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대농업5

생물문화다양성 보전을 위한 식물종자 보존의 중요성 이 글은 2014년 4월 6일 서울의 노들텃밭에서 열리는 제1회 토종 나눔축제에서 있을 발표회 자료집에 실리는 일본 발표자의 글입니다.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고,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소개합니다. --------- 씨앗은 생명의 신비를 상징한다. 그리고 지구상의 모든 생명의 기반이며, 인간.. 2014. 3. 25.
현대 농업의 일상적 모습 아래의 사진은 인도네시아의 팜야자를 재배하는 플랜테이션 농장의 사진이다. 얼마전 큰 산불이 나서 주변국들에게 연기 피해를 심각하게 끼쳤다는 소식은 들으셨을 것이다. 그 주요 원인이 바로 아래와 같은 팜야자 농장을 개발하기 위해 숲을 불태우는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 .. 2013. 7. 4.
사탕수수의 대규모 단작에서 생태농업 마을로 필리핀의 설탕바구니인 Negros의 Flora 마을은 사탕수수 대농장을 식량과 에너지를 자급하는 쪽으로 다각화하면서 농생태적 마을로 전환했다. 사탕수수 생산이 꽤 줄어들고, 옥수수, 곡물, 콩, 채소 같은 작물로 보완되었다. 농지에서 분해되도록 하여 작물 부산물을 순환시키는 사탕수수 .. 2013. 1. 27.
왜 관행농업은 지속가능하지 않은가 녹색혁명을 채용한 국가의 농업 생산성은 일정 정도 상승한 이후 그대로이거나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남. 예) 멕시코: 옥수수 수확량 3000평에 0.9톤에서 녹색혁명 이후 4.4톤으로 증가, 하지만 이후 이러한 상승률이 주춤함. 세계 곡물 비축량은 6억 3500만 톤에서 해마다 급격히 줄어들어 2000.. 2012. 1. 19.
스리랑카의 전통농업 에드워드 골드스미스의 취재기 초기 농업은 비생산적이라 치부되기 일쑤다. 하지만 사실 그것은 미래에 가장 희망적인 농업이다. 농민인 무디얀세 테네쿤Mudiyanse Tennekoon 씨는 스리랑카의 전통적인 농촌 생활의 선지자이다. 그는 농사지으며 쿠레네갈라Kurenegala의 작은 마을에 산다. 최근 그는 FAO나 특.. 2010.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