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업보조금10

한국 농업의 현주소 정말 중요한 통계 자료가 발표되었구나. 한국은 곡물 자급률도 낮은데 농약과 비료의 사용량은 세계 최고 수준인 이유는 무엇일까? 혹시 농약과 비료를 오남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서둘러 점검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일각에서 글리포세이트를 사용하는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수입량 증가.. 2019. 6. 18.
토종 씨앗 보전은 어떻게 할까 결론부터 말하자. 농민이 토종 씨앗을 재배함으로써 지킬 수 있는 건 작물다양성이다. 우린 흔히 생물다양성을 지키게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작물의 다양성을 지키는 일이다. 그리고 토종 씨앗을 이용하든 신품종을 심든, 농민이 환경에 이로운 농법으로 농사지음.. 2017. 8. 26.
스위스 농업의 직접지불제도 추진 결과와 시사점 FAS-011.pdf 2013. 7. 8.
미국의 옥수수 농업을 다시 생각할 시간 옥수수가 미국의 경관을 지배하고 있다. 중서부와 대평원을 가로질러 펼쳐져 있는 미국의 옥수수 지대는 거대하다. 펜실베니아 중부부터 네브라스카 서부까지 약 2400km를 운전해서 가면 그 영광스런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른 작물은 옥수수의 발 끝에도 미치지 못한다. 왜 그렇게 많은 옥.. 2013. 3. 6.
왜 농업보조금이 늘 의도된 결과를 낳지 못하는가 Agricultural handouts can lead to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often fail to achieve social and economic objectives A tractor works the land near Soham, Cambridgeshire. Photograph: Andrew Parsons/PA Solving the eurozone financial crisis is top of the agenda by some distance in Europe, but it is not the only fundamental issue currently challenging EU policymakers. Reform of th.. 2012. 7. 6.
맞춤형비료 보조금 내년부터 폐지한다 정부에서는 내년부터 화학비료에 대한 농업보조금 지급을 중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화학비료 산업 관계자들의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물론 현장의 농민들, 특히 관행농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생산비 증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을 것이다. 비료 사용은 필요한가 아닌가?.. 2012.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