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두레5

한국의 두레 http://efw.nfm.go.kr/media/book/pdf/SD071_1994KRAL.pdf 이 내용으로 이미 2006년에 <두레, 농민의 역사>라는 책이 출간되었다. 그 책을 사보셔도 좋고, 이 자료를 내려받아 보셔도 좋겠다. □ 총 론 조사개요 두레考 주강현(책임연구원) 1. 머리말 2. 조선후기의 생산풍습과 두레 1) 이앙법의 확산과 두.. 2013. 7. 10.
라틴아메리카의 '두레' 조직 조선의 '두레'처럼 페루나 볼리비아 같은 라틴아메리카에서는 공동으로 무언가 하는 조직을 "Minga"라고 했나 보다. 그런데 이 라틴아메리카의 농부에게 누가 딸깍이를 준 것일까? 딸깍이랑 풀밀어를 들고 다니시네. La Minga: Episode 101 of The Perennial Plate from The Perennial Plate on Vimeo. The ideas of coo.. 2013. 1. 18.
두레패 조선의 농촌에서는 공동작업을 행하기 위해 단체를 조직하고 농악을 두드리며 능률의 증진을 도모하는 일이 있다. 그 해 6월까지 강우가 많아 벼의 삽앙이 일제히 끝나면, 7월에 들어서부터 각 부락에서 활발히 논의 제초가 행해진다. 그때 논의 한 구석에 “농자천하지대본”이라고 적은 커다란 기를.. 2010. 2. 18.
들돌 이 돌을 들 수 있어야 일꾼 한 사람 몫을 하는 어른이 되었다고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래야 두레에 들어가 함께 어울려 일하고 마을일에 참여했다. 2008. 8. 19.
새참 나르기 두레패가 뜨는 날은 동네 아낙들도 함께 모여 밥을 지어 들로 나른다. 2008.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