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시: 6월 21일 14~16시

장소: 전통농업 연구소

출석:

   주인혜  김초희 김정석 우영미

ㅣ-------------------------ㅣ

ㅣ                                        ㅣ 윤명숙

ㅣ-------------------------ㅣ

     안철환  김석기   태완



내용; <금양잡록> "서문"과 "농가 1"의 벼 품종, 콩과 팥 품종, 녹두, 동부, 완두까지 강독


<금양잡록>은 1470~1480년대에 지어진 책으로서, 경기도 시흥 및 안산, 안양, 과천 일대의 농사에 대해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서문: 강희맹과 동시대의 조위라는 사람이 금양잡록의 의의를 중국의 여러 고사를 들며 설명하고 있다.

서문에 나오는 <시경> 빈풍豳風 칠월편七月篇은 주공周公이 지은 시로서, 농업에 관한 일을 노래함.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농가1: 


"곡품"


먼저 다양한 벼 품종을 설명한다. 벼를 가장 앞에 두고 가장 많은 품종이 설명되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미 벼를 중시했으며 그 농사기술도 상당히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벼 품종에 대한 설명은 주로 1)까락의 유무 2)이삭의 빛깔 3)쌀과 벼의 특징 5)농사지을 때 유의점에 집중되어 있다.


다음은 콩 품종을 설명한다. 역시 쌀과 콩은 한국인의 밥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곡물들이다. 콩 품종의 특징은 당시 대개 개암만 한 알이 커다란 콩을 심었다는 점이다. 현대의 신품종은 그에 비하면 알이 너무나 자잘한 편일 정도이다. 콩 품종과 관련해서는 1)깍지의 특징 2)알의 특징 3)농사지을 때 유의점을 다룬다.  


세 번째는 팥 품종을 다룬다. 팥도 앞의 콩과 비슷한 방식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녹두와 동부, 완두는 비중이 그리 크지 않고 그저 이런 것이 있다는 정도의 설명으로 그친다.


728x90
728x90


728x90
728x90

Bags of hulled rice at Echigo Farm’s processing plant in Higashikanbara, Japan. Echigo Farm, which sells its organic rice at a premium, is a rare upstart in the Japanese rice business. 



For decades, Japan has defended its 778 percent tariffs on rice with a kind of religious zeal. Rice is a sacred crop, the government has argued, not open to trade negotiations. Its farmers are not just defenders of a proud agrarian heritage, but form the nation’s spiritual center as well.


Hardly, says Hiromitsu Konsho, a young organic rice farmer in this rice-growing region of Niigata. Many Japanese farmers have all but given up on their tiny plots, he says. They earn most of their income elsewhere, farming only part time and paying little attention to improving their crops.


Yet, kept on life support by subsidies, production controls and tariffs, these farmers grow mediocre rice year after year, he says. Now an increasing amount of this rice has nowhere to go, as Japanese favor bread over their traditional staple. The government will soon raise subsidies that encourage farmers to divert their rice to animal feed.


More enterprising farms face difficulty in expanding their plots or experimenting with more sustainable cultivation, steps that would let them better compete in a free market.



Hulled rice, at left, and rejected rice and small rocks, right. 



Mr. Konsho points to his Echigo Farm, a rare upstart in rural Japan, whose organically grown rice sells at high-end retailers as far away as Tokyo and Singapore. It faced difficulties at first, but now its rice has become a hit, fetching 5,500 yen per kilogram, or about $24 a pound — almost 10 times the market price.


“It’s high time to revive Japanese rice farming,” Mr. Konsho said.


Echigo Farm almost did not get off the ground 10 years ago, when Mr. Konsho first came to Niigata from a Tokyo office job with the idea of starting an organic rice farm. Bureaucrats tried to block his land leases. Local farmers threw rocks into his rice paddies and flung salt at him, an insult reserved here for evil spirits.


“The idyllic rice farms most city people think of are things of the past,” Mr. Konsho said. “Rice farming is collapsing, and not because of free trade.”


The recent debate over how much Japan should open up its agricultural sector to join a proposed free trade group led by the United State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is opening up new rifts in Japan, rifts that defy traditional urban-rural divides. Increasingly, urban Japanese — and even some farmers — are questioning exactly what those tariffs protect.


Japan has signed only a few limited free trade agreements, thanks to its tough stance on agricultural tariffs. Consumers pay more than twice the global average price for rice, and four times more for wheat.


Still, Japan won’t give an inch on farming tariffs, Akira Amari, Japan’s trade minister, declared at the latest talks for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last month, holding up talks at the 11th hour. The T.P.P., which involve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10 other Pacific Rim nations, would create the world’s biggest free trade zone.


Tens of thousands risk losing their livelihoods if farming tariffs are brought down, critics said at a recent national rally against the T.P.P. in Tokyo.


“How is the government going to protect all the small-time farmer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said Kazumori Yamazaki, a rice farmer from Ishikawa in central Japan.


Shigeaki Okamoto, 52, who runs a successful fruit and vegetable farm in Aichi, in central Japan, says Japanese farmers can compete without tariffs. Unlike rice, Japan-grown vegetables face global competition, with most import levies between 0 percent and 3 percent. Still, four-fifths of the vegetables the Japanese consume are homegrown. Vegetable growers on average earn far more than rice farmers.

Indeed, Japan’s stiff protections on rice no longer have much to do with protecting farmers, Mr. Okamoto says. They instead protect a sprawling network of farm co-ops that has leeched off farmers and stymied their efforts to innovate, he says.


That network, as Mr. Okamoto likes to say, is bureaucracy run amok. About 216,000 people work in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Japan, under the umbrella of the Japan Agricultural Group, or J.A. There is one co-op employee for every two full-time rice farmers. The central government’s ¥2.3 trillion farming budget for the current year is seven times the budget to oversee the nonagricultural 99 percent of the Japanese economy.


Much of that money makes its way to these co-ops, charged with administering production controls on rice, as well as its sales and distribution. Under that system, farmers receive subsidies in exchange for limiting the amount of rice they grow, which keeps rice prices high and small, part-time rice farmers in business. The average Japanese rice farmer spends only about 30 days a year on agricultural work, and over half of all farmers till less than a hectare each of land, about 2.5 acres, according to the latest census data.



Workers at Echigo Farm prepare gift packages of rice, a tradition at the end of the year. The farm’s organic rice is popular. 



The tiny farms find it impossible to achieve economies of scale. But that suits the J.A. just fine, because the organization gets commission income from collecting and selling their crop — something larger, dedicated farms could do on their own. The J.A. also makes money selling small farmers the machinery, fertilizer and pesticides necessary for growing rice part time.


In addition, the J.A. acts as financier to Japanese farmers, handling deposits, loans and insurance in a side business that has made it one of Japan’s largest financial organizations.


Japan could make a full switch to direct-income subsid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have done, which would at least protect farmers against international competition without the need for tariffs. But that would mean the J.A. would lose its commissions and its political clout.


The rise of entrepreneurial farmers like Mr. Konsho or Mr. Okamoto would have the same impact because they do not rely on the J.A. for sales or equipment.


Mr. Okamoto refused to work with the J.A. in expanding his farm, focusing on produce like strawberries, which he is able to sell independently. “Japan’s agricultural policy hasn’t made farmers strong — it’s made them weak to the point of collapse,” he said.


But the biggest problems lie in rice cultivation, Mr. Okamoto says. Most Japanese rice farmers have no incentive to raise the quality of rice they grow, because J.A. buys their harvest regardless of quality. Years of neglect have made Japanese rice not just more costly, but also lower in quality — and more dependent on fertilizer and pesticides — than much of the rice grown in the United States, Southeast Asia or China, industry insiders say.


Regulations that discourage new entrants have made the sector unattractive to younger Japanese. Three-quarters of Japanese farmers are over 60 years old.


One thing that could help entrepreneurial farmers, Mr. Okamoto says, could be the “special economic zones” that are part of Prime Minister Shinzo Abe’s plans to revive the economy. Under those plans, several areas across Japan could experiment with easing regulations, helping farmers to tap outside financing to invest and to expand their fields. Mr. Abe has also said that the government will do away with production controls of rice in 2018.


Experts remain skeptical, however, that there will be real change. Production controls live on even under Mr. Abe’s new plans, albeit as subsidies to farmers who switch to other crops or produce rice for livestock.


Politicians cannot afford to ignore the J.A. The organization is able to deliver votes in rural areas, especially among legions of part-time rice farmers — not to mention dole out much-coveted jobs for farmers’ children.


Kazuhito Yamashita, an agricultural expert at the Canon Institute for Global Studies in Tokyo, said that at Trans-Pacific Partnership negotiations Japan could be forced to offer concessions to the Americans on some farm products, like wheat and sugar. Japan could even expand the small quota of rice imports it accepts each year to appease the United States and other rice producers.


“But Japan will never free up its rice market in the real sense,” he said. “There are too many vested interests.”


Toyokazu Wakatsuki, 47, a farmer whose family has farmed rice for generations in Aga, was initially among local farmers skeptical of Echigo Farm. But now he helps Mr. Konsho run it.

“We’ve been growing rice for the J.A., not for the consumer,” Mr. Wakatsuki said. “Farmers need to start taking the initiative.”




728x90
728x90

유기농업을 단지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개별행위로만 국한시킬 때 발생하는 일... 


유전자변형 벼와 유기농업이 공존할 수 있다는 이러한 주장이 나오게 된다.


유기농업이란 무엇인가?



---------


황금쌀은 다른 품종의 벼를 포함해 다른 작물들과 공존할 수 있었다.


 In markets and supermarkets around the world, there are lots of choices for consumers–including the choice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food. This is good for consumers as they can select whatever product they prefer that is within their budget.

Rice is a staple food for almost half of the global population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in Asia. Rice consumers in this region also have lots of choices among different types of rice that they can select based on price and their quality preferences.

This is all made possible because in many countries, agricultural policies encourage and support different kinds of crop production, including conventional and organic-based farming. Therefore, farmers are able to grow the crops of their choice in the manner they choose, even when their farms are next to each other.

Farmers who produce organically grown crops currently co-exist with farmers who grow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d crops grown in conventional ways. ‘Co-existence’ is the practice of growing different kinds of crops, crops grown in different ways, or crops for different customers nearby or next to each other, while keeping the crops separate so they don’t mix and so their economic value is not affected.

Golden Rice could likewise co-exist with other crops, including other types of rice and rice grown in other ways such as in organic agriculture. Golden Rice is unlikely to impact organic agriculture through cross-pollination—also known as outcrossing or gene flow—for reasons that apply to all cultivated rice. Cross-pollination in rice is rare if plants are separated by a short distance of a few feet or meters and it can only occur when rice plants are flowering at the same time. Moreover, rice pollen is normally viable for only a few minutes after flowering. All these factors mean that organically-grown rice won’t usually cross-pollinate with another cultivated rice variety unless they are growing close together and flower at the same time.

To further minimize the possible accidental mixing of Golden Rice, if it is approved, with other rice varieties, we plan to work with rice producers in areas where Golden Rice could be grown to develop guidelines for cultivation, harvest, transport, storage, and processing of rice to help keep it separate. 



http://www.irri.org/index.php?option=com_k2&view=item&id=12698:can-golden-rice-and-organic-rice-coexist&lang=en

728x90
728x90




Golden Rice is rice that’s been genetically engineered to deliver enough beta carotene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malnourished poor who might eat it. (Deficiencies blind over 250,000 children a year.) It’s a humanitarian project — funded by the Rockefeller and Gates foundations, among others — that has been in development since the 1990s. Some people object to it; they see it as a Trojan Horse that the biotech industry is using to enter countries that might otherwise reject their technology.

Recently, a group of protesters destroyed a test plot of the rice, turning up the heat on the debate over the crop that’s simmered for years. Amy Harmon wrote this reaction. Mark Lynas went to see the trampled rice for himself and has filed this angry but essential reportfrom the scene. And Michael Pollan weighed in on Andrew Revkin’sDot Earth blog, saying “I certainly think that the research should go forward.”

Pollan had some caveats, writing, “I am willing to get behind a GM product that offers the world something great, but I’m not at all sure this is the killer app everyone thinks it is. It seems to me the focus should be on alleviating poverty and improving diet.”

Later, Alexander J. Stein, an agricultural economist at the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added some truly useful detail, pointing out that there was now research to address some of the issues Pollan raised.

Here’s the 30,000 foot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Golden Rice: A couple of scientists started working on it, and after many frustrating years, realized how difficult the project was. They asked for industry help and Syngenta lent its aid and expertise. The Syngenta scientists had the practical know-how to get over the stumbling blocks, but in that period the industry also used Golden Rice as a PR tool to make the argument for biotech. The argument was a bit strained, because at that point the rice wasn’t actually working, as Pollan wrote in 2001:

Its real achievement may be to win an argument rather than solve a public-health problem. Which means we may be witnessing the advent of the world’s first purely rhetorical technology.

At the time, even former Rockefeller Foundation President Gordon Conway (who is massively respected as a smart and honest broker on this subject, and who was funding the Golden Rice research) said, “The public-relations uses of golden rice have gone too far.”

More than a decade later, a lot has changed. The television ads using Golden Rice as an argument for the biotech industry have stopped. And now, if governments approve (and the rice is really ready — after so many delays I’ll believe it only when it happens), low income farmers can start using the rice for free. It will be really interesting to see if it works.

The other night I was talking with Richard Jefferson, an open source biologist and deep thinker who runs an independent lab bent on democratizing and decentralizing science. Jefferson was brought on board to help with Golden Rice for a period, and he isn’t afraid to speak bluntly. So I asked him, was Golden Rice a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 In other words, did the engineers start by saying, “How can we use GM technology for something cool?” rather than saying, “Let’s tackle this malnutrition problem. What’s the best tool for that?”

Absolutely not, Jefferson said. The people behind Golden Rice have kept funding it because it might just work in a way that nothing else can, he said. It’s easy enough to point to other potential solutions, but those solutions all come with downsides as well, and they haven’t righted the problem.

“The guys who developed it did it for the right reasons,” Jefferson said. “They really were outraged by micronutrient deficiencies. They were out there in the rice paddies and in the villages. Every one of the Rockfeller Foundation meetings was in the developing world, and we were out there, learning things with these people.”

It’s true though, he said, that the biotech industry started using Golden Rice as a public relations tool. But we shouldn’t dismiss this technology because the wrong people have deployed it as an argument. “Golden Rice got turned into both a poster child and a whipping boy. The activists say, ‘It’s just a cat’s paw for Syngenta!’ and by that time the institutions were starting to use it that way. So unfortunately kids who are going blind get caught in the crossfire.”

Perhaps the problem with Golden Rice, as Marion Nestle has pointed out, is that it’s indicative of an assumption that “complex societal problems — in this case, malnutrition — are more easily solved by private-sector, commercially driven science than by societal decisions and political actions.”

There’s a good point there: Social problems usually require social solutions — messy and hard as they are. But the thing is, sometimes technology really can help.

Here’s my take on Golden Rice: It’s one small, flawed fix for the massive problem of malnutrition in Asia. It’s probably not going to bethe fix, but it seems shortsighted to attack the people who are actually on the ground trying to do good, unless you are out there too with something much better.

Are there other fixes? Yep, you could give people pills, or convince them to grow (and eat) more vegetables. But the donors supporting Golden Rice have been trying that too. The hope is that Golden Rice can put a little more of a dent in the problem. At the very least, as Pollan put it, after all these years of promises, it will be interesting to watch this test case: “We deserve to find out once and for all if this shining promise can live up to the hype.”

Sure, Golden Rice has been used for biotech industry PR, and if it succeeds we’ll doubtless see more of that. But it also holds potential for real good.


728x90
728x90

몬산토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곁에도 존재한다.


농촌진흥청에서 물바구미를 스스로 쫓는 벼를 개발했다고 떠들썩하다.

'BT 옥수수'와 같은 'BT 벼'라고 한다.

이를 가지고 단지 농약을 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친환경적으로" 물바구미를 방제한다고 선전한다.

그런데 과연 농약만 치지 않으면 친환경인가?

자연에 없던 생물이 하나 새로 생겼는데 이건 친환경인가?

근본적인 성찰 없이 기술만 좇는 모습이다. 안타깝다.

---------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스스로 해충을 쫓는 벼 품종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농약 사용없이 친환경적으로 벼물바구미를 방제할 수 있도록 벼에 살충성 유전자를 도입한 ‘벼물바구미 저항성 벼’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벼물바구미는 유충의 경우 벼 뿌리에 기생해 농약을 이용한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

 

또한 환경에 따라 발생시기가 유동적이고 발생하면 농약을 여러 번 뿌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해마다 국제 벼 수확량의 20 % 이상이 줄어드는 등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벼 품종은 토양 미생물인 바실러스균으로부터 유래한 살충성 유전자를 식물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해 벼 유전자에 삽입해 만든 것이다.
   *바실러스균: Bacillus thuringiensis ssp. tenebrionis (B.t.t.)
실험 결과 ‘벼물바구미 저항성 벼’에서 기존 벼에 비해 벼물바구미 피해 발생이 약 50 % 줄었다.


이에 따라 벼물바구미 방제 작업에 필요했던 연간 농약 사용비용은 약 30%, 노동력 소요비용은 약 2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벼물바구미 저항성 벼’에 대해 지난 8월 특허를 출원했으며, 학술지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에 논문 게재승인을 받았다.

 

농촌진흥청 생물안전성과 신공식 박사는 “이번 벼 품종 개발은 앞으로 생산비용은 물론 지나친 농약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생물안전성과장 조현석, 생물안전성과 신공식 031-299-1128





728x90
728x90


여느 지방이나 마찬가지로 거제도의 다락논들도 사람들의 엄청난 노동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다락논이나 계단밭을 만들기 위해서는, 논밭을 일구는 과정에서 나오는 돌이나 주변에서 가져온 돌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축대를 쌓고 또 쌓아 논밭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수이다.

이 축대를 가만히 들여다보노라면 그 엄청난 노력이 느껴지는 것 같아 나까지 온몸이 뻐근해진다.


 



산골의 다락논이 지닌 또 하나의 특징이라면 '뒷도랑'을 파서 활용한다는 점이다.

뒷도랑은 산에서 내려오는 찬물을 그대로 논에 들일 경우 벼가 찬물로 인해 생육이 저해되는 걸 막기 위해 물을 한 번 빙 돌려서 햇볕 등으로 데운 다음 논 전체로 퍼지도록 하는 물길이다.

벼를 한 포기라도 더 심으면 심을 수 있는 공간을 과감히 포기하면서까지 뒷도랑을 만드는 모습을 보면 그 효과가 얼마나 중요한지 엿볼 수 있다. 실제로 이 공간이 있고 없고에 따라 얼마만큼 수확량에 차이가 나는지는 농사짓는 분에게 물어보거나 과학적 실험을 할 수밖에 없다.


 

 



이번에 거제에 와서 여기저기 쑤시고 돌아다니면서, 거제도의 이러한 다락논이 현재 하나둘 묵정논이 되거나 싹 밀려 관광 관련 건물이 들어서고 있는 모습을 보니 그저 안타까울 뿐이다.

농지와 개발, 둘은 공존할 수 없는 것일까? 관광객들을 위한 농업 경관의 보존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까?


 

 


 


 



728x90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농기구 대장장이  (0) 2013.09.26
소농이 답이다  (0) 2013.09.19
거제도 다포 마을   (0) 2013.09.16
석기시대에도 향신료를 활용해 요리를 했다  (0) 2013.08.27
밥상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0) 2013.08.21
728x90



중국의 농업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면 두 가지 통계자료에 대해 거듭하여 이야기 듣곤 한다. 중국은 세계 인구의 22%가 살고 있는 곳이며, 세계의 농지 가운데 10% 미만을 가진 곳이라는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 식량자급률 95%를 유지하겠다고 선언한 이 나라에서 이러한 격차는 중국의 정치 의제 가운데 가장 상위에 농업개혁을 두도록 한다. 그리고 그러한 점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채택할 곳 가운데 하나로 중국을 꼽게 만든다.



지난 5년 동안,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연구가 중국 농업개혁 전략의 중심이 되었다. 이 기술에 대한 정부의 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다국적 기업이 거대한 잠재적 시장에 발판을 구축하기 위하여 달려들어 연구시설에 투자하고 있다. "중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국제적 농업기술 기업인 신젠타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책임자 Andrew McConville 씨가 말한 바 있다. 


그러나 과학자와 정부의 관료들은 이 기술을 지지하지만, 상업적 재배를 위한 유전자변형 작물의 도입은 그 안정성에 대한 대중의 우려가 커지면서 막혀 있다. "일반인들은 불안해 한다"고 McConville 씨는 지적한다. "정부가 안전성을 확인하고 있으며 규제제도가 마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것들이 소비자가 확인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 기술에 우려하는 일부 소비자들 때문에 유전자변형 작물은 전 세계에 고르게 퍼져 있지 않다. 유럽연합에서는 철저한 저항을 받았지만, 미국에서는 열렬히 받아들여졌다. 오늘날 미국에서 재배하는 옥수수와 콩, 목화의 80%는 유전자변형 작물이다. 브라질은 두 번째로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곳으로서, 재배하는 콩의 75%와 옥수수의 56%가 유전자변형 작물이다. 이러한 두 유전자변형 강국에 비교하여, 중국의 채택률은 아직 낮아서, 단 두 가지 작물 -목화와 파파야- 만 상업적 재배를 승인하고, 조림에 도움이 되는 유전자변형 버전의  포플러 나무만 심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식품에 들어가는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대중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조만간 이 나라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의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과제


중국의 인구는 2015년 13억90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고, 정부는 국가의 곡물 소비가 2020년까지 5억7250만 톤에 이를 것이라 추산한다. 이는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와 부유해진 인구의 점점 늘어나는 육류 소비에 의해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더 많은 육류 소비는 중국이 곡물사료를 더욱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식량가격의 인플레이션도 정부의 최고 관심사이다. 


"우린 제한된 토지 자원으로 13억 명을 먹여살려야 한다"고 2011년 인터뷰에서 원자바오 총리가 말했다. "식량안보는 우리의 가장 큰 관심사이다.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수확 품종의 육종과 유전자변형 기술처럼 전통적 농업을 변환시키는 과학기술에 의존하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없다."


중국의 12차 5개년 계획의 일부로 5억4000만 톤의 곡물을 생산하는 목표를 수립했다. 2011년 중국은 5억7100만 톤의 곡물을 생산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중국의 노력은 다른 것보다 몇 가지 작물에서 더 성공을 거두었다. 예를 들어, 중국은 콩의 순수입국이다. 곡물을 담당하는 정부기관에서는 2011~2012년 사이 중국은 5600만 메트릭톤의 콩을 수입할 것이라 예상한다. 2011년 옥수수를 기록적으로 생산했지만, 미국 농무부는 중국이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올해 400만 톤의 옥수수를 수입할 것으로 내다본다. 


"중국 정부는 농업에서 성공을 달성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McConville 씨는 지적한다. 그리고 중국 정부의 관료들은 모든 걸 이야기하지 않는다. 2008년 중국은 형질전환 신품종 개발 프로젝트(National Transgenic New Variety Development Project)를 도입하여, 2020년까지 38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그 투자는 전반적인 농업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제공될 것이라고 McConville 씨는 지적한다. 또한 그 투자로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를 보급시킬 것이다. 목표는 간단하다고 Newedge USA에서 곡물을 연구하는 Dan Cekander 씨는 말한다. "중국은 수확량을 높여야 한다."


유전자변형 작물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유일한 해답은 아니지만, 중국은 이를 중요한 부분으로 다룰 것이라고 McConville 씨는 말한다. 식량 수입을 줄이고 자급률 95%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유전자변형 작물은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수확량 증대를 도울 수 있고, 병해충에 저항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열악한 성장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농업생명공학 응용을 위한 국제 서비스(ISAAA)의 설립자 Clive James 씨는 생명공학 작물을 이야기할 때면 거의 복음을 전파하는 사람처럼 된다. "우린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걸 유전자변형 작물이라 부르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ISAAA의 임무는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과 재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람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앞으로 50년 동안, 세계의 인구는 2배나 더 많은 식량을 소비할 것이다"라고 James 씨는 지적한다. "이 거대한 과제와 그 해결책에 관해 세계의 곳곳에 전파해야 한다."


James 씨에 의하면, 생명공학 작물은 많은 일반적 해충에 저항성이 있기에 농민이 사용하는 농약의 양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그 작물은 또한 빈곤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생명공학 (BT)] 벼는 1헥타르에 80~100달러 정도 소농의 소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James 씨는 말한다. "그 농민들에게는 엄청난 액수이다." 그는 중국의 경우, 연간 이익이 4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덧붙인다. 



   조기 채택과 반발


중국은 인간의 소비를 위한 유전자변형 작물의 승인에 조심스레 접급하고 있는데, 목화에서는 이 기술을 가장 이른 시기에 채택한 국가들 가운데 하나이다. Bt 목화는 저절로 박테리아의 한 형태인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시(Bacillus thuringiensis)를 생산하여, 특히 성가신 해충인 고시피엘라밤나방 애벌레에게 살충제처럼 작용한다. "중국은 1997년에 이를 도입한 여섯 개척 국가 가운데 하나이다"라고 James 씨는 말한다. 오늘날 중국은 550만 헥타르의 목화를 재배하고, 전체 목화 생산의 71%가 Bt 목화이다. ISAAA에 의하면, Bt 목화는 면의 수확량이 10% 높다고 한다. "또한 그것은 소농에게 헥타르당 220달러의 추가 소득을 발생시킨다"고 James 씨는 지적한다. "1997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은 11억 달러의 소득 증가라는 혜택을 보았다."


그러나 그 이후 중국의 유전자변형 목화 채택률이 뚜렷하게 둔화되었다. 중국은 치명적인 바이러스(파파야 둥근무늬병)에 저항성이 있는 유전자변형 파파야의 상업적 생산을 승인했다. 2008년, 당국은 한 종류의 유전자변형 콩의 사용을 승인했다. 2008년과 2009년에 정부는 또한 두 종류의 유전자변형 벼와 한 종류의 옥수수에 대한 승인서를 발급했다. 이로써 중국에서 유전자변형 벼와 옥수수를 시험하고, 결국 상용화할 수 있도록 문을 열었다. 


"중국이 채택한 기술의 연대기를 살펴보면 흥미롭다"고 James 씨는 말한다. "처음에는 안전성 문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섬유작물인 목화였다." James 씨가 2013년 상업적 승인을 얻을 것으로 전망하는 콩과 옥수수 같은 사료작물로 중국의 관심이 이동했다. 또한 중국은 다른 많은 영역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은 밀의 품질을 향상시킬 프로그램과 곡물의 싹을 통제하는 유전자를 조사할 프로그램도 가지고 있다"고 덧붙인다. "중국은 자국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매우 큰 자원을 가진 아주 중요한 방법으로 작물 생명공학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2009년 유전자변형 벼의 승인은 소비자와 유전자변형 반대자들의 주의를 끌었다. "칭화대학에서 수행한 연구에서 사람들의 70%가 유전자변형 벼의 상업화에 반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중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에 반대하는 운동을 이끄는 그린피스 중국의 Fang Lifeng 씨는 말한다. 


"유전자변형 작물이 안전하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고 Fang 씨는 지적한다. 유전자변형 작물이 개발된 지 16년인데, 그것의 안전성이나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없다고 Fang 씨는 말한다. "이 점이 사람들이 우려하는 바이다."


또한 그린피스에서 수행한 연구들에서는 일부 유전자변형 작물이 이미 식품 가공에 들어갔다는 것이 밝혀졌다. "우린 2010년 일부 조사를 실시하여, 후베이성과 후난성, 광저우에서 유전자변형 볍씨를 발견하고, 푸젠성과 후베이성에서는 유전자변형 쌀이 판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건 이미 시장에 나돌고 있다"고 Fang 씨는 지적한다. "그건 승인되지 않은 것으로 불법이다." 대중의 우려는 그린피스가 중국어로 유전자변형 식품을 알려주는 아이폰의 앱을 제공할 만큼 크다.


그에 반응하여, 중국의 지도자들은 최근 유전자변형의 연구와, 현지실험, 생산, 판매, 유전자변형 곡물 종자의 수출입을 제한하는 법률 초안을 발표했다. 그 초안은 단체와 개인이 정부의 승인 없이 주요 작물에 유전자변형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했다. 이론적으로 이는 유전자변형 벼의 채택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법의 언어는 유전자변형 전문가들이 여전히 유전자변형 작물이 천천히 진출할 것이라 느낄 만큼 모호하다. 



   유전자변형 막기


반대자들은 유전자변형 작물의 위험에 대한 표지로 승인되지 않은 종자의 확산을 바라보지만, 신젠타의 McConville 씨는 중국의 유전자변형 종자의 불법 유통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다. "우린 매우 강력한 규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린피스가 말하는 것처럼 유전자변형 종자가 중국에서 유행한다면, 유효한 질문은 '왜'라는 것이다." 그는 그것이 퍼지고 있다면 농민들이 암시장을 통해서라도 그 종자를 손에 넣길 열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제시한다. 유전자변형 종자의 암시장 판매는 인도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어디에서 나온 종자인지에 상관없이 농민들은 여전히 적극적으로 그걸 얻으려 할 것이다. 


"전 세계의 소농은 자신만의 생각이 있다"고 James 씨는 덧붙인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채택하는 기술에 대해 신중하다. 만약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그걸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자의 불법적인 확산은 중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에 관한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킨다. "영리한 종자 육종가는 복제하거나 가장 좋은 걸 육종할 수 있다"고 McConville 씨는 말한다. 합작은 중국의 모방자들이 다국적 기업의 지적재산권을 손에 넣을 수 있게 하고, 중국 국내에서 개발된 종자와 마찬가지로 복제할 수 있다. 현재 외국인 소유의 기업이 중국에서 종자의 연구와 개발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다국적 기업이 연구만 수행하는 건 환영받는다. 반대자들은 이것이 중국의 식량 공급에 관한 비밀을 누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유전자변형 벼는 외국의 다국적 기업들이 개발한 기술과 방법을 활용하여 중국 과학자들이 개발했다"고 Fang 씨는 지적한다. "이는 중국의 식량안보에 좋지 않다."


심지어 중국에 이미 채택된 유전자변형 작물의 일부가 곤란에 빠졌다고 Fang 씨는 지적한다. 예를 들어 Bt 목화는 일반적인 해충에 저항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그러나 또 다른 해충인 장님노린재(Mirid bugs)가 그 빈틈을 채우고 있다. 2010년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장님노린재가 농민들이 다시 살충제에 의존하도록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과제와 중국의 느린 채택률이 정부의 투자에서 다국적 농기업들을 단념시키지 못하고 있다. "우린 중국에 연구시설을 설치한 최초의 기업이다"라고 신젠타의 McConville 씨는 말한다. 그 기업은 중국 시장의 크기와 중요성 때문에 6000만 덜러의 시설을 만드는 사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몬산토 역시 중국의 종자회사와 제휴를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결국 우린 이 기술이 채택되는 걸 볼 것이다"라고 McConville 씨는 말한다. "그리고 우린 많은 기술이 중국에서, 중국에 의해, 중국을 위하여 개발될 것이라 믿는다."



http://www.fairobserver.com/article/can-biotechnology-solve-chinas-food-security-problem


728x90
728x90


Genetically engineered Golden Rice grown in a facility in Los Baños, Laguna Province, in the Philippines.




ONE bright morning this month, 400 protesters smashed down the high fences surrounding a field in the Bicol region of the Philippines and uprooted the genetically modified rice plants growing inside. 


Had the plants survived long enough to flower, they would have betrayed a distinctly yellow tint in the otherwise white part of the grain. That is because the rice is endowed with a gene from corn and another from a bacterium, making it the only variety in existence to produce beta carotene, the source of vitamin A. Its developers call it “Golden Rice.”


The concerns voi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Aug. 8 act ofvandalism — that Golden Rice could pose unforeseen risks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at it would ultimately profit big agrochemical companies — are a familiar refrain in the long-running controversy over the merits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They are driving the desire among some Americans for mandatory “G.M.O.” labels on food with ingredients made from crops whose DNA has been altered in a laboratory. And they have motivated similar attacks on trials of other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 recent years: grapes designed to fight off a deadly virus in France, wheat designed to have a lower glycemic index in Australia, sugar beets in Oregon designed to tolerate a herbicide, to name a few.


“We do not want our people, especially our children, to be used in these experiments,” a farmer who was a leader of the protest told the Philippine newspaper Remate.


But Golden Rice, which appeared on the cover of Time Magazine in 2000 before it was quite ready for prime time, is unlike any of the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wide use today, designed to either withstand herbicides sold by Monsanto and other chemical companies or resist insect attacks, with benefits for farmers but not directly for consumers.


And a looming decision by the Philippine government about whether to allow Golden Rice to be grown beyond its four remaining field trials has added a new dimension to the debate over the technology’s merits.


Not owned by any company, Golden Rice is being developed by a nonprofit group called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with the aim of providing a new source of vitamin A to people both in the Philippines, where most households get most of their calories from rice, and eventually in many other places in a world where rice is eaten every day by half the population. Lack of the vital nutrient causes blindness in a quarter-million to a half-million children each year. It affects millions of people in Asia and Africa and so weakens the immune system that some two million die each year of diseases they would otherwise survive.


The destruction of the field trial, and the reasons given for it, touched a nerve among scientists around the world, spurring them to counter assertions of the technology’s health and environmental risks. on a petition supporting Golden Rice circulated among scientists and signed by several thousand, many vented a simmering frustration with activist organizations like Greenpeace, which they see as playing on misplaced fears of genetic engineering in both the developing and the developed worlds. Some took to other channels to convey to American foodies and Filipino farmers alike the broad scientific consensusthat G.M.O.’s are not intrinsically more risky than other crops and can be reliably tested. 


At stake, they say, is not just the future of biofortified rice but also a rational means to evaluate a technology whose potential to improve nutr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ones, may otherwise go unrealized.


“There’s so much misinformation floating around about G.M.O.’s that is taken as fact by people,” said Michael D. Purugganan, a professor of genomics and biology and the dean for science at New York University, who sought to calm health-risk concerns in a primeron GMA News online, a media outlet in the Philippines: “The genes they inserted to make the vitamin are not some weird manufactured material,” he wrote, “but are also found in squash, carrots and melons.” 


Mr. Purugganan, who studies plant evolution, does not work on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nd until recently had not participated in the public debates over the risks and benefits of G.M.O.’s. But having been raised in a middle-class family in Manila, he felt compelled to weigh in on Golden Rice. “A lot of the criticism of G.M.O.’s in the Western world suffers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really dire the situation is in developing countries,” he said.


Some proponents of G.M.O.’s say that more critical questions, like where biotechnology should fall as a priority in the efforts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hunger and malnutrition and how to prevent a few companies from controlling it, would be easier to address were they not lumped together with unfounded fears by those who oppose G.M.O.’s.


“It is long past time for scientists to stand up and shout, ‘No more lies — no more fear-mongering,’ ” said Nina V. Fedoroff, a professor at the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audi Arabia and a former science adviser to the American secretary of state, who helped spearhead the petition. “We’re talking about saving millions of lives here.”


Precisely because of its seemingly high-minded purpose, Golden Rice has drawn suspicion from biotechnology skeptics beyond the demonstrators who forced their way into the field trial. Many countries ban the cultivation of all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d after the rice’s media debut early in the last decade, Vandana Shiva, an Indian environmentalist, called it a “Trojan horse” whose purpose was to gain public support for all manner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that would benefit multinational corporations at the expense of poor farmers and consumers.


In a 2001 article, “The Great Yellow Hype,” the author Michael Pollan, a critic of industrial agriculture, suggested that it might have been developed to “win an argument rather than solve a public-health problem.” He cited biotechnology industry advertisements that featured the virtues of the rice, which at the time had to be ingested in large quantities to deliver a meaningful dose of vitamin A.


But the rice has since been retooled: a bowl now provides 60 percent of the daily requirement of vitamin A for healthy children. And Gerard Barry, the Golden Rice project leader at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 and, it must be said, a former senior scientist and executive at Monsanto — suggests that attempts to discredit Golden Rice discount the suffering it could alleviate if successful. He said, too, that critics who suggest encouraging poor families to simply eat fruits and vegetables that contain beta carotene disregard the expense and logistical difficulties that would thwart such efforts.


Identified in the infancy of genetic engineering as having the potential for the biggest impact for the world’s poor, beta-carotene-producing rice was initially funded by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the European Union. In a decade of work culminating in 1999, two academic scientists, Ingo Potrykus and Peter Beyer, finally switched on the production of beta carotene by adding daffodil and bacteria DNA to the rice’s genome. They licensed their patent rights to the agribusiness company that later became Syngenta, on the condition that the technology and any improvements to it would be made freely available to poor farmers in the developing world. With the company retaining the right to use it in developed countries, potentially as an alternative to vitamin supplements, Syngenta scientists later improved the amount of beta carotene produced by substituting a gene from corn for the one from daffodil.


If the rice gains the Philippine government’s approval, it will cost no more than other rice for poor farmers, who will be free to save seeds and replant them, Dr. Barry said. It has no known allergens or toxins, and the new proteins produced by the rice have been shown to break down quickly in simulated gastric fluid, as requir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A mouse feeding study is under way in a laboratory in the United States. The potential that the Golden Rice would cross-pollinate with other varieties, sometimes called “genetic contamination,” has been studied and found to be limited, because rice is typically self-pollinated. And its production of beta carotene does not appear to provide a competitive advantage — or disadvantage — that could affect the survival of wild varieties with which it might mix.


If Golden Rice is a Trojan horse, it now has some company. The 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 which is supporting the final testing of Golden Rice, is also underwriting the development of crops tailored for sub-Saharan Africa, like cassava that can resist the viruses that routinely wipe out a third of the harvest, bananas that contain higher levels of iron and corn that uses nitrogen more efficiently. Other groups are developing a pest-resistant black-eyed pea and a “Golden Banana” that would also deliver vitamin A.


Beyond the fear of corporate control of agriculture, perhaps the most cited objection to G.M.O.’s is that they may hold risks that may not be understood. The decision to grow or eat them relies, like many other decisions, on a cost-benefit analysis.


How food consumers around the world weigh that calculation will probably have far-reaching consequences. Such crops, Scientific American declared in an editorial last week, will make it to people’s plates “only with public support.”


Greenpeace, for one, dismisses the benefits of vitamin supplementation through G.M.O.’s and has said it will continue to oppose all uses of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As Daniel Ocampo, a campaigner for the organization in the Philippines, put it, “We would rather err on the side of caution.”


For others, the potential of crops like Golden Rice to alleviate suffering is all that matters. “This technology can save lives,” one of the petition’s signers, Javier Delgado of Mexico, wrote. “But false fears can destroy it.”



Correction: August 24, 2013

An earlier version of this article misspelled the Philippine region where protesters destroyed a field growing genetically modified rice. It is the Bicol region, not Bricol.



http://www.nytimes.com/2013/08/25/sunday-review/golden-rice-lifesaver.html?pagewanted=all&_r=0

728x90
728x90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장마이다. 장마의 양상이 여느 해와 달라지고 있다.

올해만 해도 마른 장마가 찾아오더니, 장마가 끝날 무렵이 된 지금도 계속 흐리고 습한 날씨와 간헐적인 폭우가 쏟아지고 있다.


예전 수리시설과 관정 등이 충분하지 않았을 시절에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면, 장마를 중심으로 모내기가 이루어지던 당시 그야말로 굶어죽는 사람이 부지기수였을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대형 댐과 양수기에 감사를 해야 할까?

아무튼 작년에는 장마가 요상해지며 가을 날씨까지 영향을 미쳐 쌀 생산량이 심각하게 감소하기까지 했다. 그 덕에 쌀 자급률이 80%대까지 떨어졌고, 정부는 부랴부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서 논에 대체작물을 심도록 유도하던 농업정책을 철회하기에 이르렀다.

당분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날씨는 계속될 것 같고, 이는 농업 생산에 큰 타격을 입힐지도 모르겠다. 당연히 식료품 가격은 더 오를 수밖에 없다. 모르지, 수입산으로 그걸 메우려고 할지도 말이다.


아래의 글은 인도의 사례이다. 우리가 겪고 있는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



인도 나갈랜드 주의 북동쪽 디마푸르 외곽에 있는 논에서 농민들이 모내기하고 있다. 


지난 겨울 Vikas Chaudhary 씨의 밀밭은 이상한 쓰레기들로 어지러워졌다. 20년 이상 여기 뉴델리에서 북쪽으로 3시간 떨어진 Taraori의 농업지대에 사는 농민들은 겨울에 밀을 재배하고, 확실히 비가 내리는 여름에는 세계에서 가장 놀라운 수확량을 보여주는 남아시아 고유의 향기롭고 길쭉한 basmati 벼를 농사지었다.


하지만 지금은 벼 대신 옥수수 자루와 그 낟알이 땅에 분쇄되어 있다. 


기후변화는 인도 대륙 전역에서 계절풍의 양상을 바꾸어 놓으며 너무 절실히 필요한 강우량이 줄어들고 있다. 이것이 세계의 식량 공급에 대한 영향은 중대하다. 인도는 해마다 1억 톤의 벼와 곡물을 재배하는데, 다른 어떤 나라보다 벼를 재배하는 데 쓰이는 농지가 많다. 그리고 Taraori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basmati 벼로 유명한 곳이다. 


아마 오래되지 않았을 것이다. 여름철 장마 —여름의 바람이 바다에서 비구름을 몰고와 한달 넘게 한바탕 폭우를 쏟으며 땅을 휩쓴다— 는 6월부터 9월 사이 인도의 농장과 강, 저수지를 풍요롭게 해 왔다. 그들은 최근 몇 년 사이 늦게 도착하고, 또 주춤거리고 있다. 늦어진 비가 늦여름에 집중적으로 쏟아지며 작물에 해를 끼치고 홍수를 일으키고 있다.


“계절풍이 생명줄입니다”라고 Chaudhary 씨는 말한다. “그러나 지난 몇 번의 계절에는 우리가 비를 바랄 때 내리지 않았습니다.”




계절풍이 시작되면 나가족의 농민들이 인도 마니푸르 주의 동쪽에 있는 Senapati 지구에서 모를 심는다. 




이는 길게 늘어선 벼에겐 나쁜 소식이다. 진짜 basmati 벼는 진품 포도주가 프랑스의 포도밭에서만 나오는 것처럼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만 수확된다. Taraori 지역은 하리아나(Haryana) 주를 포함하여 인도의 주요한 basmati 벼의 재배지역이다. 인도 벼수출협회(India Rice Exporters Association)의 수치에서는 연간 basmati 벼의 수확량 가운데 1/3이 하리아나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그 주요한 basmati 재배지역의 논이 계절풍의 변화로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 


그래서 Chaudhary 씨와 그의 친척 중 한 명은 지난해 논의 일부를 옥수수밭으로 바꾸었다. 지난해에는 여름 계절풍이 몰고 오는 비가 2달이나 늦은 8월에 내렸다. 


Chaudhary 씨의 옥수수 농사라는 발상이 뿌리를 내리고, 인도의 장마가 계속 늦게 온다면 벼 대신 옥수수를 심는 곳이 널리 퍼질 것이다. 이는 농민들이 자급하기도 하고 수출하기도 하는 basmati 벼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일부 농촌공동체의 식단을 바꾸어 놓을 것이다.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만 변화하는 날씨에 영향을 받고 있는 사람이 아니다. 인도 전역의 농민들은 여름철 강우량의 부족으로 피해를 받아, 부채를 안고 있는 빈곤한 소작인 신세를 면하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강우량이 부족해지면서 수력발전이 제대로 되지 않아 12억 인구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여름에 블랙아웃을 겪으며 고통을 받았다. 가뭄은 양파와 기타 채소를 시들게 하는 원인이 되어, 식품 물가를 상승시켰다.



인도의 나르마다 계곡에서 장마철 달구지를 타고 농지에서 마을로 돌아가는 모습.




인도의 고통은 다른 많은 나라의 지역들과 공유된다. 계절풍은 인도 대륙과 미국의 남서부, 동남아시아, 호주, 아프리카의 넓은 면적을 흠뻑 적신다.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영향을 받는 지역에 살고 있다. 그들은 음용수와 관개용수의 연간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 장대한 우기의 비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과학자들은 강우량 기록을 연구하고, 지난 세기 중반으로 돌아가 인도 계절풍의 평균 강수량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추적했다. 그러나 최근에야 많은 인도인들이 지구온난화의 괴멸적인 결과와 파괴적인 가뭄의 현실을 깨달았다. Krishnan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 물이 증발하여 더 많은 습기가 생겨 여름철의 바람이 축축해지고 계절풍은 조용히 죽음의 종소리를 울리게 될 것이라 한다. 


“대기가 매우 안정될 것입니다”라고 계절풍을 연구하는 인도의 열대기상학 연구소의 과학자 Raghavan Krishnan 씨는 말한다. “대기에 수분이 더 많아지겠지만 비가 내리는 건 아닙니다.”


그 변화는 결국 이곳 하리아나 주의 마을 사람들이 전통적인 벼에 기반한 요리에서 옥수수를 결합시킨 식단으로 바꾸도록 만들 것이다. Chaudhary 씨는 “우린 옥수수는 먹지 않습니다”라고 한다. “하지만 기후가 변하면서 인간도 따라서 변하고 있어요.”



http://goo.gl/HUypA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기는 몇 평인가?  (0) 2013.07.10
닭과 함께 농사짓기  (0) 2013.07.08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유기농업  (0) 2013.07.08
네팔의 벼농사를 훑어볼까  (0) 2013.07.07
베트남 중부 고원의 소 사육 농민  (0) 2013.07.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