데 흐릿하여 잘 읽을 수 없다.

 

 

 

1910년대에 개교한 안산초등학교. 100년 가까이 되었다. 저 건물이 원래 쓰던 교사이고, 현재는 새로 지은 건물을 쓰지만 그것도 여느 학교에 비해 자그마하다. 운동장 한켠에 교가비가 서 있는데, 옛 교과비를 보면 황해를 굽어보고 있다는 옛날 모습을 추억할 수 있는 가사가 눈에 띈다.

 

 

 

초등학교를 나와 관아지로 향하다 보면 큰 회화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양반들이 좋아했다는 회화나무. 입신양명을 바라는 뜻에서 심었단다.

 

 

 

관아지에서는 드디어 옛 관아를 복원하려는 공사가 한창이다. 정청과 익사에 쓸 나무라는 걸 적어 놓은 걸 보니, 본관과 그 옆에 딸린 건물까지 복원하나 보다. 그럼 나주의 금성관 같은 모습이 될까? 

 

 

 

관아지에서 소금골로 넘어가는 고개까지는 주민들이 텃밭으로 쓰고 있다. 한적하게 걸을 수 있는 좋은 길이다. 가는 길에 여러 작물과 식물들이 보인다. 아래는 돌나무 꽃.

 

 

씀바귀의 한 종류 같은데 이렇게 군락을 이루어 꽃이 핀 것을 보니 일부러 심은 듯하다. 이것은 무엇이고, 또 왜 여기에 이렇게 심었는지는 텃밭 주인을 만나야 알겠다.

 

 

 

소금골로 넘어가는 고갯길에 자라는 때죽나무의 꽃. 때죽나무는 독성이 있어 물고기를 잡을 때 잎과 열매를 찧어서 물에 담가 놓으면 고기들이 떼로 죽는다고 하여 때죽나무라는 설도 있고, 중과 관련된 이야기도 있다고 하는데 그 이야기는 기억이 나지 않아 넘어간다.

 

 

소금골을 통해 산을 오르다보면, 멋진 습지를 만날 수 있다. 아무도 밟지 않은 처녀지. 고마리가 한가득 자라고 있다.

 

 

숲이 멋진 수암산 자락의 산길을 오르면 수암봉의 모습도 색다른 각도에서 즐길 수 있다. 수암봉은 원래 수리의 부리까지 있던 곳이었는데 한국전쟁 때 폭격을 맞아 부리가 사라졌다는 동네 주민의 증언도 있었다.

 

 

 

지구에서 가장 오랜 세월을 살아 남은 양치식물. 그 양치식물의 하나... 이름은 기억나지 않는다.

 

 

 

아까시나무가 멋드러지고 당당하게 자라고 있는 숲. 향실암이라 이름을 붙인 곳에는 이것 말고도 다양한 정원수들이 위용을 뽐내며 자라고 있다.

 

 

향실암 근처는 사설묘지로 허가를 받은 지역이다. 곧, 사유지라는 말이다. 현재 시장에 내놓았다고 하는데, 바로 옆으로 고속도로가 지나고 있어 선뜻 사겠다는 사람이 나설지는 의문이다. 주인이 선뜻 기증을 하는 건 어떨까? 자본의 시대에 꿈과 같은 일일까? 뜻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상의하면 좋겠다. 

 

 

향실암. 무신년을 꼽아보니 지금으로부터 40여 년 전인 1968년이다. 곧 이곳은 1968년부터 누군가가 사설묘지를 만들고, 암자를 짓고, 나무를 심어 정원으로 꾸몄다는 말이다. 그런데 지금은 고속도로가 나고, 안산이 개발되면서 그냥 버려진 느낌.

 

 

향실이란 호를 가진 사람은 누구이고 어떤 사람일까? 의문이 들지만 그 의문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아직 만나지 못했다. 

 

 

향실농원을 지나 남사박으로 나오는 길에 자리한 연암사 가는 길. 연암사는 안양예술고등학교와 관련 있는 분이 세운 개인사찰이다. 그 길목에 누군가 나무를 팔려고 심어 놓았다가 미처 팔지 못해 크게 자라버린 메타세콰이아가 우뚝 서 있다.

 

 

연암사의 포대화상. 주로 천태종과 관련된 절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다. 그럼 이곳은 천태종? 그건 알 수 없다. 이밖에도 다양한 석상과 심지어 제주의 하루방까지 자리하고 있어서... 포대화상은 중국의 선승인데, 자루를 가지고 다니며 시주를 받고 사람들의 운명을 점쳐 주었다고 한다. 그만큼 민중과 가까운 사람이었다.

 

 

연암사 삼성각 앞에 앉은 석상. 이것은 누구를 형상화한 것인지 잘 모르겠다.

 

 

연암사 대웅전 전경. 아주 커다란 불상과 그 뒤로 바위 위에는 석탑까지 서 있다. 무엇을 표방하는지 어떤 성격의 절인지 도무지 감을 잡을 수 없다.

 

 

 

불상만 따로 보면 아래와 같다. 

 

 

연암사 대웅전의 단청. 새로 칠한 지 얼마되지 않았는지 색이 뚜렷하다.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백숙 만들기  (0) 2010.06.09
수암산 일대 답사 사진 2  (0) 2010.06.07
2010년 5월 16일 밤하늘  (0) 2010.05.17
흙살림 방문  (0) 2010.05.17
수인선 협궤열차 철로  (0) 2010.05.12
728x90

안산에 살면서 5년 만에 오늘 처음으로 청룡사에 갔습니다.

성태산 밑자락에 자리한 이곳은 현재 안산1대학의 뒷편입니다. 이곳까지는 자가용으로 갈 수도, 걸어갈 수도, 301번을 타고 갈 수도 있습니다. 헌데 301번을 타려면 요금이 1500원(카드로)이나 하니 조금 아깝군요. 멀리서 오신다면 상록수역에서 슬슬 걸어가셔도 됩니다. 15분이면 충분합니다.

 

안산1대학 옆쪽의 안골길이란 곳으로 쭉 들어가면 청룡사 표지판이 나옵니다. 

 

이 절이 생긴 지는 50년 정도일 거라 추정합니다. 그걸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절 주변에 서 있는 송덕비에 있습니다. 그 송덕비에 따르면, 의림이공진환선생송덕비義林李公鎭煥先生頌德碑라고 적혀 있습니다. 당연히 이진환이란 분의 공덕을 칭송하는 내용이지요. 그 뒷면의 내용은 대략 이렇습니다. 원래 이곳 일동一洞 안산1대학을 둘러싼 일대는 인근의 수리산에서 산세가 시작하여 명당 자리로 알려져 왔겄다. 그래서 예전에는 구룡九龍골이라 불리었으니, 아홉 용이 여의주 하나를 둘러싸고 꿈툴거리는 형상의 지세地勢인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는 몰라도 조선 말기쯔음 이곳에 타성붙이들이 슬그머니 들어와 자리를 잡기 시작했는디! 아마 철종 때부터 안동 김씨들이 여그를 장악하면서 오랫동안 여그의 대성大姓인 이씨 집안이 무너지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러다가 이 송덕비의 주인공 의림 이진환 선상이 외지에 나가 사업에 크게 성공해부렸지. 아마 건축가로 60년대 이후 군사정권의 국가발전계획과 대규모 건설사업에서 엄청난 실적을 쌓았지. 그래서 이 선생이 자기가 번 큰돈으로 안동 김씨에게 빼앗겼던 땅을 다시 사들이고, 청룡사라는 절까지 지어서 부처님께 바쳤다고 하는 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지요.

 

헌디, 사람들 사이에 오가는 이야기로는 안동 김씨의 묘지를 이장해 가라고 공고를 냈는데도 옮기지 않은 무덤은 그냥 파서 골짜기 어느 한곳에 모다서 화장했다고 하네요. 또한 안동 김씨 세력을 약하게 하려고 마약을 풀기도 했다는 흉흉한 소문도 돕니다. 그런 걸로 봐서 뭔가 평탄하게 일이 추진되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지 않나 합니다.

 

아무튼 안산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절이니 한 번 찾아볼 만합니다.

 

청룡사에 오르면 안산이 한눈에 내려다 보입니다. 바로 앞의 큰 건물이 안산1대학, 앞산이 구룡공원이 자리하고 있는 구룡산입니다. 그러니 거기부터 여기까지 구룡골이라 불린 것이지요. 왼쪽으로 보이는 아파트의 물결은 원래 바다였을 것입니다. 맑은 날 오르면 산세까지 훤히 볼 수 있을 테니 더 좋겠네요.

 

 

이곳에는 200년 가까이 된 느티나무도 서 있습니다. 일동에 있는 보호수가 어디에 있나 했더니 여기에도 한 그루 자리잡고 있었네요. 그 옆으로는 잘 어울리게도 산신각이 버티고 서 있습니다. 이 성태산의 산신께서 굽어살피시고 계십니다.

성태산은 한자로는 城台山이라고 합니다. 성이란 뜻과 별이란 뜻이지요. 왜 그런지 몰라도 일동 쪽에는 별과 관련된 한자 지명이 많습니다. 제가 사는 점성占星골도 그렇고 이곳의 태台도 그렇습니다. 점성에 대해서는 왈가왈부 여러 의견이 많습니다. 이곳이 바닷가였던 만큼 큰 무당이 많았고, 그래서 점을 치는 사람이 많다는 뜻에서 점섬(占島)이라고도 하고, 별을 보고 점을 치던 곳이라고 점성占星이라 하기도 하고, 저는 한때 점심을 먹는 곳이라 점섬이 아닐까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그때 그 사람들을 만나지 않는 이상 제대로 기록된 문헌자료도 없어 알기 힘듭니다. 원래 부르던 지명도 한자로 옮겨적으면서 본뜻이 흐려진 경우도 많구요. 지명을 제대로 추적하려면 고어도 많이 알아야 하기에 어렵기만 합니다. 어쨌든 일동에는 별과 관련된 지명이 참 많습니다. 제가 이 동네 사는 것도 다 그런 뜻이 맞물린 것은 아닐지...

 

150년된 느티나무. 안산의 보호수는 대부분 이 정도 나이입니다. 수암 쪽은 역사가 깊은 만큼 더 오래된 나무가 몇 그루 있지요. 하지만 철저한 개발 도시 안산의 다른 곳에서는 100~200년 정도 된 나무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나마 그런 나무가 서 있는 곳은 개발에서 소외된 곳, 옛 마을이 있던 자리들뿐이지요. 그래서 더더욱 노거수를 찾아보기 힘듭니다. 현재 보호수로 지정된 노거수는 20그루 정도인데 더 찾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저 혼자 멀찌감치 떨어져 있는 나무가 아니라 사람과 함께 어울려 그늘도 주고 푸르름과 단풍도 안겨 주는 나무로요.

 

나무 뒤편으로는 산신각 바로 옆에 조그만 제각이 또 하나 있습니다. 거기에서 무슨 제사 준비가 한창이었는데, 시간에 쫓겨 무엇 때문에 준비하고 있는지 물을 새도 없이 후다닥 산으로 올랐습니다. 

 

 

처음 오르막길이 가팔라서 그렇지 그 길만 올라서면 오르기 쉬운 길이 이어집니다. 그도 그럴 것이 성태산은 150m 정도의 작은 산이기 때문이지요. 보통으로 걸을 수 있기만 하다면 산책길이라고 봐도 됩니다.

그런데 이곳에는 옛 산성이 하나 숨어 있습니다. 전에 안산문화원장을 했던 분께서 성태란 이름에서 성이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고 이곳을 뒤져 찾아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그냥 '돌이 많구나'라고 생각하고 지나갔을 곳인데, 아는 사람에게는 그런 게 보이나 봅니다. 

 

성태산 정산 부근에 굴러다니는 성벽의 돌들. 그냥 돌이 많은 곳 아니야? 라고 생각하신다면 오산. 이 돌들로 성벽을 쌓았다고 한다.

 

이 산성은 그 축성 양식으로 보아 신라의 축성 기술이라고 합니다. 신라가 중국과 교역하는 통로를 확보했을 무렵 쌓은 것인가 봅니다. 허나 그 규모로 보아 전투를 위한 성이라기보다는 감시초소 정도의 역할을 하는 곳이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곳이 서해를 감시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저기 현재 열병합발전소가 서 있는 곳의 별망성이 그렇고, 잿머리 성황당이 그렇고, 모두 서해를 감시하고 방어하기 위한 목적의 장소였습니다. 이곳도 그 연장선이 아닐까 합니다. 혹시 군포의 봉수골과 이어지는 것은 아닐지도 모르겠네요.

 

그럼 안산이 중요한 해안 방어 기지이자 수산물 생산 기지였을 당시의 모습을 상상이라도 할 수 있게 몇 장의 사진을 볼까요.

 

아래는 노적봉에서 본 고잔동 쪽의 모습입니다. 아파트가 가득 들어선 곳 모두 물이 들고나는 바다였습니다. 상상할 수 있으신가요?

 

롯데마트를 중심으로 시선을 조금 더 왼쪽으로 옮겼습니다. 군데군데 불쑥불쑥 솟은 산 말고 바닥은 모두 바닷물이 들고나는 곳이었을 겁니다. 이것이 그대로 일동까지도 이어졌겠지요.

 

 

아래는 잿머리성황당에서 바라본 시화공단의 모습입니다. 물론 이곳도 모두 바다였습니다. 상대적으로 일동, 성포동 쪽보다는 더 드넓은 바다였지요. 이곳에서 지나다니는 배를 감시했다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제일골프장 뒷산에 올라 찍은 것입니다. 높은 건물이 들어선 곳은 원래 다 바다였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럼 대략 지형이, 그리고 바다가 머릿속에 그려지시지 않나요?

 

아마도 아래와 같은 모습이었을 겁니다. 물론 산세가 더 이어져 있었을 테고, 그래서 바다가 이만큼 넓지는 않았겠지요. 이 사진은 탄도에서 바라본 누에섬입니다. 지금은 풍력발전기가 세워져 있다고 하네요.

 

 

성벽이었던 돌무더기를 보고 살살 걸어가면 갈림길이 나옵니다. 여기서 오른쪽은 반월저수지 쪽으로 내려가는 길이고, 왼쪽으로 난 길을 택해 조금만 걸어내려가면 점성고개가 나옵니다. 그곳에는 아래와 같은 표지판이 서 있지요.

 

 

네, 이곳에서 수암봉까지 걸어갈 수도 있고, 바람들이 농장까지 걸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냥 중앙병원 쪽으로 내려가도 되고, 반월저수지로 가도 괜찮지요. 선택은 자유, 마음이 흐르는 대로 따라가십시오.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보이시나요. 한 1km 정도 15분 거리라고 나옵니다. 길게 잡아도 20분이면 청룡사에서 점성고개까지 갈 수 있습니다. 가까운 쉬는 날, 날이 좋으면 한 번 걸어보세요.

 

728x90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국수 좋아요~  (0) 2010.05.07
드디어 두부까지 나왔다.  (0) 2010.05.03
4월 10~11일 일소 부리기  (0) 2010.04.12
예산 버들국수  (0) 2010.03.06
그날도 비가 왔다.  (0) 2010.03.04
728x90

수암봉 본래 이름 ‘매봉재’, 아시나요?
김석기의 <노거수>를 찾아서 ⑥ 꼭대기 바위 ‘매’ 닮은 모습

 

매화농장을 나와 마을 입구로 나아갔다. 들어오면서 본 멋들어진 소나무 앞에서 잠시 멈췄다. 아직 보호수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소홀히 할 나무가 아니다.

존재 그 자체가 아닌 그럴싸한 직함이나 외양을 보고 무엇을 판단하는 건 우리 사람만의 일일 것이다. 이 나무의 내력이 궁금해 하던 찰라, 밑에서 할아버지 한 분이 올라오시고 계셨다.

 

인사부터 드리고, 먼저 나무의 내력을 여쭈었다. 100년도 더 된 나무라고 하시는데, 정확하게는 마을 어른들도 모른단다. 아무튼 그 모양도 예쁘고 참 좋은 나무다. 나무는 어찌 그렇게 오래 사는지 모르겠다.

헌데 이 일대는 이 나무만이 아니라 원래 소나무가 참 좋았다고 한다. 지금은 작은 공장들이 들어선 안산고등학교 건너편이 다 솔밭이었단다. 아마 바닷가에 가면 방풍림이 있듯이 그런 숲이 아니었을까?

 

 

그도 그럴 것이 이 어르신의 말씀에 따르면 안산고등학교 앞에 있는 육교 있는 데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고 한다. 육교가 딱 갯다리 자리라고 한다. 그때는 밭에서 일하다가도 저 멀리 바다를 한 번 내다보면 속이 시원허니 좋았단다.

지금은 물론 아파트의 물결만 넘실거리고 있지만 말이다. 가만히 보니 안산에선 아파트가 들어선 곳이 원래 바다이거나 뻘이었다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정도다.

 

이 어르신의 성함은 어윤석(丙子生)이라고 하는데, 6.25 지나 충청도 병천에서 안산으로 온 지 30년이 되었다고 하신다.

원래 태어나 자란 곳은 안성인데 왜정 때 병천으로 이사를 갔다가 다시 안산으로 온 것이란다. 지금은 논 2마지기에 밭 3000평 농사를 지으신다. 하지만 모두 소작이지 본인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하신다.

땅도 모았을 법하신데 왜 아무것도 없냐고 여쭈니, 그렇게 부지런히 일해 다 자식들 가르치고 시집장가 보냈다고 하신다. 부모님의 마음이 다 그런가 보다. 평생 남의 땅만 부쳤어도 후회는 없으시단다.

이 어르신께 재미난 이야기 하나를 들었다. 지금은 수암봉이라 부르는 곳이 원래 매봉재라고 했다고 한다. 꼭대기에 있는 암석이 꼭 매를 닮아서 그렇게 불렀는데, 6.25 때 폭격을 맞아 부리 부분이 사라졌다고 한다.

수인산업도로를 따라 지나다니면서 멀리서도 한눈에 띄기에 익히 알고 있었지만, 그게 어떻게 매를 닮았는지는 몰랐다. 그런 가슴 아픈 사연이 깃들어 있었구나. 하늘을 향해 도도하게 앉은 형상의 바위가 이제는 아픈 역사의 흉터를 안은 부리를 잘린 매가 되었다.

평생 배운 것이 농사라서 아직도 일을 손에서 못 떼고 있지만, 요즘은 농사지어 먹고 살기가 더 팍팍해졌다며 걱정이시다.

비료 값은 예전보다 5배 가까이 마구 오르고, 마땅한 판로가 있어 안심하고 생산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안산에 무슨 시장이 있어 내다팔 수 있는 것도 아니라며 말이다. 이곳의 땅도 이제는 지역 사람들의 것이 아니란다.

개발이 되면서부터 값싸게 팔고 다들 외지로 나가, 땅은 다 외지 사람들이 가지고 있단다. 원주민은 싸게 팔았지만 그네들이 사서는 엄청 비싸게 거래가 된다며 이곳의 농사도 자기 대에서 끝일 거라고 씁쓸하게 말씀하신다.

  

한창 어르신과 이야기하고 있는데 지나가던 차에서 어떤 사람이 누구를 모르냐며 묻는다. 이유인즉 아무개가 식당에서 밥만 먹고 도망가서 찾으러 다닌단다. 참 살기 어려운 시절이기는 한가 보다. 나도 어서 발걸음을 옮기며 인사를 드리고 다시 자전거에 올랐다. 이제 본격적으로 수암으로 들어가 노거수를 살필 때가 되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