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雜다한 글

올해 한글날에도 어김없이 나온 이야기

by 石基 2019. 8. 27.
반응형
後肢.

나는 처음 "후지"라는 단어를 듣고 이거 일본말인가, 무얼 가리키는 말이지 하고 곰곰이 생각하곤 했다. 한자를 알고는 그제야 무엇을 가리키는 단어인지 비로소 잘 알게 되었다. 그냥 '뒷다리'라고 하면 누구나 쉽게 단박에 알 수 있는데 왜 후지라는 단어가 자리를 잡게 되었을까?

지난 한글날 언론과 각층에서 역시나 농사 속에 있는 일본말을 한국어로 다듬는 일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나 요즘 반일 감정 때문인지 매년 나오던 주장인데 올해는 더 많이 보이더라. 아무튼 우리가 우리말로 농사짓지 않은지 얼마나 오래되었는가 돌아볼 일이다.

할머니, 할아버지 들을 만나 농사 이야기를 들으며 나오는 우리말에 저게 저런 뜻으로, 저렇게 쓰이는구나 싶던 순간이 많았다. 그게 10여 년 전이니 요즘 할머니, 할아버지는 어떤지 모르겠다. 부룩이나 대우 같은 단어도 그때 그렇게 배웠다. 부룩이 뭐고, 대우가 뭔지 아무리 머리를 굴리고 해도 알 수가 없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참고로 부룩은 "곡식이나 채소를 심은 밭두둑 사이나 빈틈에 다른 작물을 듬성듬성 심는 걸" 말하고, 대우는 "봄에 보리, 밀, 조 따위를 심은 밭에서 그 사이에 콩이나 팥 따위를 드문드문 심는 걸" 말한다. 즉, 사이짓기나 섞어짓기를 가리키는 순우리말이다. 그러니 사이짓기나 섞어짓기도 요즘 사람들이 알아듣기 좋게 간작과 혼작이란 일본말을 순화한 말이라는 걸 알 수 있다.

한글날의 연례 행사 같은 우리말 농사 용어의 사용과 관련하여 가장 눈에 띈 건, 관에서도 이에 동참하겠다는 소식이었다. 충남도에서 매달 농사 용어 5개씩 선정해 사람들에게 보급하겠다는 것이다. http://www.farm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2886


그런데 말이란 게 어디 누가 보급하고 그렇게 쓰라고 해서 바뀌는 것인가? 그렇게 해서 말이 바뀐다면 일제강점기에 일본놈들 말로 싹 바뀌어 한글이 없어졌겠지. 말이란 건 그렇게 바뀌는 게 아니다만 그래도 두 손 놓고 있는 것보다야 무어라도 노력해 본다니까 내심 기대는 해보고 싶다. 나는 일부러라도 어디 가서 이야기할 때, 그리고 글을 쓸 때 최대한 우리말로 농사를 이야기하려고 한다. 그걸 사람들이 알아듣든지 아니든지 내가 쓰는 말이 이상하다고 느끼면 그게 시작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농담 > 雜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셔액 노즐 교체  (0) 2019.09.02
샘소나이트 가방 수리  (0) 2019.08.27
나에게 건조기는 필요없다   (0) 2019.08.23
호매실...  (0) 2019.08.16
전쟁의 기억  (0)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