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약

병해충 관리는 서로를 지원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관리법은 병해충이 작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행해진다. 관리는기존 해충의 개체군과 병균의 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다른 걸 통제하는 건 단기적이며 병해충을 죽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유기농업의 일반적인 접근법은 증상을 처리하기보다 오히려 문제의 원인을 다루는 데 집중한다. 그래서 관리가 통제보다 훨씬 더 우선시된다. 이 자료는 예방법만이 아니라 생물학적, 기계적 통제 및 천연농약을 활용하여 통제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설명

건강한 식물은 병해충에 강한 편이다. 그래서 유기농부의 주요 목표는 식물을 건강하게 하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식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빛, 온도, 물, 영양.



살아 있는 유기체와 그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은 식물의 건강에 중요하다. 식물의 건강은 대규모 단작 방식에서 더 취약하고, 다양성이 풍부한 농장에서는 여러 식물과 해충, 천적의 균형 잡힌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이것이 잘 관리된 생태계가 해충이나 병균의 개체수를 성공적으로 줄이는 이유이다. 특정한 작물 품종은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작물보다 더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감염의 위험이 더 낮아지기도 한다.


식물의 건강 상태는 토양의 비옥도에 크게 좌우된다. 영양과 산도가 균형을 잘 이루면 식물은 더 강해져 잘 감염되지도 않는다. 적절한 온도 같은 기후 조건과 충분한 물 공급은 건강한 식물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조건들 중 하나라도 적당하지 않으면 식물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스트레스는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을 약하게 만들어 그들이 병해충의 목표가 되도록 한다. 유기농민에게 가장 중요한 점 가운데 하나는 다양하고 건강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이다. 이것이 여러 병해충 문제를 예방한다. 



유기적인 병해충 관리의 기본. 흙을 건강하게, 작물을 건강하게, 천연농약을 활용, 적합한 품종을 활용, 작물을 정기적으로 관찰, 천적을 장려.




I.  예방법과 관찰

식물의 건강과 병해충의 생태학에 관한 지식은 농민이 효과적인 작물 보호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러 요소가 병해충의 발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장 민감한 지점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적기 관리, 여러 방법의 적절한 조합, 또는 선택법의 채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몇 가지 중요한 예방적 작물 보호조치는 다음과 같다.


1)  적응되고 저항성 있는 품종의 선택


지역의 환경 조건(기온, 영양 공급, 병해충 압박)에 잘 적응된 품종을 선택하면, 건강하게 자라 병해충의 감염에 강해진다.


2) 깨끗한 씨앗과 농자재의 선택

  • 생산의 모든 단게에서 병원균과 풀에 대해 검사한 씨앗을 활용
  • 안전한 재료로 만든 농자재를 활용

3) 적합한 작부체계의 활용(작물의 계획과 관리 참조)

  • 섞어짓기 작부체계는 다양한 식물로 해충의 먹이가 되는 숙주 식물을 줄이고 익충이 살기에 좋아 병해충의 압박을 제한할 수 있다.
  • 돌려짓기: 토양 매개 질병을 줄이고, 토양의 비옥도를 높인다.
  • 풋거름과 덮개작물: 토양의 생물학적 활동을 증가시키고, 이로운 생물의 존재도 늘릴 수 있다(해충도 포함되기에 적절한 종을 신중히 선택해야 함).

4) 균형 잡힌 영양 관리법을 활용

  • 적당한 거름주기: 꾸준한 성장은 식물이 감염에 덜 취약해지도록 한다. 과도한 거름주기는 뿌리에 염해가 생겨 2차 감염을 유발한다.
  • 균형 잡힌 칼륨 공급은 곰팡이 및 세균의 감염을 예방한다.

5) 유기물의 투입

  • 토양 미생물의 밀도와 활동이 증가하여, 병원균의 개체군 밀도와 토양 매개 곰팡이를 감소시킨다.
  • 토양의 구조를 안정화시켜 통기성과 투수성을 향상시킨다.
  • 식물의 자가방어력을 강화시키는 물질을 공급한다.

6) 적절한 경운법의 적용

  • 감염된 식물 부분의 분해를 촉진한다.
  • 병해충의 숙주가 되는 풀을 억제한다.
  • 토양 매개 질병을 억제하는 미생물을 보호한다.

7) 물 관리의 중요성

  • 물에 잠기지 않게 한다: 식물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병원균 감염을 일으킨다.
  • 물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과 수인성 질병이 물방울과 함께 확산되기에 잎에 물 주기를 피한다.

8) 천적의 보존과 촉진

  • 천적이 성장하고 재생산하기에 이상적인 서식지를 제공한다.
  • 천적에게 해로운 제품을 활용하지 않는다.

9) 최적의 파종 시기와 간격의 선택

  • 대부분의 해충이나 질병은 특정한 성장 단계에서만 식물을 공격한다. 따라서 이 취약한 성장 단계가 해충의 밀도가 가장 높은 시기와 겹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최적의 파종 시기를 선택하도록 한다.
  • 식물 사이의 충분한 거리가 질병의 확산을 줄인다.
  • 식물들 사이로 공기가 잘 통하면 잎이 더 빨리 말라서 병원균이 발생하고 감염되는 걸 막을 수 있다.

10) 적절한 위생 조치의 활용

  • 감염된 식물의 부분(잎, 과실)을 땅에서 제거해 질병이 확산되는 걸 막는다. 
  • 수확한 뒤 감염된 식물의 부산물을 제거한다. 

 

##  관찰:

병해충과 잡풀을 정기적으로 관찰하는 일은 효율적인 관리의 기본이다. 해충과 질병, 풀을 관리하려면, 해당 지역과 마을 이나 농경지의 특정한 해충과 질병, 풀에 대한정보와 그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피해 등을 알아야 한다.

a) 해충이 작물을 공격하는 전형적인 신호 

대부분의 작물 해충은 곤충과 진드기, 선충류에 속한다. 그러나 아프리카에서는 포유류(코끼리, 원숭이, 들쥐 같은)와 조류(참새, 찌르레기, 까마귀 같은)도 작물에 해를 끼친다.

충해는 물기와 씹기(예: 애벌레와 바구미), 찌르기와 빨기(예: 진딧물, 나무이), 구멍 뚫기(예: 천공충, 잎나방벌레) 종류이다. 일부는 천천히 움직이고(예: 애벌레), 빨리 움직이고(예: 초파리), 숨거나(예: 명밤나방) 쉽게 관찰된다(예: 애벌레, 바구미).

병해는 종에 따라 다르다. 구멍이 나거나 잘려 있는 잎은 애벌레나 바구미 피해를 나타낸다. 꼬불꼬불 말린 잎은 진딧물 피해이다. 상하거나 썩은 과실은 초파리의 애벌레에 의한 피해이곤 하다. 활기를 잃은 식물은 야행성 애벌레나 명밤나방 애벌레가 줄기에 구멍을 뚫어 그럴 수 있다. 가지나 줄기의 구멍은 식목성 곤충이 공격해서 그럴 수 있다.

진드기는 매우 작고 맨눈으로 보기 어렵다. 그러나 일부 진드기 종류(잎진드기)는 공격받은 식물의 부분에 전형적인 조직이 드러나 쉽게 발견되기도 한다. 진드기가 식물에 나타나면 잎과 과실이 누렇게 된다. 

선충류도 매우 작아서 맨눈으로 보기 어렵다. 그들은 주로 식물의 뿌리를 공격하여, 식물이 누렇게 되거나 시들고 죽는다. 

 

b) 질병이 작물을 공격하는 전형적인 신호 

대부분의 작물 질병을 곰팡이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다.

균류는 감염성 식물 질병의 대다수인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거기에는 모든 흰곰팡이병, 녹병, 누룩병, 잎떨림, 오갈병, 백분병, 그을음병, 탄저병 등이 포함된다. 또한 그들은 대부분의 잎, 과실, 꽃의 궤양, 마름병, 시듦병, 붉은곰팡이병과 기타 뿌리와 줄기, 과실의 썩음병을 일으킨다. 식물의 부분이나 작물의 전체가 시들고 죽을 수 있다. 

박테리아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한 문제를 일으킨다. 일부 박테리아는 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소를 생산한다. 이는 식물의 부분을 썩게 만들기 시작한다. 일부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식물의 조직에 유해한 독성을 생산하여 식물이 일찍 죽도록 만든다. 또 다른 종류는 매우 끈적거리는 당분을 대량으로 생산한다. 그것이 식물의 체관과 수관 등을 막아 식물의 뿌리에서 잎과 싹으로 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여 식물이 급속히 죽도록 만든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박테리아는 식물의 호르몬을 모방한 단백질을 생산한다. 이것이 식물 조직의 과증식으로 이어져 종양을 형성한다. 

바이러스는 주로 전신병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잎은 엽록소를 나타내거나 잎과 다른 초록색 부분의 색이 변한다. 그 영향을 받은 잎에는 다양한 음영, 모양, 여러 크기의 녹색이나 노란색 얼룩이 나타난다. 이러한 얼룩은 모자이크 모양을 형성해 식물의 성장과 활력을 전반적으로 감소시킨다. 

작물의 중요한 성장 시기 동안 병해충에 대한 주의 깊고 지속적인 관찰은 성공적인 관리의 핵심이다. 이는 농부가 농경지를 정기적으로 정찰해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병해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기 전 농부가 일찍 개입할 수 있다. 


농경지에서 지그재그로 다니며 병해충이 나타나는지를 정찰하는 방법




정찰은 불필요하게 천연 식물추출물을 사용하는 걸 막는다. 이러한 물질들(예: 담배, 제충국, 데리스)과 오일도 천적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물질의 적용을 규제하지 않으면 많은 해충 포식자와 포식 기생충도 죽을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을 지나치게 사용해 해충이 내성을 발달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정찰은 조직적으로 계획되고 이루어져야 한다. 농경지의 전반적인 상황을 대표하는 무작위 표본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정찰 농민은 더 나은 의사결정을 위하여 조사 결과를 관찰하고 기록해야 한다.


병해충 정찰 프로그램에서 가장 흔한 패턴은 농경지의 미리 정해 놓은 길을 지그재그나 M 자로 걷는 것이다. 이 패턴은 가르치기 쉽고, 이용하기 편리하며, 농경지의 구석구석을 살피기 좋기 때문에 흔히 사용된다. 해충을 관찰하기 위해 함정도 사용할 수 있다. 간단한 발상으로 농경지의 해충, 특히 빠르게 이동하는 해충(예: 초파리, 나비목 해충)이 존재하는지 더 잘 알 수 있다.  

>>> 초파리는 미끼 함정을 사용해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가 작은 페트병에 물을 절반쯤 채우고 소의 오줌 약간, 과일이나 죽은 작은 물고기와 세제나 비눗물 한 방울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병들을 나무에 매달아 3일마다 점검한다.  

>>> 접착제가 발라진 노란색 플라스틱 카드는 진딧물과 매미충을 잡는 데에도 좋다. 노랑-주황 플라스틱 판은 가루이에 적합한 한편,파랑 카드는 총채벌레목을 관찰하는 데 적합하다. 

>>> 빛 함정은 특히 밤나방과(예: 나방, 거세미, 조밤나방, 목화다래벌레)가 문제인 곳에 좋다. 거세미에게 공격을 받은 작물은 새벽까지 애벌레를 육안으로 점검해야 한다.


해충 관찰용 함정들



초파리 함정 만드는 방법



##  식물의 저항성 높이기

질병의 유기적 관리와 통제는 자기방어력을 향상시키는 걸 목적으로 식물을 강화하는 데 기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질병의 발생을 예방한다. 높아진 저항성의 대표적 발현의 하나는 식물체의 세포벽을 두텁게 하여 세포에 병원균이 들어가는 걸 방해하는 것이다. 또 다른 건 감염된 세포벽이 죽으며 병원균도 죽여 그것이 확산되는 걸 줄이는 것이다. 

농부가 준비할 수 있는 몇 가지 저항성 향상 물질이 있다. 그것은 담쟁이덩굴(Hedera helix), 대황(Rheum rhabarbarum) 또는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 등으로 만든 식물 추출물이다. 

퇴비차와 허브티는 작물의 건강과 비옥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유익한 미생물과 대사산물(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제품)은 잎과 뿌리가 이용할 수 있는 영양분을 접종하기 위해 농장에서 만들 수 있는 도구이다.

퇴비 추출물은 거름이면서 작물의 저항성을 높일 수도 있다. 그걸 준비하기 위해, 부숙퇴비를 물과 1:5-1:8 비율(퇴비 1리터에 물 5-8리터)로 섞은 뒤 잘 저어주고 3-7일 정도 발효시킨다. 미생물이 잘 번식하도록 1리터에 당분 1숟가락 정도 첨가할 수도 있다. 발효 장소는 햇빛을 가리고 비를 맞지 않아야 한다. 발효시킨 이후 사용하기 전에 추출물을 잘 저어준 뒤, 여과하고 1:5-1:10으로 희석시킨다.

식물 추출물은 쐐기풀, 쇠뜨기, 속새, 컴프리, 토끼풀, 해초 및 기타 등등을 이용하거나 물고기 부산물이나 어분 같은 해산 부산물을 섞어서 얻는다. Dilution of 1:10이나 or 1:5로 희석하여 잎에 뿌리거나 토양에 흠뻑 준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미생물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는 7-10일마다 퇴비 추출물이나 퇴비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II.  치료법

## 천적의 촉진과 관리

해충의 천적은 해충을 죽이는 또 다른 유기체(균류, 박테리아, 바이러스, 포식 곤충과 기생충)이다. 그래서 유기농부는 이미 농경지에 존재하는 천적을 보전하고 그 영향력을 강화시키려 노력해야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 천연농약의 사용을 최소화(어떠한 화학농약도 유기농업에서는 허용하지 않음) 

· 천적의 먹이나 숙주가 되도록 농지에 어느 정도 해충이 살도록 허용

· 다양한 작부체계를 확립(예: 섞어짓기) 

· 천적의 먹이나 서식처가 되는 숙주 식물을 포함시키기(예: 다 자란 익충의 먹이가 되는 꽃)  

 

농경지 안이나 그 경계에 꽃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이 있다.

 >>> 생울타리 - 꿀과 꽃가루, 숙주나 먹이의 대안이 되어 해충 포식자와 기생충을 끌어오는 걸로 알려진 토착 떨기나무를 활용하라. 대부분의 꽃이 피는 떨기나무 종류는 이런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해충이나 질병이 숙주의 대안으로 삼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의 종은 활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딱정벌레 은행 - 농경지에 이웃한 곳의 풀숲에는 딱정벌레과, 반날개과, 거미과 등의 여러 천적이 숨어 있다. 작물 병해충의 숙주로 알려진 풀들이 번성할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1-3가지 토종 풀들을 1-3미터의 너비로 뿌릴 수 있다. 

 >>> 꽃 줄 - 꿀과 꽃가루, 숙주나 먹이의 대안을 제공해 포식 곤충과 기생충을 끌어들인다는 꽃이 피는 토종 식물을 활용한다. 꽃이 피는 식물종의 대부분은 이러한 특성이 있다. 그러나 병해충에게 숙주의 대안이 되는 걸 활용하는 건 주의를 요한다. 3-5가지의 꽃이 피는 식물종을 잘 준비한 두둑에 뿌리고, 농경지 주변에 1-3미터 너비의 줄로 배치한다. 꽃이 핀 뒤 씨앗을 받아서 갱신하거나 새로운줄을 만들 때 쓴다.

>>> 동료 식물 - 작물 안에 동료 식물을 이용해 천적을 끌어들일 수도 있다. 이러한 동료 식물종은 꽃 줄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작물 안 작은 면적(3평쯤)의 꽃이 피는 식물은 천적들에게 휴게소로 활용된다.


생물학적 통제의 강화. 토착 떨기나무로 천적을 끌어들이고, 꽃줄로 천적에게 먹을거리를 제공하며, 동료 식물로 천적을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해충에게 먹이로 제공한다.




## 기계적 통제

해충을 대량으로 포획하는 건 추가적 조치이다. 값싼 재료로 쉽게 만들 수 있기도 하다. 몇 가지 사례를 들어보자.

Ø  빛 함정은 조밤나방, 거세미, 줄기좀벌레, 기타 야행성 곤충을 잡는 데 쓰일 수 있다. 빛 함정은 다 자란 나방이 나타나기 시작하자마자, 그들이 알을 낳기 전에 설치하면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빛 함정은 여러 종류의 곤충을 유인하는 데는 불리하다. 유인되는 곤충의 대부분은 해충이 아니다. 또한 빛 함정 주변지역(때로는 상당한 거리에서)에서 유인되는 많은 곤충은 함정으로 날아들지 않는다. 대신 그 주변에 머물러 인접 지역의 곤충 숫자를 증가시킨다.

Ø  빛깔과 물 함정은 다 자란 총채벌레목을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빛깔(파랑, 노랑, 하양)을 띤 끈적끈적한 함정이나 물 함정을 육묘장이나 농경지에 설치해 많은 양의 총채벌레목을 잡을 수 있었다. 판지의 빛깔 종류는 끈적이 함정의 효율을 결정한다. 밝은 빛깔이 어두운 것보다 더 많은 총채벌레목을 유인한다. 원통형 끈적이 함정은 평평한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이걸 작물 근처에 두는 것이 가장 좋다. 함정을 농경지의 경계 근처나 바람막이 근처에 두어서는 안 된다. 

Ø  물 함정은 표면적 250-500제곱센티미터에 적어도 6cm 깊이여야 하고, 둥근 것이 좋으며 수위는 입구에서 2cm 아래가 적당하다. 물에 세제 몇 방울 떨어뜨리면 총채벌래목이 가라앉고 가장자리를 기어오르거나 탈출하지 못한다. 정기적으로 교체하거나 물을 추가한다.

Ø  노란 끈적이 함정은 가루이, 진딧물, 잎나방벌레 등을 통제하는 데 쓸 수 있다. 자동차의 투명한 그리스나 엔진오일을 바른 노란 플라스틱 통을 막대기에 설치한 것이 이 함정의 하나이다. 이것들을 잎보다 10cm 정도 위에 설치해야 한다. 함정이 파리로 덮여 있으면 청소하고 다시 오일을 바른다. 노란 끈적이 판도 비슷한 효과가 있다. 농경지 500제곱미터마다 노란 끈적이 판 2-5개를 놓는다. 적어도 1주일에 한 번은 함정을 교체한다. 끈적이 함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노랗게 칠해진 합판(30x30cm 크기)에 바셀린이나 사용한 엔진오일을 바른다. 식물 근처에 함정을 놓되, 끈적이 판에 잎이 붙지 않을 만큼 떨어뜨린다. 노란색은 해충만이아니라 익충 같은 여러 곤충을 유인하기에 꼭 필요할 때만 노란 함정을 사용하도록 한다.

Ø  과일 봉지 싸기는 과일에 초파리가 알을 낳는 걸 막는다. 또한 봉지는 흉터나 긁힘 같은 기계적 상처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하기도 한다. 품은 들지만 값싸고, 안전하고 목표로 하는 수확량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봉지 싸기는 멜론, 여주, 망고, 구아바, 스타 프루트, 아보카도, 바나나(비닐봉지 사용) 같은 과일에 잘 어울린다.


과일 봉지 싸기


 
참고: 과일 봉지 싸기와 관련하여 농민에게 권장하는 사항: 한 겹으로는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신문지를 과일 크기로 잘라 두 겹으로 싼다. 재단한 종이의 옆면과 하단을 접고 봉하거나 스테이플로 고정시켜, 직사각형의 봉지를 만든다. 그걸 부풀리려면 봉지에 바람을 불어넣어라. 과일 하나당 봉지 하나에 넣고서 봉지를 닫고, 끈 등으로 윗부분을 꼭 묶는다. 과일이 봉지에 닿지 않도록 봉지 바닥을 위로 밀어넣는다. 예를 들어, 꽃이 피고 55-60일이나 과일이 달걀 크기일 때 망고 과일을 봉지로 싸기 시작한다. 비닐봉지를 사용할 때(예: 바나나), 밑바닥을 뚫거나 작은 구멍 몇 개를 뚫어 습기가 마르도록 한다. 비닐봉지에 갇힌 습기가 균류와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시켜 질병의 원인이 된다. 비닐은 또한 과일에 많은 열을 가한다. 마른 잎으로 만든 봉지는 비닐의 대안으로 좋다.

 

##  생물학적 통제

생물학적 통제는 해충과 질병의 개체수를 관리하기 위해 천적(무당벌레, 혹파리, 꽃등에 애벌레 등)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살아 있는 체계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충과 포식자의 개체수 역학

농경지에 존재하는 천적의 개체수가 너무 적어서 해충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할 때는 실험실이나 양육장에서 사육할 수 있다. 사육한 천적을 농경지에 풀어서 천적의 개체수를 늘리고 해충의 개체수는 감소시킨다. 천적을 방출하는 생물학적 통제에는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

  • 영농철의 시작마다 천적의 예방적 방출. 이는 천적이 부적절한 기후나 해충의 부재로 인하여 한 영농철에서 다른 영농철로 지속되지 않을 때 활용한다. 천적의 개체수가 영농철 동안 확립되어 성장한다.
  • 해충이 작물에 피해를 주기 시작할 때 방출. 병원균은 보통 숙주(해충)이 없으면 작물 환경에서 지속되고 확산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활용한다. 그들은 또한 저렴하게 생산할 수도 있다.



천적을 방출하기

해충이나 질병을 죽이거나 억압하는 천적은 균류나 박테리아이기도 하다. 그들은 길항제나 미생물 살충제 또는 생물 살충제라고 불린다. 길항 미생물로 흔히 활용하는 건 다음과 같다. 

>>> Bacillus thuringiensis (Bt)와 같은 박테리아. Bt는 1960년대 이후부터 상업적 미생물 살충제로 이용되었다. 여러 유형의 Bt가 채소와 여러 종류의 농작물에 꼬이는 애벌레와 딱정벌레류 및 모기와 진디등에 등을 통제하는 데 이용된다. 작물에 활용되는 가장 잘 알려진 생물방어제는 다양한 나비목 해충에 쓰이는 bacteria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와 Bacillus thuringiensis. var. aizawai 라는 것과 모기류에 쓰이는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iensis 라는 박테리아이다.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는 여러 아프리카 국가(예: 남아프리카, 케냐, 모잠비크)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되고, 여러 종류의 해충에 활용할 수 있다(아프리카 조밤나방, 아프리카 목화다래벌레, 파밤나방, 배추순나방, 도둑나방, 은무늬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네눈쑥가지나방, 자벌레, 분홍솜벌레, spiny bollworm, spotted bollworm, pod borers, tomato looper 등).

>>> NPV (nuclearpolyhedrosis virus) 같은 바이러스는 몇몇 해충 애벌레 종류의 통제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각각의 곤충 종마다 특정한 NPV-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armyworm Spodoptera exigua는 인도네시아 셜롯 생산에 주요한 문제를 일으킨다. 실험을 통해 SeNPV(S. exigua에 특정한 NPV)가 살충제보다 더 나은 통제력을 보여주어, 농민들이 통제법으로 이를 채택해 왔다. 수마트라 서부의 많은 농민들은 농장에서 현재 NPV를 생산하고 있다.

>>> Beauveria bassiana와 같은 곤충을 죽이는 균류. 이 균류의 여러 균주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b147 균주는 옥수수의 조명충나방을 통제하는 데 활용되고, GHA 균주는 채소와 관상식물의 가루이, 총채벌레목, 진딧물, 가루깍지벌레 등에 활용된다. 몇몇 균류의 종은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딧물은 습한 계절에 녹색이나 흰색의 균류에게 죽임을 당할 수도 있다.

>>> 식물 병원균에 대항해 작용하는 균류. 다음의 몇 가지 사례가 있다. 채소의 잘록병과 뿌리썩음병 같은 토양 매개 질병을 예방하고자 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Trichoderma sp. 아프리카 목화다래벌레에 대한 몇몇 Trichogramma 종은 나비목 해충과 진딧물에게 쓰려고 아프리카의 실험실에서 육종되었다. 카사바의 가루깍지벌레(Phenacoccus manihoti)에 대한 신열대구의 기생충인 Apoanagyrus lopezi 의 성공적인 도입으로 아프리카 농민의 농경지 대부분에서 P. manihoti를 만족스럽게 감소시켰다. 이는 고전적인 생물통제의 성공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비병원성 균류를 이용한 식물 질병의 생물통제

>>> 여러 바구밋과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예: Steinernema carpocapsae,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과 채소에서 거세미(Agrotis spp.) 같은 토양 곤충을 통제하는 데 쓰인다.

 

##  천연농약

일부 식물은 곤충에게 독이 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식물에서 추출하여 감염된 작물에 적용할 때, 이러한 성분을 이른바 식물성 농약 또는 식물성이라고 한다. 해충을 통제하기 위한 식물 추출물의 이용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로테논(데리스), 니코틴(담배), 피레트린(제충국)이 소규모 자급농만이 아니라 상업농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식물성 농약의 대부분은 접촉, 호흡, 소화의 독이다. 그래서 그들은 선택적이 아니라 광범위한 곤충을 대상으로 한다. 이는 유익한 유기체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뜻한다. 하지만 식물성 농약의 독성은 대개 높지 않고, 유익한 유기체에 대한 악영향은 선택적 적용으로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식물성 농약은 일반적으로 생물분해성이 높기 때문에 몇 시간이나 며칠만 지나면 비활성상태가 된다. 이는 유익한 유기체에 대한 악영향을 감소시키며, 화학농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환경친화적이다.


천적에 대한 화학농약의 영향




식물성을 준비하고 사용하려면 약간의 노하우가 필요하나, 재료나 기반시설은 그다지 필요없다. 여러 전통농업 체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였다. 흔히 사용된 식물성은 다음과 같다.

Ø  님Neem: 건조한 열대지방의 님나무에서 유래된 님은 몇 가지 살충 화합물을 함유한다. 주성분은 여러 종류의 애벌레, 총채벌레목, 가루이 등을 억제하고 죽인다. 씨앗과 잎 모두 님 용액을 준비하는 데 쓸 수 있다. 님 씨앗은 많은 양의 님 오일을 함유하고 있지만잎은 1년 내내 이용할 수 있다. 님 용액은 준비한 뒤 약 8시간 안에, 그리고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효력이 사라진다. 저녁과 준비한 직후, 습한 조건이나 식물과 곤충이 축축할 때 최고의 효과를 보인다. 님 용액을 만드는 여러 조제법이 있다.

님 농약을 준비하는 농민에 대한 권장사항: 아프리카 가나에서 농민 교육 중 님 종자 추출물을 양배추에 시험하여, 배추좀나방을 쫓아내는 데 매우 효과적임이 드러났다. 그 조제법이다: 30파운드의 님 종자(꼬투리가 제거된 씨앗)를 물 1리터와 섞는다. 하룻밤 재운다. 다음날 아침, 고운 천으로 용액을 여과시키고 곧바로 뿌린다. 더 희석시키면 안 된다. 

님 케이크(님 종자나 알맹이를 간 분말)도 거름으로 쓸 수도 있고 작물(예: 토마토) 뿌리를 공격하는 선충을 방해한다. 구덩이에 님 케이크를 넣고(1제곱미터당 200g) 흙과 섞는다. 님 케이크는 선충과 기카 뿌리의 해충을 쫓아내거나 죽이기까지 할 것이다. 살충제(azadirachtin)가 식물의 지상부로 옮겨져 그곳의 해충을 쫓아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님 용액의 준비



Ø  제충국: 제충국은 데이지 같은 국화이다. 열대지방에서 제충국은 꽃을 피우려면 서늘한 기온이어야 해서 산간 지역에서 자란다. 피레트린은 말린 제충국 꽃에서 추출한 살충 성분이다. 꽃 머리는 가루로 만들어 분말을 낸다. 이 가루를 직접 사용하거나 물에 섞어 뿌린다. 피레트린은 대부분의 곤충을 즉각적으로 마비시킨다. 복용량을 낮추어 죽이지는 않지만 "기절"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 강하게 하면 죽이기도 한다. 피레트린은 햇빛에 매우 빠르게 분해되기에, 어두운 곳에 저장해야 한다. 산도와 알칼리도가 높으면 모두 분해속도가 빨라지기에 라임이나 비눗물 용액과 섞으면 안 된다. 액체 제재는 안정적으로 저장이 되지만, 가루는 1년에 그 효과가 20%떨어진다. 

제충국 농약을 준비하려는 농민에 대한 권장사항 제충국 가루는 말린 꽃으로 만든다. 그것만 쓰거나 활석, 석회 또는 규조토 같은매개체와 섞어서 감염된 식물의 땅과 그 위에 뿌려서 사용한다. 액상 제충국 추출물(제충국 가루 20g에 물 10리터)을 만들려면, 비누를 추가해 더 효과적으로 만든다. 즉시 스프레이로 뿌린다. 최고 효과를 내려면 저녁에 사용한다. 제충국은 알코올로 추출할 수도 있다. 

 

Ø  고추: 고추와 캡사이신에는 기피와 살충 효과가 있다.

고추 농약을 준비하려는 농민에 대한 권장사항: 고추 추출물을 만들기 위하여 고추 200g을 곱게 갈고 물 4리터를 넣고 삶은 뒤, 물 4리터를 더 넣고 액체 비누 몇 방울을 더 떨어뜨린다. 이 혼합물은 진딧물, 개미, 작은 애벌레, 달팽이에게 사용할 수 있다.

 

Ø 마늘: 마늘은 섭식저해물질, 살충, 살선충, 기피 효과가 있다. 마늘은 다양한 곤충의 생애주기(알, 애벌레, 성충)에 광범위하게 효과적이다. 개미, 진딧물, 조밤나방, 배추좀나방, 가루이, 구렁방아벌레, 흰개미에게 효과가 있다. 마늘은 비선택적이고, 광범위한 효과가 있으며, 익충도 죽일 수 있다. 그래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마늘 농약을 준비하려는 농민에 대한 권장사항: 마늘 추출물을 만들려면, 마늘 100g을 갈거나 잘라 물 0.5리터를 넣는다. 24시간 재우고 물 0.5리터와 액체 비누를 추가한 뒤 저어준다. 물과 1:20으로 희석하고 저녁에 뿌린다. 효과를 향상시키려면 고추 추출물을 넣어도 된다.


벼멸구의 생애주기



아프리카에는 해충을 통제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활용하던 담배(Nicotiana tabacum), 노란 뿌리(Xanthorhiza simplicissima),  물고기 콩(Tephrosia vogelii), 보라 나무(Securidaca longepedunculata), 한련(Nasturtium trapaeolum) 같은 살충효과가 알려진 다른 여러 식물 추출물들이 있다.

아니스, 고추, 쪽파, 마늘, 고수, 한련, 스피아민트, 메리골드는 여러 해충(진딧물, 나방, 뿌리파리 등)을 쫓아내는 효과로 알려져 있는 식물이며, 농경지 경계나 사이짓기로 재배할 수 있다. 메리골드는 특히 뿌리선충류를, 님 케이크는 쥐를 막는 걸로 알려져 있다.


함정 작물 - 사이짓기



##  식물 추출물의 사용하기 전 농민이 알아야 할 사항:

  • "천연"이고 농업에 널리 쓰이고 있지만, 일부 식물성 제재는 인간에게도 위험할 수도 있고, 천적에게 매우 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담배에서 얻는 니코틴은 사람과 기타 온혈동물들에게 매우 유독한 유기독성 가운데 하나이다. 피레트린은 인간과 온혈동물에게는 유독한 물질이 아니다. 그러나 인간의 알러지 반응이 흔하다. 발진을 일으킬 수 있고, 가루를 마시면 두통과 병이 생길 수도 있다. 
  • 식물성 농약은 대규모로 적용하기 전에 그것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작은 실험장에서 시험해야 한다. 앞뒤 살필 것도 없이 식물성 농약을 사용하지 마라! 우선 생태계와 그것이 식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라!
  • 준비하고 살포할 때 추출물이 피부에 직접 닿게 하지 마라
  • 눈에 식물 추출물이 닿지 않게 하라.
  •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식물 추출물을 보관하라. ­ ­
  • 추출물을 뿌릴 때는 보호구(눈, 호흡기, 피부)를 착용하라.
  • 식물 추출물을 다룬 뒤에는 손을 닦아라.

 

식물 추출물 외에도 유기농업에서 허용되는 천연농약들이 있다. 이 제품들 중 일부는 선택성이 제한적이고 완전히 생분해되지는 않지만, 사용이 정당화되는 때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예방적인 작물 보호법과 함께 원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장 좋다. 일부 사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연성비누 용액; 진딧물과 기타 흡즙 곤충에게

>>> 경유; 다양한 해충에게(천적을 해침)

>>> 유황; 잎진드기에게(천적을 해침!). 유황의 살비작용은 12도 이상의 기온에서 가장 좋다. 그러나 유황은 건조하고 더운 날씨(32°C 이상)에서는 식물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살충제와 함께 쓸 수 없다. 유황은 식물에게 약해를 주지 않기 위해 함께 사용하거나 기름으로 처리하면 안 된다.

>>> 식물의 재; 불이 난 곳에서 얻은 나무의 재는 개미와 잎나방벌레, 좀벌레, 흰개미, 감자나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재는 해충들이나 감염된 식물의 부분에 직접 뿌려야 한다. 재는 연약한 몸의 해충을 말려죽인다. 나무의 재는 종종 바구미 같은 해충을 막기 위해 곡물을 저장할 때 쓰기도 한다. 또한, 재는 토양 매개 질병을 막는 데 쓰기도 한다. 



##  질병을 통제하기 위해 활용하는 기타 방법:

Ø  유황은 주로 백분병, 노균병 및 기타 식물의 질병에 사용한다. 효능의 핵심은 포자가 발아하는 걸 막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질병이 발달하기에 앞서 적용해야 효과적이다. 유황은 가루나 액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른 농약과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 석회황은 식물 조직에 침투하는 걸 돕기 위해 유황에 석회를 첨가한 것이다. 낮은 농도에서 황보다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썩은 달걀 냄새 때문에 널리 쓰기에 꺼림칙하다.

 

Ø  보르도액(황산구리와 석회)은 150년 동안 채소와 화훼 식물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유황과 달리 보르도액은 균류와 박테리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박테리아와 곰팡이에 의한 여러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데 사용된다. 비가 내려도 식물에 고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보르도액의 성질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 보르도액은 산성인 황산구리를 함유하는데 알칼리성인 석회가 그를 중화시킨다.

 

보르도액을 준비하려는 농민에 대한 권장사항: 보르도액에는 여러 형태가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보편적이고 효과적이며 최소한의 식물 독성을 띠도록 만드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다음과 같다. 황산구리 90g에 물 4.5리터를 섞는다(비금속 용기에). 다른 비금속 용기에 125g의 소석회와 물 4.5리터를 섞는다. 둘 다 젓고, 둘을 섞은 뒤 또 저어준다. 이 방법은 유황처럼 구리가 식물에 독성을 띠고, 독성의 수준이 치료되는 식물 조직의 나이와 관련된다는 사실에 입각해 개발되었다. 더운 날씨(30°C 이상)에 보르도액을 살포하면 잎이 노랗게 되고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보르도액을 살포한 뒤 바로 비가 내리면 잎이 탈 수도 있다. 어리고 부드러운 과실나무의 잎에 뿌릴 때는 조심해야 한다. 보르도액은 옥수수나 수수 같이 구리에 민감한 식물에 뿌리면 안된다. 매우 일반적이며 값싸게 이용할 수 있는 구리가 있다. 수산화구리와 옥시염화구리이다. 유기농업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토양에 구리가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엄격하게 사용하고 토양을 잘 관찰해야 한다. 

 

Ø  산성 점토는 활성제로서 산화 알미늄이나 황화알미늄으로 인한 살균 효과를 띤다. 구리의 대안이지만, 효과는 덜하다.

 

Ø  우유도 마름병과 백분병, 모자이크병 바이러스와 기타 균류와 바이러스성 질병에 사용된다. 10일마다 우유 1리터에 물 10-15리터를 섞어서 뿌리는 게 효과적이다. 

 

Ø  베이킹소다는 식물의 마름병과 녹병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베이킹소다 100g에 연성비누 50g을 섞은 걸 살포한다. 물 2리터에 희석을 시킨다. 한 번 뿌린 뒤 몇 개월 정도 기간을 두도록 한다. 더운 날씨에는 사용하지 말고, 식물에 대한 독성 때문에 가능하면 몇 가지 잎에 시험을 해보는 게 좋다. 

 

많은 식물 추출물들이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파와 마늘은 마름병과 균류와 박테리아성 질병 같은 여러 질병에 효과적이다. 멕시코와 아프리카의 메리골드는 감자와 콩, 토마토, 완두콩을 도와서 마름병 같은 세균성 질병에 저항하며 작물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포포나무(Carica papaya)의 잎과 스위트 바질은 일반적인 살균 효과가 있다. 많은 다른 식물 종들이 살균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통지식은 각 지역에서 식물 추출물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유기농업 훈련 안내서의 일부였다. 다음과 같은 주제의 더 많은 읽을거리가 있다. 

  1. 유기농업의 소개
  2. 유기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고려사항
  3. 유기농업으로 전환하는 단계
  4. 유기농업의 덮개 농법
  5. 유기농업의 물 관리
  6. 유기농업의 작부 계획과 관리
  7. 유기농업의 양분 관리
  8. 유기농업의 병해충 관리
  9. 유기농업의 풀 관리
  10. 유기농업의 토양 경운
  11. Plant Propagation in Organic Agriculture
  12. Animal Husbandry in Organic Agriculture

All these techniques have been compiled by Ilka Gomez thanks to the collaboration of IFOAM, FiBL and Nadia Scialabba (Natural Resources Officer - FAO).

The full manual can be accessed here: Training Manual on Organic Agriculture

 

 

더 읽을거리

IFOAM. 2003. Pest and disease in organic management. A Latin American perspective. Compiled and edited by Dr. Dina Foguelman.

FiBL. 2011. African Organic Agriculture Training Manual – Pest, Disease and Weeds. Version 1.0 June 2011. Edited by Gilles Weidmann and Lukas Kilcher. Research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FiBL, Frick

IFOAM. 2003. Training Manual for Organic Agriculture in the Tropics. Edited by Frank Eyhorn, Marlene Heeb, Gilles Weidmann, p 156-183, http://www.ifoam.bio/

작성일

Fri, 15/05/2015 - 14:58 

출처 

IFOAM - Organics International

‘IFOAM - Organics International’ has been leading, uniting and assisting the Organic Movement since 1972. 

As the only global organic umbrella organization, we are committed to advocating Organic Agriculture as a viable solution for many of the world’s pressing problems. With around 815 affiliates in over 120 countries, we campaign for the greater uptake of Organic Agriculture by proving its effectiveness in nourishing the world, preserving biodiversity, and fighting climate change. We also offer training courses, provide services to standard owners, certifiers, operators, and realize organic programs.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고려사항  (0) 2017.03.21
유기농업의 소개  (0) 2017.03.20
한골띄기 농법  (0) 2017.03.09
맥류와 콩의 사이짓기  (0) 2017.02.21
벼논양어를 소개합니다  (0) 2017.02.17
728x90

Greggor Ilagan initially thought a ban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was a good idea. 




KONA, Hawaii — From the moment the bill to ban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on the island of Hawaii was introduced in May 2013, it garnered more vocal support than any the County Council here had ever considered, even the perennially popular bids to decriminalize marijuana.


Public hearings were dominated by recitations of the ills often attributed t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r G.M.O.s: cancer in rats, a rise in childhood allergies, out-of-control superweeds, genetic contamination, overuse of pesticides, the disappearance of butterflies and bees.


Like some others on the nine-member Council, Greggor Ilagan was not even sure at the outset of the debate exactly wha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were: living things whose DNA has been altered, often with the addition of a gene from a distant species, to produce a desired trait. But he could see why almost all of his colleagues had been persuaded of the virtue of turning the island into what the bill’s proponents called a “G.M.O.-free oasis.”



Papaya genetically modified to resist a virus became one part of a controversy. 



“You just type ‘G.M.O.’ and everything you see is negative,” he told his staff. Opposing the ban also seemed likely to ruin anyone’s re-election prospects.


Yet doubts nagged at the councilman, who was serving his first two-year term. The island’s papaya farmers said that an engineered variety had saved their fruit from a devastating disease. A study reporting thata diet of G.M.O. corn caused tumors in rats, mentioned often by the ban’s supporters, turned out to have been thoroughly debunked.


And University of Hawaii biologists urged the Council to consider theglobal scientific consensus, which holds that existing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re no riskier than others, and have provided some tangible benefits.


“Are we going to just ignore them?” Mr. Ilagan wondered.


Urged on by Margaret Wille, the ban’s sponsor, who spoke passionately of the need to “act before it’s too late,” the Council declined to form a task force to look into such questions before its November vote. But Mr. Ilagan, 27, sought answers on his own. In the process, he found himself, like so many public and business leaders worldwide, wrestling with a subject in which popular beliefs often do not reflect scientific evidence.


At stake is how to grow healthful food most efficiently, at a time when a warming world and a growing population make that goal all the more urgent.


Scientists, who have come to rely on liberals in political battles over stem-cell research, climate change and the teaching of evolution, have been dismayed to find themselves at odds with their traditional allies on this issue. Some compare the hostility to G.M.O.s to the rejection of climate-change science, except with liberal opponents instead of conservative ones.


“These are my people, they’re lefties, I’m with them on almost everything,” said Michael Shintaku, a plant pathologist at the University of Hawaii at Hilo, who testified several times against the bill. “It hurts.”


But, supporters of the ban warned, scientists had not always correctly assessed the health and environmental risks of new technology. “Remember DDT?” one proponent demanded.


Ms. Wille’s bill would ban the cultivation of any genetically engineered crop on the island, with the exception of the two already grown there: corn recently planted by an island dairy to feed its cows, and papaya. Field tests to study new G.M.O. crops would also be prohibited. Penalties would be $1,000 per day.


Like three-quarters of the voters on Hawaii Island, known as the Big Island, Mr. Ilagan supported President Obama in the 2012 election. When he took office himself a month later, after six years in the Air National Guard, he planned to focus on squatters, crime prevention and the inauguration of a bus line in his district on the island’s eastern rim.


He had also promised himself that he would take a stance on all topics, never registering a “kanalua” vote — the Hawaiian term for “with reservation.”


But with the G.M.O. bill, he often despaired of assembling the information he needed to definitively decide. Every time he answered one question, it seemed, new ones arose. Popular opinion masqueraded convincingly as science, and the science itself was hard to grasp. People who spoke as experts lacked credentials, and G.M.O. critics discounted those with credentials as being pawns of biotechnology companies.


“It takes so much time to find out what’s true,” he complained.


So many emails arrived in support of the ban that, as a matter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 Council clerks suspended the custom of printing them out for each Council member. But Mr. Ilagan had only to consult his inbox to be reminded of the prevailing opinion.


“Do the right thing,” one Chicago woman wrote, “or no one will want to take a toxic tour of your poisoned paradise.”


Distrust on the Left


Margaret Wille, 66, had the island’s best interests at heart when she proposed the ban, Mr. Ilagan knew.


She majored in cultural anthropology at Bennington College in Vermont and practiced public advocacy law in Maine before moving a decade ago to the island, where her brothers once owned a health food store.


And her bill, like much anti-G.M.O. action, was inspired by distrust of the seed-producing biotechnology companies, which had backed a state measure to prevent local governments from regulating their activity.


That bill, which passed the State Senate but stalled in the House, appeared largely aimed at other Hawaiian islands, which were used by companies like Monsanto, Syngenta and Dow as a nursery for seeds. onKauai, for instance, activists had been talking about how to limit the companies’ pesticide use.


The companies had no corporate presence here on the Big Island, which lacks the large parcels of land they preferred. Still, Ms. Wille said at a “March Against Monsanto” rally last spring, if the island allowed farmers to grow genetically modified crops, the companies could gain a foothold. “This represents nothing less than a takeover of our island,” she told the crowd. “There’s a saying, ‘If you control the seed, you control the food; if you control the food, you control the people.’ ”


Ms. Wille, chairwoman of the Council’s Agriculture Committee, warned her colleagues that what mattered was not the amount of food produced, but its quality and the sustainability of how it was grown.


“My focus is on protecting our soil and the farms and properties that are not G.M.O.,” she said, noting also that there was a marketing opportunity for non-G.M.O. products.




Margaret Wille, the sponsor of the ban on G.M.O.’s, spoke of the need to “act before it’s too late.” 




Such sentiments echoed well beyond Hawaii, as Mr. Ilagan’s early research confirmed.


College students, eco-conscious shoppers and talk show celebrities likeOprah Winfrey, Dr. Oz and Bill Maher warned against consuming food made with genetically modified ingredients. Mr. Maher’s audience, in turn, recently hissed at a commentator who defended genetic modification as merely an extension of traditional breeding.


New applications of the technology, so far used mostly on corn, soybeans, cotton, canola and sugar beets to make them more resistant to weeds and pests, have drawn increased scrutiny. A recent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 bulletin, for instance, pictures the first genetically modified animal to be submitted for regulatory approval (a faster-growing salmon) jumping from a river to attack a bear, with the caption “No Frankenfish!” In a 2013 New York Times poll, three-quarters of Americans surveyed expressed concern about G.M.O.s in their food, with most of those worried about health risks.


As Ms. Wille’s bill was debated here throughout 2013, activists elsewhere collected 354,000 signatures for apetition asserting that G.M.O.s endanger public health. In the Philippines, protesters, citing safety concerns, ripped up a test field of ricegenetically engineered to addressVitamin A deficiency among the world’s poor. A new children’s book turned its heroine into a crusader against genetic modification: “These fruits and vegetables are not natural,” she declares.


And bills were proposed in some 20 states to require “G.M.O.” labels on foods with ingredients made from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bout three-quarters of processed foods now have such ingredients, mostly corn syrup, corn oil and soy meal and sugar).


The legislation is backed by the fast-growing organic food industry, which sees such labeling as giving it a competitive advantage. It has also become a rallying cry among activists who want to change the industrial food system. Rachel Maddow declared the narrow failure of ballot initiatives to require G.M.O. labeling in California and Washington a “big loss for liberal politics.”


Whole Foods has pledged that by 2018 it will replace some foods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ingredients and label others; signs in Trader Joe’s proclaim, “No G.M.O.s Sold Here.” General Mills announced last week that it would stop using genetically modified ingredients in its Cheerios.


But the groundswell against genetically modified food has rankled many scientists, who argue that opponents of G.M.O.s have distorted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m and underplayed the risks of failing to try to use the technology to improve how food is grown. Wading into a debate that has more typically pitted activists against industry, some have argued that opposition from even small pockets of an American elite influences investment in research and the deployment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particularly in the developing world, where hunger raises the stakes.


“Just as many on the political right discount the broad scientific consensus that human activities contribute to global warming, many progressive advocacy groups disregard, reject or ignore the decades of scientific studies demonstrating the safety and wide-reaching benefits”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Pamela Ronald, a professor of plant pat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wrote on the blog of the nonprofit Biology Fortified.


And other scientists, including two Nobel Prize winners, wrote an opinion article for the journal Science last fall titled “Standing Up for G.M.O.s.”


As he traversed the island and the Internet, Mr. Ilagan agreed with constituents that there was good reason to suspect that companies like Monsanto would place profit above public safety. He, too, wished for more healthful food to be grown more sustainably.


But even a national ban on such crops, it seemed to him, would do little to solve the problems of an industrial food system that existed long before their invention. Nor was it likely to diminish the market power of the “Big Ag” companies, which also dominate sales of seeds that are not genetically modified, and the pesticides used on both. The arguments for rejecting them, he concluded, ultimately relied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unsafe.


Making up his mind about that alone would prove difficult enough.



The Rainbow Papaya


The papaya farmers appeared, pacing restlessly, outside Mr. Ilagan’s office shortly after Ms. Wille introduced the proposal for a G.M.O. ban in May.


There were only around 200 of them on an island with a population of about 185,000, but many lived in his district. They wanted to be sure he understood that genetically modified papayas, the only commercially grown G.M.O. fruit in the United States, account for three-quarters of the 30 million pounds harvested annually here.


“They’re treating us like we’re criminals,” said Ross Sibucao, the head of the growers’ association.


Another Council member favored razing every genetically modified papaya tree on the island.


But under Ms. Wille’s bill, the modified papaya, known as the Rainbow, was grandfathered in, as long as farmers registered with the county and paid a $100 annual fee.


“You’re exempted,” Mr. Ilagan reassured Mr. Sibucao.


Even so, Mr. Sibucao replied, the bill would stigmatize any genetically modified food, making the Rainbow harder to sell.


Many of the island’s papaya farmers, descendants of immigrants who came to work on sugar plantations, have links to the Philippines, as does Mr. Ilagan, who immigrated from there as a child. As the plantations faded in the 1980s, some began growing papayas. But after an outbreak of Papaya ringspot virus in the mid-’90s, only the Rainbow, endowed with a gene from the virus itself that effectively gave it immunity, had saved the crop, they told him.


If Mr. Ilagan worried about big biotechnology companies, the farmers told him, the Rainbow should reassure him. Developed primarily by scientists at academic institutions, it was a model for how the technology could benefit small farmers. Its lead developer, the Hawaiian-born Dennis Gonsalves, was, along with others on the team, awarded the 2002 Humboldt Prize for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to United States agriculture in five years.


Japanese as well as American regulators had approved the papaya. And because the virus was spread by insects, which growers had sought to control with pesticide sprays, the Rainbow had reduced the use of chemicals.




The idea of the ban was popular, but not universally so, as pro-G.M.O. T-shirts made clear. 




Mr. Ilagan took their point. “If we as a body pass this,” he said, thinking aloud at the second public hearing in July, “it shows we think all G.M.O.s are wrong.”



Superweeds and Rats


Instructed by the chairman not to applaud, the residents who packed the County Council chamber in Kona on July 3 erupted in frequent silent cheers, signaled by a collective waving of hands and wiggling of fingers.


A few, like Richard Ha, an island farmer who hoped that the diseases afflicting his bananas and tomatoes might be solved with a genetic modification, were there to testify against the ban. Ranchers also were opposed; they wanted the option to grow the genetically modified corn and soybeans for cattle feed that are common elsewhere.


But a vast majority were there in support. Some were members ofG.M.O. Free Hawaii Island, a mix of food activists and entrepreneurs, who argued that the organisms were bad for human health, the island’s ecosystem and eco-conscious business. Others, veterans of the campaign for a partial ban already in place here, reminded the Council of the precedents for Ms. Wille’s bill: In 2008, organic Kona coffee farmers successfully lobbied for a ban on any cultiv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offee. The presence of a G.M.O. crop, they argued, would hurt their reputation and their ability to charge a premium.


At the same time, the county had banned the cultiva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taro, a root vegetable cultivated for centuries in Hawaii.


In the three minutes allotted to each speaker at the July hearing, some told personal tales of all manner of illness, including children’s allergies, cured after going on a “non-G.M.O.” diet. one woman took the microphone “on behalf of Mother Earth and all sentient beings.” Nomi Carmona encouraged Council members to visit the website of her group, Babes Against Biotech, where analyses of Monsanto’s campaign contributions are intermingled with pictures of bikini-clad women.


Many of the most impassioned speakers came from Mr. Ilagan’s district of Puna, known for its anti-establishment spirit. “These chemical companies think they’re going to win,” one woman said. “Hell, no, they’re never going to win here.”


Organic farmers worried that their crops would be contaminated also made an impression on the councilman, though he felt that the actress Roseanne Barr, who owns an organic macadamia nut farm here, could have been kinder to the papaya farmers in the room.


“Everybody here is very giving,” she had told them. “They will bend over backwards to help you burn those papayas and grow something decent.”


More striking to Mr. Ilagan was the warning of Derek Brewer, 29, an Army veteran who served in Iraq and Afghanistan before coming to Hawaii to help found an eco-hostel. “We don’t fully understandgenetics,” Mr. Brewer said, his dark hair tied back in a ponytail. “Once you change something like this, there is no taking it back.”


What really stuck with Mr. Ilagan were the descriptions of tumorous rats. Reading testimony submitted before the hearing, he had blanched at grotesque pictures of the animals fed Monsanto’s corn, modified with a gene from bacteria to tolerate an herbicide. According to the French researcher who performed the study, they developed more tumors and died earli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re we all going to get cancer?” Mr. Ilagan wondered.



Sifting Through Claims


The next week, when his legislative assistant alerted him that the rat study encountered near-universal scorn from scientists after its release in autumn 2012, doubt about much of what Mr. Ilagan had heard began to prick at his mind.


“Come to find out, the kind of rats they used would get tumors anyway,” he told his staff. “And the sample size was too small for any conclusive results.”


Sensitive to the accusation that her bill was antiscience, Ms. Wille had circulated material to support it. But in almost every case, Mr. Ilagan and his staff found evidence that seemed to undermine the claims.


A report, in an obscure Russian journal, about hamsters that lost the ability to reproduce after three generations as a result of a diet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had been contradicted by many other studies and deemed bogus by mainstream scientists.


Mr. Ilagan discoun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ise in childhood allergies and the consumption of G.M.O.s, cited by Ms. Wille and others, after reading of the common mistake of confusing correlation for causation. (One graph, illustrating the weakness of conclusions based on correlation, charted the lock-step rise in organic food sales and autism diagnoses.)


Butterflies were disappearing, but Mr. Ilagan learned that it was not a toxin produced by modified plants that harmed them, as he had thought. Instead, the herbicide used in conjunction with some genetically modified crops (as well as some that were not) meant themilkweed on which they hatched was no longer found on most Midwestern farms.


He heard many times that there were no independent studies of th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But Biofortified, which received no funding from industry, listed more than a hundred such studies, including a 2010 comprehensive review sponsored by the European Union, that found “no scientific evidence associating G.M.O.s with higher risks for the environment or for food and feed safety than conventional plants and organisms.” It echoed similar statements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and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 blog post on the website of NPR, a news source Mr. Ilagan trusted, cataloged what it called “Top Five Myths of Genetically Modified Seeds, Busted.” No. 1 was a thing he had long believed: “Seeds from G.M.O.s are sterile.”


One of the more alarming effects of G.M.O.s that Ms. Wille had cited was suicides among farmers in India, purportedly driven into debt by the high cost of patented, genetically modified cotton seeds.


Biotechnology companies, she said, “come in and give it away cheap, and then raise prices.”





Mr. Ilagan with Alberto Belmes, one of the growers of genetically modified papayas whose views helped change Mr. Ilagan’s mind. 



Monsanto’s cotton, engineered with a gene from bacteria to ward off certain insects, had “pushed 270,000 farmers to suicide” since the company started selling it in India in 2002, the activist Vandana Shiva said in a Honolulu speech Ms. Wille attended.


But in Nature, a leading academic journal, Mr. Ilagan found an articlewith the subhead “GM Cotton Has Driven Farmers to Suicide: False.”


According to the Nature article, peer-reviewed research in 2011 found that suicides among farmers were no more numerous after the new seeds were introduced than before. And a 2012 study found that farmers’ profits rose because of reduced losses from pest attacks.


“There’s farmers committing suicide because of the whole debt issue, but it’s not because of the G.M.O. issue,” Mr. Ilagan said he concluded in mid-August.


Still, it was hard not to be spooked by material emailed by constituents and circulated on Facebook: images oftomatoes with syringes stuck in themand of pears and apples stapled together, warnings of children harmedby parents serving genetically modified food. The specter of genetic contamination still haunted him. And his mother, who had always served papaya at home, had stopped because of her new concerns about the Rainbow variety.



Learning From a Researcher


The scientists at the national agriculture research center here were not accustomed to local Council representatives dropping by unannounced.


But one day in August, Mr. Ilagan recalled, when he turned up in search of someone who could answer questions about genetic contamination, he found a molecular biologist willing to help.


“It’s kind of a loaded term,” the councilman remembered the scientist, Jon Suzuki, saying. “What they’re talking about is cross-pollination, which is something that happens all the time within species.”


The councilman knew little about how food was grown. He enlisted in the Air National Guard immediately after high school and abandoned his first semester of community college classes when he decided to run for the Council seat.


Dr. Suzuki gave him a tutorial on plant reproduction, Mr. Ilagan recalled, explaining that with the wind, insects and animals spreading pollen and seeds, cross-pollination can never be entirely avoided.


But, Mr. Ilagan learned, by staggering planting times and ensuring a reasonable distance between crops, it is usually possible to avoid large-scale mingling. Also, plants have different fertilization methods: The Rainbow papaya, for instance, was largely self-fertilizing. If it is planted about 12 feet away from other varieties, the chance of cross-pollination is exceedingly low.


“But what about the papaya contaminating” — Mr. Ilagan recalls correcting himself — “cross-pollinating with a pineapple?”


This was the part he had trouble explaining to himself. Was the virus gene from the papaya also in Ms. Barr’s macadamia nuts and the organic coffee farmer’s beans?


Dr. Suzuki paused.


“With plants of different species — it’s kind of like how you don’t cross a cat with a dog and expect to have offspring,” he said.


“Duh!” exclaimed Mr. Ilagan. “I should have realized that.”


In the following weeks, Mr. Ilagan sometimes called Dr. Suzuki with his question du jour. For instance, do weeds near genetically modified crops turn into “superweeds” because of a rogue gene?


The scientist, he recalled, helped him understand that “superweeds” were weeds that had evolved resistance to a widely used herbicide — most likely faster than they would have if farmers had not used it so much on crops genetically engineered to tolerate it.


Biotechnology firms were already selling seeds that tolerated other, less benign herbicides, Mr. Ilagan learned. But that was a different problem from the specter conjured by a woman at one of the hearings, who said that “G.M.O.s are cross-pollinating with weeds that now can’t be controlled.”


Asked about the danger of moving genes among species where they had not originated, Dr. Suzuki explained that for millenniums, humans had bred crops of the same species to produce desired traits. But with the advent of genetic engineering, it became possible to borrow a feature from elsewhere on the tree of life. An example Mr. Ilagan later learned about was the rice being tested in the Philippines. Modified with genes from bacteria and corn, it can provide Vitamin A, the deficiency of which is a scourge of the world’s poor.


That did not mean genetically engineered food could never cause harm. But the risks of such crops could be reliably tested, and they had so far proved safe. “With scientists, we never say anything is 100 percent certain one way or another,” Dr. Suzuki said. “We weigh conclusions on accumulated knowledge or evidence — but often this is not satisfactory for some.”



Silencing the Scientists


On Oct. 1, Mr. Ilagan voted to block the bill from moving out of committee, shortly after a day of what Ms. Wille and Brenda Ford, another Council member who was a proponent of the ban, had described as expert testimony.




The Rainbow papaya is genetically modified to resist a virus that devastated other papaya varieties on Hawaii.



At the hearing on Sept. 23, he had grown increasingly uneasy as his fellow Council members declined to call several University of Hawaii scientists who had flown from Oahu, instead allotting 45 minutes to Jeffrey Smith, a self-styled expert on G.M.O.s with no scientific credentials.


On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biologist, Richard Manshardt, responded to a question from Ms. Ford about the effect on honeybees of corn engineered to resist pests: none, he said, because the protein it produced affected only certain insect groups, and was not toxic to bees.


“I don’t agree with the professor,” Ms. Ford told her colleagues.


Many University of Hawaii scientists had already registered their opposition to the bill, in written and oral testimony and letters in the local papers.


If the ban passed, local farmers could not take advantage of projects underway at the university and elsewhere, they noted, including drought-tolerant crops and higher-yield pineapple plants. Genetic engineering is a precise technique that “itself is not harmful,” the dean of the school’s College of Tropical Agriculture and Human Resources, Maria Gallo, wrote in one op-ed.


But Ms. Wille had largely dismissed the opinions of university researchers, citing Monsanto contributions to the university. In 2012, she noted, the company made a one-time donation of $600,000 for student scholarships at the College of Tropical Agriculture and Human Resources, an amount that the college said represented about 1 percent of its annual budget that year.


“It is sad that our state has allowed our university departments of agriculture to become largely dependent upon funding grants from the multinational chemical corporations,” Ms. Wille told reporters, suggesting that the university’s professors were largely a “mouthpiece for the G.M.O. biotech industry.” She did, however, rely on the opinion of a specialist in organic agriculture practices at the university, Hector Valenzuela, who supported the bill.


Mr. Smith, known for “Genetic Roulette,” a movie he produced based on his book of the same title that had been shown at one of the island’s “March Against Monsanto” events, appeared at the hearing by Skype from Arizona.


He praised the Council for stepping in where he believes that federal regulatory agencies have failed, and suggested that the Rainbow papaya could harm people because of a protein produced by the viral gene added to it, adding that no human or animal feeding studies had ever been conducted on the fruit.


Mr. Ilagan was genuinely curious to hear the author’s take on his own latest realization: Each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was different, and came with its own set of trade-offs.


“I don’t see a blanket ban,” he told his staff that week. “It seems like it should be a case-by-case thing.”


“Aloha, Mr. Smith,” Mr. Ilagan said when he had his turn. “Or is it Dr. Smith?”


“No, Jeffrey’s fine,” Mr. Smith said over Skype.


“In your world,” Mr. Ilagan asked, “is there any room for any G.M.O.?”


Mr. Smith replied that there was not.


In the afternoon, Dr. Gonsalves, who led the development of the Rainbow papaya, was given time to respond to Mr. Smith’s allegations. He laid to rest a lingering question about papaya safety that had troubled Mr. Ilagan.


He explained that any papaya infected by the ringspot virus contains the protein Mr. Smith had mentioned as potentially dangerous in the genetically modified Rainbow. Moreover, plant viruses do not infect people. “Everyone was eating virus-infected papaya in the 1990s,” Dr. Gonsalves said. “And now you want to do feeding studies?”


With one member absent, only one other Council member joined Mr. Ilagan in opposing the bill. The Council deferred a decision on creating a task force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bann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Ms. Wille assured her colleagues that, upon the bill’s passage, she would support the formation of such a group. But it was better not to delay, she said: “I want to draw a line in the sand until we can take a closer look.”



Angry Voters


The response to Mr. Ilagan’s vote was swift and unambiguous.


He was mocked on Facebook and pilloried in letters from constituents. “You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ntrived arguments from the pro-G.M.O. interests,” one letter read. “Many of my fellow Puna residents will seriously consider more progressive candidates for the next Council term.”


“Greggor, what do you think you’re doing?” his campaign manager, Kareen Haskin, 70, a close family friend, asked him. “The main thing I told people was you would listen to them.”

He told her that though a vocal minority supported the ban, many other constituents knew little about the complex issue. “I have to do what’s right for them, too.”




Farmers outside the County Council chamber listened to a discussion about the ban. 




He told Ms. Haskin what he had learned about health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genetic engineering. But as he had found often happened in conversations about G.M.O.s, the subject quickly shifted. “We don’t want corporations to own all the seeds,” she said.


Mr. Ilagan was as opposed as Ms. Haskin was to big businesses controlling a market, in part by using patents that prohibit farmers from replanting or selling their seeds. But banning crops because they were made with genetic engineering would not change the patent laws, he told her.


Mr. Ilagan had been alarmed by testimony from farmers who said they could be sued by Monsanto and other patent-holders when patented seeds ended up in their fields by accident. But he found there was no evidence that Monsanto had ever initiated such a lawsuit.


“I’m still trying to voice this out,” he said, “but to me it just seems symbolic. Like doing something that seems good, but not really achieving what you want to achieve.”


Ms. Haskin took his hand. “You have to vote for this bill,” she pleaded. “What about all the pesticides being sprayed on our food?”


The conversation, he noticed, had turned again.



Emotional Testimony


The Council meeting on Oct. 15 started with public testimony that lasted more than seven hours.


Again, Mr. Ilagan found himself touched by the emotion of the crowd. A mother brought her 8-year-old to testify. Mr. Brewer, the eco-hostel owner, was in the audience with his wife, who is deaf, signing so she could follow the debate. Invoking the Hawaiian word for “land,” several speakers — not necessarily of Hawaiian descent — begged for “our aina” to be preserved. “Our island can be the uncontaminated seedbed for the world,” one said.


Those in favor of the bill outnumbered those opposed by more than five to one.


Lukas Kambic, a biology major at the University of Hawaii at Hilo, sought to use his own experience to counter the anecdotes others voiced that night. “My mom ate organic food exclusively and did yoga all the time, and she died of a brain aneurysm,” Mr. Kambic said. “According to the logic of people here, she was killed by organic food and yoga.”


The room was silent.


Knowing that the final vote on the ban was yet to come, Mr. Ilagan voted “no” after the hearing. Then nearly 1,000 people quickly signed a petition demanding that he change his vote at the final hearing, scheduled for Nov. 18. For the first time in his career as councilman, he began to consider voting “kanalua” — yes, with reservation.


In early November, he sought to escape with a friend to a condo in Kona, only to be accosted at the pool by a voter demanding answers.


And on Nov. 14, Mr. Brewer, the veteran who runs an eco-hostel, visited him in his office. They discussed Mr. Brewer’s conviction that cross-pollination by G.M.O.s would do unknown harm to the environment and detract from the island’s image.


“We need all the votes we can get to override” a possible veto by the mayor, Mr. Brewer said. “Do you think you can vote for this bill, Greggor?”


Mr. Ilagan still had questions of his own. one scientist he had spoken to said the built-in pesticide in corn should not worry him, because many plants contain their own natural pesticides. “I still want to track that down,” he told his staff. “What is an example of a natural pesticide?”


Maybe, he thought, he would join the long-promised task force, which would weigh the implications of banning G.M.O.s on the island and report back to the Council.


The final hearing on the bill was not unlike the first. Superweeds were mentioned. Indian suicides. Contamination.


Ms. Wille urged a vote for the ban. “To do otherwise,” she said, “would be to ignore the cries from round the world and on the mainland.”


“Mr. Ilagan?” the Council member leading the meeting asked when it came time for the final vote.


“No,” he replied.


The ban was approved, 6 to 3.


The mayor signed the bill on Dec. 5.


At the Council meeting on Dec. 17, Ms. Wille’s motion to create a committee to study the impact of bann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on the island was not seconded, and she withdrew it. Stunned, Mr. Ilagan briefly considered making his own motion to form a task force. But he could see he would not have enough support.


It was time to move on. A fast-growing subdivision in his district needed a community park. Last week, Mr. Ilagan turned his focus to drumming up support for the bond issue he would need from the county to plan and design it.





http://www.nytimes.com/2014/01/05/us/on-hawaii-a-lonely-quest-for-facts-about-gmos.html?_r=1

728x90
728x90

바이러스는 감염을 확산시키고자 진딧물이 찾아오게 하려고 식물의 생화학을 변화시킨다 



BBSRC의 자금을 받은 캠브리지 대학의 연구진은 바이러스가 이미 감염된 작물에 영원히 정착하여 곤충들의 기를 꺾고, 건강한 작물에 감염을 확산되도록 진디를 앞잡이로 이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진디는 여러 유형의 식물을 공격하고 작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매개체가 되는 수액을 빨아먹는 곤충이다. 작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진디가 찾아오도록 식물의 냄새와 맛 같은 생화확을 변화시킨다. 이는 건강한 작물로 바이러스를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퍼뜨리는 원인이 되어, 곤충을 쫓아버린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의 농업에 중요할 수 있다. 다양한 기관과 함께 일하는 John Carr 박사와 동료들은 중요한 작물에서 진디를 유인하는 식물을 배치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을 막아 자원이 빈약한 농민들의 생계를 돕고자 하고 있다. 



About this research, Dr Carr said: "The work started almost accidentally when about five years ago a student and I noticed that aphids became sick or died when confined on a virus-infected plant. It's an illustration of how research driven by curiosity can lead to findings that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in the real world – in this case in combating crop-damaging insects and the viruses they transmit."

The Cambridge team collaborated with researchers at Imperial College, London, using Arabidopsis plants as hosts and monitoring the effect that the crop-infecting cucumber mosaic virus had. It was observed that the virus launched a concerted attack on the plant's immune system whilst concurrently altering its biochemistry; in this way, the weakened Arabidopsis plant was unable to fight off either its attacker or visiting aphids. The aphids, instantly repelled by the smell and taste of the plant, left for healthier plants, but not before landing on the plant and contracting the virus. In this way, the mosaic virus ensured that the spread of the infection would be self-sustaining and highly efficient.

This research focuses on an example of what evolutionary biologist Richard Dawkins has called the 'extended phenotype'. For Dawkins, the word 'phenotype' (the traits of an organism) should not be limited solely to biological processes, but should also be used to describe all effects that a gene has on the organism or environment in which it exists, or other organisms nearby. In this case, it was discovered that a virus influences the infected host, the Arabidopsis plant, and forces the host to change in a way that is beneficial to the parasite.

This revolutionary research has been done as part of a £16M Sustainable Crop Production Research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SCPRID) initiative to use bioscience in the improvement of food security in developing countries. Bioscience is playing an increasingly crucial part in meeting the challenges of feeding an ever-expanding population, projected to increase to 9 billion people by 2050. By developing ways to mitigate pest impact and reduce the spread of parasites, scientists are working to ensure successful harvests, now and in the future.

The study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PLOS onE.

ENDS

Notes to editors

The paper 'A trio of viral proteins tunes aphid-plant interactions in Arabidopsis thaliana' is published in PLOS onE. DOI: 10.1371/journal.pone.0083066

This work is funded by the Leverhulme Trust and the Sustainable Crop Production Research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SCPRID) programme, which is funded by the 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BBSRC), the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and (through a grant awarded to BBSRC) 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The Cambridge team worked with groups at Rothamsted Research (UK), Biosciences eastern and central Africa - Inter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Hub (BecA-ILRI Hub), Nairobi, Kenya, and the Eastern and Central Africa Bean Research Network (ECABREN) coordinated by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Tropical Agriculture (CIAT), Kampala, Uganda.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