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노먼 볼로그는 기아에서 수백만 명을 구했다.



1900년대 초반, 신혼 부부 캐시Cathy와 캐피 존스Cappy Jones 씨는 코네티컷을 떠나 애리조나 국경에서 남쪽으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별로 알려지지 않은 건조하고 먼지 많은 곳인 미국 북서부 멕시코의 야키Yaqui 계곡에서 농민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캐피가 1931년에 사망할 때, 캐시 씨는 머물기로 결정했다. 그 무렵 그녀에게는 새로운 이웃이 있었다. 인상적인 돌 기둥과 독창적으로 설계된 관개 운하를 갖춘 대규모 농업연구센터인 야키 계곡 실험소가 그것이다. 


잠시 센터는 소와 양, 돼지를 사육하고, 오렌지와 무화과, 자몽을 재배했다.


하지만 1945년, 농지는 풀이 무성하고, 울타리가 떨어지며, 창문이 부수어졌다. 실험소는 쥐가 창궐했다. 


그래서 캐시는 이 황폐한 곳 -전기와 위생 상태, 또는 흐르는 물이 부족함에도- 에 캠프를 설치하려는 젊은 미국인에 관한 이상한 소문을 듣고서 조사차 차를 몰았다. 


그곳에서 그녀는 많은 작물을 파괴한 질병인 줄기녹병에 저항할 수 있는 밀을 육종하고 있는 록펠러 재단의 노먼 볼로그를 발견했다. 




볼로그는 그의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그가 기반을 두었던 더 남쪽에서 여러분은 봄에 파종하고 가을에 수확해야 했다. 여기에서 그는 다른 기후를 이용해 가을에 파종하고 봄에 수확하고, 다양한 품종의 밀을 선호하도록 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재단은 그 지방에서 작업할 수 있는 허가가 없어서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없었다. 


그것은 기계도 없고, 거주할 공간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을 수도 없다는 걸 의미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아내 마가렛Margaret과 그 딸 제니Jeanie를 멕시코시티에 남겨 두고 어쨌든 떠났다. 


"멕시코에서 그 지위를 받아들이며 무서운 실수를 저지른 것 같았다"고 그는 세계의 기아에 관한 그의 책 서문에서 고백했다.


하지만 그는 직접 보았던 기아의 채찍에 대처하기로 결심했다. "나는 우울증의 최악의 산물이다."라고 그는 2002년 달라시 옵저버Dallas Observer에서 말했다. 


캐시는 청년을 불쌍히 여겨 스페인어를 가르쳐주고, 매주 식사에 그를 초대하며, 샤워를 하고 빨래를 하도록 해주었다. 그는 나중에 그녀의 도움이 없었다면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라 했다. 


그녀는 또한 그를 차에 태워 가장 가까운 마을인 Ciudad Obregón로 데려갔다. 이곳은 23년 뒤 그의 영예를 기려 노먼 볼로그 박사 거리로 이름이 바뀌었다.


같은 해인 1968년 스탠포드 대학의 생물학자 폴 에를리히Paul Ehrlich와 그의 아내 앤Anne은 폭탄 같은 책을 출간했다. 


인구 폭탄(The Population Bomb)에서 그들은 인도와 파키스탄 같은 빈곤국에서는 인구가 먹을거리 공급보다 더 빨리 성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970년대에 그들은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굶어죽을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폴 에를리히 씨가 199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인구 계산기 앞을 지나고 있다.




Thankfully, Ehrlich was wrong, because he didn't know what Norman Borlaug had been doing. 

Borlaug would later be awarded the Nobel Peace Prize for the years he had spent shuttling between Mexico City and the Yaqui Valley, growing thousands upon thousands of kinds of wheat, and carefully noting their traits: this kind resisted one type of stem rust, but not another; this kind produced good yields, but made bad bread; and so on. 

He couldn't sequence the wheat's DNA to figure out which genes caused which traits, because that technology was decades away. 

But he could cross the varieties which had some good traits, and hope that one of the cross-breeds would happen to have all the good traits and none of the bad. 

It was painstaking work, but eventually it paid off. 

Borlaug produced new kinds of "dwarf" wheat that resisted rust, yielded well, and - crucially - had short stems, so they didn't topple over in the wind.






농업노동자가 시우다드 오브레곤의 실험시설에서 노만 볼로그가 육종한 다수확 녹병 저항성 밀의 곡물을 보여주고 있다. 




Through further tests, he worked out how to maximise their yield - how far apart to plant them, how deep, with how much fertiliser, and how much water they needed.

By the 1960s, Borlaug was travelling the world to spread the news. It wasn't easy. 

In Pakistan, the director of a research institute reported that they'd tried his wheat, but yields were poor. 

Borlaug soon saw why. Ignoring his instructions, they'd planted too deep, too far apart, and without fertilizing or weeding. The man replied, perplexed: "This is the way you plant wheat in Pakistan." 

Many couldn't conceive that a revolution was possible. 

For half a century, Pakistan's wheat yields had been consistent: never above 800lbs (360kg) an acre. Mexican farmers were now getting more than three times that. 

So was Mexico's way worth a shot? No, said an eminent academic. "These figures prove that Pakistan's wheat production will never rise!"





볼로그의 발상은 결국 프라딥 싱가Pradeep Singa 같은 인도 농민에 의해 열정적으로 채택되었다. 




Borlaug could be blunt with people who didn't get it, no matter who they were. In India, he got into a yelling match with the deputy prime minister. 

Eventually his haranguing worked. Developing countries started to import Borlaug's seeds and methods. And from 1960 to 2000, their wheat yields trebled. 

Similar work followed on corn and rice. It was dubbed the "green revolution". Ehrlich had predicted mass starvation but the world's population more than doubled, and food production kept up.

And yet worries about overpopulation never entirely go away. It's one of the oldest questions in economics, dating back to the world's first professor of "political economy", Thomas Robert Malthus

In 1798, Malthus published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which made a simple argument: populations increase exponentially - two, four, eight, sixteen, thirty-two. Food production doesn't.





토마스 멜서스는 인구 증가가 식량 생산을 앞지르면서 생활수준의 단기적 이점은 필연적으로 훼손될 것이라 예측했다.




Sooner or later, he argued, there are bound to be more people than food, with unpleasant consequences. 

Happily for us, it turned out that Malthus had underestimated the fact that, as people get richer, they tend to want fewer children, so populations grow more slowly. 

In fact, 1968 - the year that Paul Ehrlich made his dire predictions - was also the year in which global population growth began to slow. Annual growth has fallen from its 1968 peak of 2.09% to 1.09% in 2018

Malthus and Ehrlich also both underestimated what Norman Borlaug represents: human ingenuity.

But while population growth has slowed, the UN still predicts we'll add another few billion people before the century's end. 

Some experts worry that food yields are no longer increasing quickly enough to keep pace. 

Progress has slowed, and problems are mounting: climate change, water shortages, pollution from fertilisers and pesticides. 

These are problems the green revolution itself has made worse. Some say it even perpetuated the poverty that keeps the population growing: fertilisers and irrigation cost money which many peasant farmers can't get. 

Paul Ehrlich, now in his 80s, maintains that he wasn't so much wrong, as ahead of his time. Perhaps if Malthus were still alive, in his 250s, he'd say the same. 

But could more human ingenuity be the answer?






미국 과학자들은 현지 시험에서 일반적인 것보다 최대 40%까지 성장할 수 있는 담배 식물을 설계했다.



Since genetic modification became possible, it's mostly been about resistance to diseases, insects and herbicides. 

While that does increase yields, it hasn't been the direct aim. 

That's starting to change. And agronomists are only just beginning to explore the gene editing tool CRISPR, which can do what Norman Borlaug did much more quickly. 

As for Borlaug, he saw that his work had caused problems that weren't handled well, but asked a simple question - would you rather have imperfect ways to grow more food, or let people starve? 

It's a question we may have to keep asking in the decades to come.







728x90
728x90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녹색혁명의 공로자인 미국의 육종학자 오르빌 보겔Orville Vogel. 사진은 그가 새로운 하이브리드 밀과 기존 밀을 비교하고 있는 모습이다.

노먼 볼로그와 함께 하이브리드 밀을 개발해 농업사에 한 획을 그은 이 사건은 이런 뒷이야기가 있다고 한다. 세실 살몬Cecil Salmon이란 생물학자가 2차대전 이후 일본에서 16가지 품종의 밀을 수집했는데 -점령군이 점령지에 생물학자를 보내 식물 유전자원을 수집한 걸 보면, 과거부터 미국이 이런 일을 얼마나 중요시했는지 잘 보여준다-, 그 가운데 농림10호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농림10호는 이제는 잘 알려진 것처럼 매우 키가 작은, 한국의 앉은뱅이밀을 바탕으로 육종된 것이라고 한다. 아무튼 살몬 씨는 이 수집품들을 1949년 미국 워싱턴에 있던 오르빌 보겔 씨에게 보낸다. 보겔 씨는 이 수집품들 가운데 농림10호를 활용해 기존의 밀보다 줄기가 좀 더 짧은 새로운 밀 품종을 육종하는 데 성공한다. 보겔 씨가 이끄는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밀에 게인즈Gaine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그가 박사학위를 받은 워싱턴 대학의 지도교수 에드워드 게인즈Edward Gaines 씨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자료에 의하면, 게인즈 밀은 기존 밀보다 약 25% 정도 수확량이 더 높았다. 기존 밀에 비해 키를 줄임으로써 더 많은 양분을 이삭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보겔 씨는 자신의 새로운 밀 품종을 "녹색혁명"의 설계자라 불리며 197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노먼 볼로그Norman Borlaug 씨가 이용할 수 있도록 공유했다. 노먼 볼로그 씨가 노벨상을 수상하며 자신의 업적이 모두 보겔 씨 덕에 가능했다며 감사의 말을 전하기도 한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밀을 교배 육종한 결과물. 차핑고53호와 농림10호.




https://en.wikipedia.org/wiki/Orville_Vogel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