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비11 일본, 써레차 화학비료가 널리 쓰이기 전, 풋거름을 논에 넣던 시절에 이를 논흙에 잘 넣기 위해 끌고 다니던 농기구. 長野県 富士見町 池之袋昭和 31年(1956) 6月촬영 武藤盈 2025. 4. 3. 어떤 풋거름 작물을 선택할까 풋거름(녹비) 작물의 종류와 특징1. 목초류 -호밀, 라이밀, 보리, 귀리, 라이그라스 등 . 빨리 자리를 잡고 자람. 토양의 질소를 제거. 높은 탄질비 2. 십자화과 -무, 갓, 순무 등 . 느리게 자리를 잡음. 토양의 질소를 제거(시간만 충분히 주면 목초류보다 훨씬 많이). 중간 정도의 탄질비 3. 콩.. 2017. 9. 8. 풋거름 식물의 실험 풋거름(녹비) 실험 자료를 읽다.몇 가지 종류의 풋거름식물을 섞어서 심은 뒤 그 성적을 비교하는 실험이다. 여기에서는 크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춘다.1) 토양의 질을 개선하는가2) 뒷그루 작물에 이로운가3) 비용은 적당한가이를 위해 (1)무와 갓 (2)귀리와 무 (3)귀리와 베치, 파셀리아 (4).. 2017. 9. 5. 유기농업의 양분 관리 요약토양은 살아 있는 체계이며 토양 비옥도는 농업 생산성의 핵심이다.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는 일은 모든 농업 체계의 기본 단계이다. 어떤 토양 체계에 미생물이 대량으로 존재하면, 양분의 순환이 일어나고 대규모 기질이 식물의 뿌리가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미세한 입자로 분해되.. 2017. 3. 29. 유기농업의 작부 계획과 관리 요약많은 전통농업에서 시간이나 공간에 다양한 작물을 배치하는 걸 볼 수 있다. 여러 식물이 다양한 양분을 요구하기에, 토양의 양분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좋은 작부 계획과 관리가 필요하다. 돌려짓기, 사이짓기, 덮개작물, 풋거름은 토양의 건강과 비옥도를 관리하려는 농민에게 .. 2017. 3. 24. 녹비작물과 탄질율의 분해 특성 녹비작물은 크게 헤어리베치와 같은 두과작물과 호밀과 같은 화본과 작물로 구분할 수 있다. 두과작물은 질소함량이 높아 탄질률(C/N)율이 낮고, 화본과 작물은 높다. 표1에서 보면 호밀의 탄질률(탄소대 질소 비율)=43.7/1.18=37이고, 헤어리베티의 탄질률=43.9/2.93=15이다. 보통 탄질률이 30 이.. 2013. 7. 1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