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2월 24일. 제주도 토종 수집 조사의 1차가 끝나는 날이다. 하늘은 오늘도 흐릿한 편. 햇빛이 그립다. 첫날 숙소에 남겨 놓고 왔던 내복을 다시 찾아 입고 돌아다녔다. 그만큼 제주의 날씨를 얕보았다고 할까?

마지막으로 어음리를 다시 한 번 들렀다. 이곳이야말로 그동안 다녔던 곳 가운데 뭔가 있을 만한 곳. 마지막 날까지 한숨도 돌리지 않고 토종을 찾기 위해 강행군을 했다. 그 결과 산무라는 걸 하나 발견했다.

 

어음리에서 발견한 산무의 꽃. 원래 밑에서 자라던 것이 어떻게 200m 이상 되는 곳까지 올라갔는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이 마을에서는 이걸로 김치를 담가 먹곤 했단다.

 

 

 

그리곤 잠시 비행기 시간을 기다릴 겸 한림공원을 찾았다. 이곳은 고생고생하며 개발한 공원인데, 그저 그렇게 이름만 달고 있는 곳보다는 훨씬 알찬 내용을 담고 있어 재밌었다. 여러 이색적인 식물이 많았는데, 그래도 나에게는 민속촌이 가장 눈길을 끌었다.

 

 

 

장식으로 가져다 놓은 것인지, 아니면 새로 만들어 놓은 것인지 모르겠지만 하루방을 천천히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좋았다. 안완식 박사님은 저쪽에서 또 분주하게 다니시며 자료를 모으시고 있다. 

 

처마를 길게 낼 수 없는 제주 집의 특성 때문에 생긴 처마랄까? 지붕에 올린 짚으로 이렇게 길게 내려면 바람에 날려 제대로 간수할 수 없었을 게다. 그래서 집집마다 이런 식으로 처마를 따로 설치했다. 

 

물허벅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는 사진. 이전에 100살이 가깝다는 할머니 집에서 본 형태가 온전히 보존되어 있다. 물론 제대로 쓰이진 않는 박물관의 흔적일 뿐이지만, 이런 형태로라도 볼 수 있다는 것이 소중하다. 

 

 제주는 따로 아궁이를 만들지 않고 돌을 놓고 거기에 솥을 얹었다. 왜 그럴까? 한참 고민하고 묻곤 했다. 날이 따뜻해서 그런 것도 있겠고, 설명을 들으니 제주의 특성이 빨리빨리 수습해서 도망가야 하던 시절 때문에 이런 형태의 부엌이 나오지 않았겠냐는 말도 있었다. 무엇이 맞는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제주의 삶은 지금 보는 모습과 달리 엄청 척박했음이 틀림없다.

 

 제주의 말방아. 제주는 소 만큼 말이 흔해 말을 잘 부렸다. 농사를 지을 때도 그랬고, 이렇게 방아를 찧을 때도 그랬다. 물론 이런 것은 몽골의 흔적일 테다. 몽골이 고려 때 와서 남겨 놓은 것이 조선이란 사회를 지나면서도 남은 것은 섬이라는 특성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옛 우리말을 연구하는 사람이 제주의 말을 연구하는 것일 테다.

 

 

한림공원을 차분히 구경하고 있는 사이에 제주도 여성 농민회의 김정임 선생님이 찾아왔다.

다시 돌아가기 전에 제주에서 모은 토종 씨앗을 나눠 농민의 손에서 제대로 뿌리내리고 씨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그래도 유전자원센타에서 지원을 받았으니, 거기에 부끄럽지 않을 만큼 적당히 씨앗을 남기면서 최대한 제주에서 이 씨앗들이 퍼질 수 있도록 듬뿍듬뿍 퍼서 나누어주었다. 보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만 남기고, 살아 숨쉬는 대로 제주의 땅에서 제주의 하늘 아래 제주 사람의 손으로 남는다면 그것보다 더 좋은 일이 없겠다는 안완식 박사님의 뜻이었다.

이 작업으로 한 시간 넘게 시간을 보내고 서둘러 공항으로 향했다.

오늘은 크리스마스 이브. 그리 큰 뜻은 없지만 남들도 다 가족과 함께 지낸다는 하루인 크리스마스이니 우리도 활동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갔다. 뭐, 그래야 하루만 쉬고 다시 제주로 올 테지만, 그 하루 쉴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기쁨인지 모른다.

메리 크리스마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