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붉은 돼지(Communist Pigs)

- 동독의 흥망과 돼지의 역사(An Animal History of East Germany's Rise and Fall)

 

 

 

돼지는 공산주의 원칙에 기반해 현대의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려고 시도한 독일 민주공화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80년대 중반, 동독은 서독과 영국보다 1인당 더 많은 돼지를 생산하는 한편, 이러한 중앙계획식 사육으로 분뇨 오염, 가축 질병, 단계적인 식량부족 등 의도하지 않은 수많은 결과가 발생했다. 

 

돼지는 엄청나게 적용력이 좋은 동물인데, 역사학자 Thomas Fleischman 씨는 이러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세 유형의 돼지를 발견했다.  공장식 축산에 적합하게 개조된 산업형 돼지, 보존의 성공 사례라기보단 농업 개발의 부작용으로 과밀해진 멧돼지, 그리고 계획경제 안에서 사적인 소규모 농업을 체제가 허용했음을 반영하는 텃밭 돼지가 그것이다.  

 

Fleischman 씨는 동독이 가족농에서 공장식 축산으로 이동한 모습을 연대순으로 작성하면서, 공산주의 원칙이 어떻게 산업형 농업 관행을 채택했는지 설명한다. 더 광범위하게, Fleischman 씨는 공산주의의 농업은 자본주의 농업의 표준 관행을 반영하게 되었으며 양돈 산업이 이러한 집합점에 대한 명확한 사례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분석은 농촌의 환경 및 1989년 동독이 정치적으로 붕괴한 원인을 밝히고, 아울러 현재와 미래의 저렴한 먹을거리가 가져올 값비싼 비용에 대해 경고한다. 

728x90
728x90
과다한 질소 비료의 사용, 또는 축산 분뇨 등으로 토양에 지나치게 투입된 암모니아 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질산으로 전환되면 토양이 산성화된다. 그런데 이렇게 과다한 토양 속의 암모니아가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로 바뀌면서 대기로 방출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산업형 농업이 지구의 기후 위기를 부채질하는 작동 방식 가운데 하나가 규명된 것인가.


728x90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과 황새  (0) 2019.07.12
청색증과 논의 다원적 가치  (0) 2019.07.09
뛰어난 내비게이터 쇠똥구리  (0) 2019.07.05
위틀라코체  (0) 2019.07.01
토양침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0) 2019.06.27
728x90

규모의 경제로 얻을 수 있는 재정적 이득 때문에 보통 "큰 게 최고"라고들 한다. 그리고 이는 대규모 농업으로 나아가는 계기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세계의 소농과 가족농을 지원하여 식량안보, 다양성, 지속가능한 농업을 더 잘 이룰 수 있다는 반대 의견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운동단체 foodfirst.org에 따르면, 산업형 농업은 중장비로 운영되기에 대규모 단작에 치중하기 쉽다. 영국의 Foresight Project와 foodfirst.org는 모두 소규모 농업이 더 다양하고, 신축적이며, 환경친화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규모 활동이 주주들을 위해 이윤을 내는 일을 중요시하고, 또 현재 생물연료를 생산하는 농업으로 전환하고 있듯이 가장 높은 수익을 내는 작물을 기르는 사실이 농기업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다. 영국의 농업 정기간행물 Farmers Weekly는 최근 대규모 농업이 생계를 꾸리려 애쓰고 있는 소농을 위협한다고 주장하는 기사를 실었다. 아프라키와 아시아의 주요 개발도상국에서 식량을 생산하는 지배적 형태는 소농과 가족농이며, 또한 선진국에도 널리 존재한다. 

가장 최근에 나온 세계은행의 보고서는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치솟는 식량 가격 때문에 극빈층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한다. 그 보고서에서는 2010년 4월 이후 식량 가격이 36%까지 올랐고, 10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몇 달 안에 하루 76p 미만의 극빈선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지난해 4400만 명이 추가로 식량 빈곤으로 몰렸다.

농민은 늘어나는 세계 인구의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는 압박이 심해지고 있으며, 크든 작든 이 행성에서 식량 생산의 모든 근원을 가장 알맞게 사용해야 한다. 비록 소농이 거름을 사용해 토양 비옥도를 높이고 사이짓기와 작물과 가축을 돌리는 것과 같은 기술을 쓰지만, 그럼에도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선 일부 지원이 필요하다. 생물농약, 생물살균제, 수확 개선제와 그 사용법의 훈련과 같은 새로운 농업 기술은 소농이 가장 혜택을 볼 수 있는 영역에 있는 것이다. 그러한 제품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원천에서 유래하고, 수확량을 강화하고 질병과 손상에서 작물 손실을 줄이는 기존의 지속가능한 소농의 방법과 기술에 혼합해도 잘 맞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연구, 평가, 허가에 돈이 많이 들고, 따라서 소농이 감당할 수 있으려면 재정적 보조금을 포함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 

생산량이 조금이라도 늘면 미래를 위한 충분한 식량의 공급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시장을 위해 농사짓는 소농이 지역의 번영과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더 나은 사회적 화합을 촉진시킨다는 증거가 될 것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