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경지7

한국 농업은 지속가능한가? 한국의 농업은 지속가능할까요? 토양에 국한해서 보면 그렇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서울대 지리교육과의 변종민 씨의 발표자료를 함께 보시죠.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관령 지역에서 구한 인류세 이전 토양 생성률은 평균 0.05 [mm yr-1]인데, 토지 이용이 집약적인 농경지의 토양 유실률은 생성률에 비해 60배나 높다. 이러한 속도라면 대하천 상류지역 농경지의 표토는 불과 수십 년 안에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현재와 같은 토양 유실이 계속 진행된다면 농업생산비는 더욱 상승하여 현재의 농경 방식은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며, 토양으로 피복된 사면이 암석으로 노출된 경관으로 전환되어 이전 상태로 복원되기 힘들어진다. 따라서 토양 보전을 중심으로 한 토양 유실 방지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토양.. 2020. 10. 3.
6월, 전북의 미세먼지 전북은 농도農道라고 할 정도로 농업의 비중이 크다. 특히나 보리 농사는 전국에서 최고라고 할 정도의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축산업도 상당히 활발하다. 그러나 이걸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다. 왜냐하면 미세먼지 문제 때문이다. 농축산업으로 인한 미세먼지 문제는 최근의 연구결과에.. 2018. 6. 9.
강원도의 흙 강원도는 어쩔 것이냐. 지나친 경작, 비료와 농약의 남용, 그리고 토양의 유기물 부족 등으로 강원도 농경지의 흙은 완전히 망가진 상태이다. 그런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예기치 않은 시기에 많은 비가 쏟아지니 그 비탈밭의 흙이 견디지 못하고 심한 침식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거 이러.. 2018. 5. 25.
미국 농경지의 절반 이상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한다 요약:농민들은 2013년 전체 작물 재배면적의 약 절반에 이르는 1억7000만 에이커에 유전자변형 작물 -주로 옥수수, 목화, 대두- 을 심었다. 해충 관리 특성은 유전자변형 작물로 설계된 주요 특징인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충에 대한 추가적 보호를 제공하는 특성과 몇 가지 특성이 복합된 .. 2017. 8. 29.
고랭지의 토양침식을 막는 방법 재미나고 반가운 소식을 하나 접했다. 점점 심각해지는 고랭지의 토양침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눈개승마를 활용한다는 내용이다. 예전에도 이와 비슷한 방법이 권장되었는데, 그때는 개망초 등이어서 농민들이 잘 나서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 방법은 나물로 활용할 수 있는 풀이라고 .. 2016. 5. 7.
세계의 식량안보 http://webcast.gigtv.com.au/Mediasite/Play/162eb741ac7844aab5f061aa623cc9171d?catalog=987c4484-2bf1-4d12-9d1a-2a6b4446904d 2013.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