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지2 농촌에서 식료품점을 개업하다 미국의 농촌도 인구 고령화와 감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와 관련해 지역사회에서 식료품점이 사라지고 있는 게 농촌 지역 주민의 복지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가 보다.한국도 마찬가지이지. 물론 땅이 넓은 만큼 우리와 비교할 수 없는 물리적.. 2020. 1. 10. 양극화 사회와 먹을거리 정의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는 인구의 약 15%가 푸드스탬프를 지원받는다고 한다. 이는 분명 1:99의 사회가 낳은 결과이겠지. 한국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로컬푸드니 유기농이니 하는 먹을거리의 정의를 위해서는 경제민주화든 뭐든 소득의 재분배가 필수적이겠다. http://blogs.wsj.. 2013. 4.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