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둠벙8

저수지와 둠벙 지도 이런 자료를 보면, 일본은 기본에 충실하다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일본 전국에는 총 17만 개소의 저수지와 둠벙이 있는데, 효고현兵庫県에만 2만4천 개소가 있어 일본에서도 첫째라고 한다. 그 효고현에서도 으뜸은 바로 아와지시淡路市로 5600개소에 저수지와 둠벙이 있고, 다음은 스모.. 2019. 11. 20.
벼와 함께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인도의 혼농임업 혼농임업은 세계적으로 10억 헥타르에서 행해지는 고대의 농법이다. 나무와 떨기나무를 작물과 결합해 식량안보를 높이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완화시키며, 생물다양성을 늘린다. 인도는 주로 농경지에서 혼농임업을 권장해 전체 면적 가운데 나무가 덮은 면적을 현재 24%에서 33%로 증가시.. 2017. 12. 22.
지리를 활용하는 법 지리를 가만히 보면, 유난히 물이 고이든지 물이 나는 곳이 있다. 이런 데는 메워서 무얼 하기보단 연못을 파든 둠벙을 만드는 편이 훨씬 좋다. 자연을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것이다. ‬ 2017. 8. 25.
잃어버린 둠벙을 찾아서 둠벙이란 단어를 처음 들었던 것은 6~7년 전쯤이었다. 논에 붙어 있거나 논 안의 한 귀퉁이에 있는 웅덩이에서 물고기나 개구리를 잡아서 먹었던 기억 속에서나 존재하던 것이 비로소 제 이름을 얻는 순간이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지역마다 덤벙(경북), 둠뱅·툼벙(전남), 둠벙(경기, 충청.. 2013. 6. 27.
둠벙의 부활? 둠벙. 논과 그 주변에 있는 그리 크지 않은 물웅덩이를 가리키는 사투리. 이러한 둠벙이 예전에는 농업용 목적으로 만들어져 중요하게 활용되었다. 바로 수리시설이 좋지 않았던 시절에는 논농사에 필수적인 물, 즉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것이 아주 긴요한 일이었다. 그래서 예전.. 2013. 6. 7.
논 생태계의 보물창고, 둠벙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한 습지인 둠벙이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둠벙: 웅덩이의 방언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둠벙이 논 생태계 생물다양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둠벙이 있는 논이 둠벙이 없는 논에 비해.. 2013. 5.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