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캐나다의 한 농부가 쓴 재미난 책을 찾았다. 

<Market Gardner>가 그것이다. http://www.themarketgardener.com/


제목부터 재밌다. 

자급으로 먹고 살 수 있는 세상이 아닌데 '시장'을 배제한 채 살아가기는 힘들다.

그렇다면 시장을 현명하게 이용하자.

마켓 가드너, 즉 시장형 텃밭농부는 그러한 뜻을 담고 있는 것 같다.


어느 출판사에서 이 책의 번역을 맡겨주면 재미나게 할 수 있을 텐데. 움직여 봐야 할까.






728x90
728x90

오늘은 영국의 유기농 식품 시장이 경기둔화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라는 소식을 보았다.

전년 대비 4% 성장하여 총 18억 6천만 파운드, 즉 한국 돈으로 3조 1700억 원 정도의 시장규모가 되어 2009년의 수준을 회복했다는 토양협회의 보고서가 나왔다.


그래서 갑자기 궁금해졌다.

"영국의 유기농 시장은 규모가 어마어마하구나. 그런데 한국은 어떻지?"


그래서 농촌경제연구원의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실태와 시장 전망>이란 자료를 뒤지니 다음과 같이 나왔다.




물론 한국의 자료는 저농약과 무농약 농산물까지 친환경 농산물에 포함한 수치이기에 영국의 사정과 꼭 같다고 할 수는 없을지도 모른다.

그래도 아무튼, 시장 규모는 비슷비슷하구만. 경제 규모에 대비해 보면 한국이 오히려 더 큰 시장인 것처럼 보인다.







 




728x90
728x90




At the Whole Foods near the Vox office, a store brand free range turkey costs $2.69 per pound. A free-range heritage breed turkey is $3.69 per pound. A free-range organic turkey goes for $3.99 per pound. Those are 37- and 48-percent price differences, and they're both far more than you'd pay for a so-called "conventional" turkey. At a nearby Safeway, the store-brand turkeys are selling for 59 cents per pound, and Butterball turkeys are at 88 cents.

Everyone knows that organic food is more expensive than conventional food, so it's easy to shrug at this. But exactly why is your expensive turkey so wallet-draining?

Organic turkey feed is expensiv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turkeys is feed — that accounts for around half the cost difference between the organic and the conventional turkey, according to David Harvey,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s top poultry economist (and the man you see quoted in dozens of turkey-related stories every November).

Nationally, he says, conventional turkey feed costs around 41 cents a pound on average. Organic feed can be significantly more costly. At Nick's Organic Farm in Potomac, Maryland, which both raises organic turkeys and sells feed, it's $1,080 a ton for broiler feed, or 54 cents a pound when people buy in bulk from him. That's just one example, but it's a nearly 32-percent price jump.

Organic feed is itself more expensive because it can take a lot more work to grow the organic grains that go into it. Not only can organic grain farmers not use herbicides and insecticides to kill off weeds and bugs that can lower yields, but to even get certified organic, a farmer has to refrain from using those chemicals for three years prior, as this guide from Iowa State University explains.

Supply and demand in the grain market also into the equation here, says Wayne Martin, an extension educator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Fewer farmers are willing to raise grain organically, when demand is high and prices are good for conventional crops," he writes. And though corn and soybean prices have fallen off recently, they had in the last couple of years been sky-high, meaning less incentive to get into the organic feed business.

Organic turkey processing

Organic turkey-growers have to send their turkeys to special organic turkey processing plants. These can be more costly to operate than other plants.

Most that do organic turkeys also process conventional turkeys but have to take lots of special measures to make sure the two operations are kept entirely separate — the types of products used in organic processing, like cleaning solvents, can be more expensive, and organic plants can only use certain approved pest control methods. Asthis guide from the State of Minnesota points out, they can also require substantially more training for employees to make sure that non-organic substances don't contaminate organic areas. And on top of that, they have to be inspected regularly and pay a fee to be certified — not a huge cost, but it adds to the total cost along the supply chain.



Mmm. He looks delicious. (Shutterstock)

Organic turkey health risks

Organic turkeys face higher health risks than their conventional peers for a few reasons. one is that they are allowed to go outdoors, meaning they can risk death from both predators and the elements, according Martin. Not only that, but farmers can't treat them with antibiotics when they get sick — instead, they might use probiotics or apple cider vinegar. More risk to birds means more dead birds, means smaller supply, means bigger prices.

Those are the big factors that go into making an organic turkey, but if you tack on any of the other modifiers — say, if you want a pasture-raised, organic, heritage turkey — the price factors can increase dramatically.

Pastured turkey is even pricier

You might picture your organic turkey as skipping through a pasture somewhere, but it's altogether possible it was raised in a space nearly as tight as the confinement turkeys experience.

"An organic turkey is required to have access to the outdoors. But the bird doesn't have to have access to any particular amount of outdoors," explains Nick Maravell, owner of Nick's Organic Farm. "So if you have 5,000 birds, you don't have to have so many square feet of access per bird."

But if you do get a pastured bird, that could create a much heftier price tag. That's because pasturing can really alter what farmers call its feed-conversion ratio — the amount of feed you have to give it to add a pound of meat. According to a 2007 estimate from the American Livestock Breeds Conservancy, the average feed conversion ratio for a confinement turkey is 2.5 pounds of feed for every pound of meat, but that can be far higher for pastured birds. Just as you would more easily gain weight if you sat behind a tray of Oreos all day than if you went outside and wandered around, a confined bird will be way better at putting on weight.

"Pastured birds are just not going to put on weight as quickly as a bird that's grown no more than 50 feet from food," explains Harvey.



These turkeys all know each other really well by the time they're slaughtered. (Getty Images)

Organic turkey labor costs

Keeping turkeys in a giant confinement house with automated feeders can require very little work per turkey. However, the amount of labor that goes into a turkey can grow substantially depending on what type of special treatment the birds are getting.

More labor goes into the feed for an organic turkey, and if you get a turkey that's pastured, that also makes for a lot more labor. Pasturing a flock means you have to re-pasture it on new land eventually. That takes a lot more work (and more land per turkey) than a cursory walk-through of a turkey confinement house. This also means it can be tougher to scale up pastured turkey production as efficiently as scaling up a confinement operation.

Heritage turkey breed costs

Not only does how the birds are raised matter; different types of turkeys put on weight differently. Broad-breasted whites (the breed you're likely to buy) are bred, as the name might suggest, to have huge breasts (incidentally, those huge white-meat breasts people love to eat also get in the way of the birds' mating, so these birds are bred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Broad-breasted birds tend to put on weight more efficiently than the so-called "heritage breeds," a broad name given to a several types of turkeys that are closer to the less-genetically-altered forefathers of today's huge-breasted monsters. Really, one way to think about it isn't that heritage birds are expensive; it's that the other turkeys are bred to be cheap.

"When people are selling those heritage breed turkeys, some of those breeds don't convert feed quite as efficiently as conventional breeds," explains Harvey. "Conventional growers put tons and tons of breeding work into it for that purpose."

According to one 2003 study, some of these breeds take more than four, and even more than six pounds of feed per pound of weight gained, the American Livestock Breed Conservancy writes.

Not only that, but it takes most heritage breeds longer to reach market weight. Broad-breasted turkeys take 16 to 22 weeks to reach market weight. For heritage breeds, it's 26 to 28.

---

Then keep in mind that none of this even takes into account whatever margins retailers try to get on the turkeys they sell. This is, so to speak, how your Thanksgiving (turkey) sausage is made. So if your host picked an $80 bird, maybe don't load up on sides (which are more delicious, we know) and appreciate what went into your exorbitantly priced, pasture-raised main dish.

728x90
728x90

종자 문제와 관련하여 늘 소비자들의 목소리만 들을 수 있었다. 그런데 현장의 농민들은 어떨까? 그들은 왜 하이브리드 종자나 유전자변형 같은 사람들이 무시무시한 악으로 취급하는 그런 종자를 가지고 농사를 짓는 것인가? 한번이라도 그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들어본 적이 있는가? 종자회사에서는 자신들의 방패막이로 그들을 내세울 것이고, 운동단체에서는 그렇지 않은 농민들을 내세워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데 활용할 뿐이다. 현장의 진짜 농민들은 어떤 입장일까?

아래의 내용은 미국의 사례이다. 우리도 이러한 조사를 해보면 의미가 있을 것이라 본다. 지금 어떤 종자로 농사지으십니까? 왜 그 종자를 사용하고 있습니까? 장점은 무엇이고 단점은 무엇입니까? 이 정도만 묻고 다녀도 꽤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역시나 발번역이라 오의역이 넘실거리니 원문을 꼭 참조하시길...

---------



민들이 작물을 심으려고 할 때 종자를 선택할 여지가 없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아니면 선택의 여지가 있더라도 문산토 같은 대기업의 제품들 안에서뿐이다. 그리고 누군가 자신의 선택권을 주장하고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니면 갑자기 몬산토의 인질이 되기도 한다.  

물론 위의 사례는 좀 극단적인 감이 있다. 그런 일이 또 다시 인터넷에서 일어났다는 걸 보지 못했다는 뜻은 아니다. 왜 우리가 컴퓨터 뒤에 있기 때문에 예의 없게 면허를 주겠다는 것인가? 아무튼 농민으로 돌아가자.  난 농민들 스스로 자신들의 종자 선택권에 대해 무슨 말을 할지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어떻게 씨앗을 선택하는지, 왜 유전자변형 종자나 그렇지 않은 걸 선택해서 심는지 말이다. 그래서 몇몇 농민들에게 질문을 했고, 다음은 그에 기반한 결론이다.  




농민들은 그들이 종자를 심으려 할 때 선택권이 있는가?

내가 조사한 모든 농민들이 100% 종자 선택권이 없는 것 같다고 답했다. 특정 종류의 종자를 선택해야 한다는 압력은 없다고 하지만,  자신이 바라는 좋은 품종의 씨앗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는 없는 것 같다고 한다. 한 농민은, "종묘상에서 좋아하는 종자를 구매하는 것을 선택이라 한다면, 우리도 종자 판매상에게서 구입하길 원하는 것을 선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농민들은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지 않으며, 그들이 선택권을 가질 때 행복을 느낀다. 어떤 농민은 나에게, "난 우리가 종자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모든 작부체계나 종자의 유형이 어떠한 농작업에도 다 적합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씨앗을 고를 때 모든 조건에 다 적합한 것이란 없다.  


어떤 유형의 씨앗이 있는가? 어떻게 씨앗을 고를 것인가? 어떤 요인으로 씨앗을 고르게 되는가?

오늘날 농민들은 전통적인 씨앗이나 하이브리드와 유전자변형 종자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우리가 선택하는 씨앗의 유형에 관계없이, 씨앗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요인이 있다.  유기농 농민에게 들었던 답처럼, "유기농의 씨앗 선택은 관행농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재배하는 방법이 다를 뿐, 관행농 농민들과 똑같은 요소들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이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성숙기: 작물이 성숙하여 수확하는 데 걸리는 시간

  • 토양 유형: 심으려는 곳이 어떤 종류의 토양인가? 일부 종자는 특정한 토양에서 더 잘 자라기도 함 

  • 지리: 종자를 재배하려는 곳이 다른 곳보다 습하거나 건조한 특징이 있는 곳인가

  • 저항성: 이것은 잡초 저항성, 해충 저항성부터 가뭄 저항성까지 다양하다. 일부 종자는 습기가 적거나 비가 덜 내려도 잘 자람 

  • 수확량: 어느 종자가 농사철 동안 투입재 비용은 적게 들면서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인가

  • 가격: 농민은 직업이라 돈을 벌어서 가족을 먹여살려야 하기에, 가격이 선택에 중요한 요소가 됨

  • 구입가능성: 맘에 드는 종자를 찾을 수는 있지만, 여러 이유로 구하지 못할 수 있다. 그건 자연재해 때문일 수도 있다. 종자를 만들려면 먼저 그걸 재배해서 수확해야 한다... 그런데 자연재해가 타격을 입히면 어떻게 하는가? 농사철에 서리가 내리면? 여러 이유로 어떤 종자는 구입하지 못할 수 있다.  





농민들은 어떤 씨앗을 심을지 어떻게 결정하는가?

많은 농민들이 지난 몇 년 동안의 기록을 확인한다. 그들은 수확하면서 콤바인 등을 통해 수확량을 확인한다. 그것이 농민에게 수확이 좋은지, 평균인지, 나쁜지 알려준다.  어떤 농민들은 종자회사의 연구와 함께 대학의 연구결과를 확인한다. 어떤 사람은 종자 판매상이나 지역의 농학자 등 믿을 만한 정보원을 찾는다. 한 농민은 나에게, "변화의 속도, 새로운 종자, 종자 기술은 매우 빠르다. 농민으로서 나의 능력은 그 모든 도전에 따르는 것이다. 나는 나의 종자 판매상과 장기적인 신뢰와 이해의 관계를 구축하여, 내 농장에 적합한 제품을 고르도록 하나의 팀처럼 움직인다."  


유전자변형 종자를 심는다면, 관행 종자에 비해 그걸 선택한 장점은 무엇인가? 

각각의 농민은 유전자변형 종자를 선택한 저마다의 이유가 있다. 솔직히 말해 대부분의 응답은 편리함 때문이었다. 유전자변형 종자는 노동력이 덜 들기에 더 적은 사람을 고용하고, 제초제나 살충제를 덜 써도 된다.  "우리에게 유전자변형 종자는 노동집약적인 일을 줄여주며, 풀과 해충을 관리하는 농약의 살포를 더 쉽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준다." 어느 농민은 유전자변형 종자를 선택해 지긋지긋했던 엄청난 잡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답했다.  다른 농민은 "내가 아는 유전자변형과 비유전자변형 종자를 재배하는 농민의 경우, 유전자변형 종자와 작물은 간단히 이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도구나 기술이라 볼 수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 많은 농민들은 항상 노동력과 투입재를 덜 들이면서 더 잘,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법을 찾고 있다. 적은 노동력으로 더 적은 돈을 지출하면서 똑같은 돈을 벌 수 있다면, 나도 그럴 것이기에 이해할 수 있다.  

다른 농민은 목화 농사에 관해 이야기했다. "우린 유전자변형 목화 품종을 심고 그렇게 할 것인지 선택한다. 우린 더 친환경적인 선택지가 있다면 기존 관행 목화에서 사용하는 그 지독한 농약과 전문화된 도구를 사서 쓰고 싶지 않다. 유전자변형 목화 종자를 활용하여 우린 농약 구입비를 절약할 수 있다." 내가 현재 농민들이 종자와 농약을 구입하는 농자재 매장에서 일하면서 한 가지 배운 것이 있다... 농자재는 비싸다! 농민들은 절대로 필요하지 않은 것에 돈을 지출하지 않을 것이다! 투입재 비용 안에서 더 나은 수확을 올리려 한다면, 농민들은 절대로 특정 제품을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결코 우리 농민들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이유가 무엇이든, 유전자변형 종자는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본의 아니게 죽이고 다치게 하거나 아프게 만드는 무기가 아니라, 단지 현대 미국의 농민들이 이용하는 커다란 도구상자 안에 있는 또 다른 하나의 도구이다. 


그래서 농민들은 어디에서 종자를 구하는가?

모든 농민이 몬산토에서 받지 않는다는 걸 알면 충격을 받을 것인가!? 어떤 농민은 다우 농과학, 파이오니어, 몬산토는 물론 미국 전역에 있는 지역의 여러 종자회사에서 종자를 구한다.  





농민들에게: 만약 누군가가 당신이 선택하는 종자 때문에 당신을 대기업의 인질이 되었다고 고소한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매우 간단히, 나는 우리 농장의 조건에 가장 적합한 품종에 기반을 하여 나의 종자를 선택한다. 나는 다른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나에게 알맞기 때문에 유전자변형 종자를 사용하려고 선택한다."

"난 함께 연구하자고 그들을 초대하려 한다. 먼저 매년 기존 종자, 유전자변형, 하이브리드를 비교하기 위해 종자 목록에 올린다.  그 다음 수확량과 재배면적당 비용을 비교하고, 가뭄이나 홍수, 폭염과 한파, 이른 서리와 수확철의 오랜 비와 같은 다양한 변수를 투입한다.  대기업과 영세한 종자회사의 수많은 품종의 종자를 비교한 뒤 완벽한 종자를 알아낼 수 있다면, 행복할 것이다."

실제 종자 판매상의 관점에서, "우리를 포함한 종자회사는 농민이 구입하길 바라는 품종과 특성을 시장에 출하하고 있다. 우린 모든 종류의 기존 종자를 제공할 수 있지만, 우리가 제공하는 것 가운데 농민이 바라는 건 극소수이다. 농민들이 유전자변형 종자를 선택하고 바라기에 우리가 그걸 공급한다. 기존의 종자를 바란다면, 우린 기꺼이 그걸 제공할 것이다."


농민들은 선택권이 있는가? 그렇다! 

농민의 입장에서 보자. 그렇다, 농민들은 선택권이 있다. 있어도 너무 많다고 느낄 때도 있다. 그들은 단지 돈 때문이 아니라 여러 유전자의 품종에 기반한 종자를 선택할 선택권이 있다는 사실을 즐긴다. 농민들은 연구하고, 사고, 판매하는 종자에 대한 수요를 형성한다. 왜 농민들은 칭찬하는 종자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을 사람들은 악마로 만드는지 어떠한 논리적 의미도 찾을 수 없다.

결국,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처한 입장이 유기농 농부이든, 몬산토의 직원이든, 유전자변형 작물 재배 농민이든 상관없이 우린 모두 사람이란 사실을 잊어버리는 것 같다.  우리 모두는 가족과 친구, 그리고 걱정하는 사람이 있다. 우린 우리가 먹는 음식과 그걸 어떻게 재배하는지에 대한 열정이 있다. 우린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한 열정이 있고, 그건 농민들도 마찬가지다. 먹을거리가 풍부한 곳에서만 당신은 당신 몸에 넣을 먹을거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음식의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라는 걸 축하하자. 우리가 소비자로서 농민들이 가장 좋은 작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우리도 농민들과 농업 덕에 우리의 몸에 그런 음식을 넣을 수 있다는 사실을 축하하자. 그리고 다른 곳에서도 우리처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농업에 힘을 쏟자. 

조사에 응해 준 농민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출처 http://jldphotographblog.com/2013/05/23/do-farmers-have-choices/

728x90
728x90

미국의 농사짓는 교도소 이야기. 커다란 미국 사회에서 아주 작은 부분일지 모르지만, 이런 움직임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부러운지 모른다. 몇 년 전, 근로복지공단에서 산재를 입은 사람들에게 텃밭농사를 교육한 적이 있다. 그때 상실감으로 인해 술에 쩔거나 삶의 의욕을 잃은 분들이 농사를 지으며 조금씩 변화하던 모습은 정말 감동적이었다. 물론 근로복지공단에서 재취업의 일환으로 농사교육에 접근해서 조금 아쉽긴 했지만... 산재를 입은 노동자만이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농사를 취미와 여가의 일환으로라도 실천할 수 있도록 만든다면 각박한 환경도 조금이나마 풀리지 않을까 싶다.


농사가 사람을 치유하고 변화시키는 모습은 감동 그 자체이다. 아마 생명을 돌보는 일이라 그런가 보다. 자기보다 약한 생명을 돌보고 보살핀다는 행위는 인간을 순화시키고 사회적 존재라는 사실을 각성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 원예치료가 성행하는 걸 보면 이에 대한 연구도 많이 있을 텐데 그건 각자 알아서 찾아보시라. 


아무튼 "농사는 험상궂은 흑형들도 순한 양으로 만든다!"



뱀다리: 의역과 오역이 많으니 영어 해석이 가능하신 분들은 꼭 원문을 참고하시길.





32센트면 우드번(Woodbourne) 교정시설의 매점에서 허니번을 얻을 수 있다. 


그건 화학물질의 뒷맛과 이상한 재료의 상표 없는 제과점 제품이다. 저렴하고 달달한 허니번은 오랫동안 이 교도소의 최고 간식거리였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먼치가 허니번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이제 여기 사람들이 ‘케일 칩에 빠졌다!’고 하는 걸 들을 수 있다”고 이 교도소의 방문 공중보건 교수 Jocelyn Apicello 씨는 말한다.


뉴욕 주 설리반 카운티(역사적으로 우드스탁을 개최한 곳으로 알려져 있음)에 있는 우드번은 중구금 남성 교도소이다. 우드번에는 강도나 살인으로 기소되어 거친 시설로 전송되어 교화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그건 기존의 교도소에서 죄수들이 받던 것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건, 다른 감옥에서는 마사지와 케일 건조를 배우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다. 


우드번 교정 시설



Apicello 씨는 뉴욕 주의 교도소 여섯 곳에서 Bard Prison Initiative에 따른 프로그램을 가르친다. 여기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철창 너머에서 교양학부를 졸업할 기회를 얻는다. 그런데 우드번에만은 공중보건 프로그램에서 먹을거리 정의와 영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꽤 넓은 유기농 텃밭이 있다. 수감자 학생은 지속가능하게 농사짓는 법과 수확물을 요리하는 법, 그리고 이러한 기술을 더 큰 사회정치적 경관(먹을거리 사막, 공업형 농업 등)에 맞추는 법을 배운다. 


최근 수요일 오후, 다섯 명의 수감자들이 마당의 텃밭에 모였다. 완두콩과 호박, 양배추와 케일 중에서 자칭 자본주의자가 그의 사회주의자 친구를 괴롭히고 있다. “적어도 내 체계가 작동해, 새꺄!” 그러나 비웃음으로 소란을 떠는 때, 세 번째 수감자가 심각해진다. “이봐, 거기 호박 밟지 말아!”


호박 손보기



텃밭에서 Anthony Rose 씨



Javier Gomez 씨가 고수 씨앗을 보여준다



Richard Gamarra 씨가 텃밭 간식을 즐긴다




간섭자는 33세의 도미니카계 McClain 씨이다. 그는 강도로 우드번에 들어온 초범이다. McClain 씨는 파이를 만들 큰 계획이 있어 호박이 익을 때까지 안절부절이다. 요리는 당연히 이 프로그램의 가장 인기있는 과정이다. 또 다른 수감자는 자신이 맨하탄 레스토랑에서 20달러에 파는 딸기와 체리토마토, 근대가 들어간 샐러드를 만들 수 있다고 자랑한다. 또 다른 사람은 싱싱한 레몬 바질 페스토 요리법을 알려줄 수도 있다.


견주어 보면, 교도소 식당의 모든 식사가 무려 7년 전에 미리 만들어진 것도 있는 냉동식품을 전자렌지에 해동시킨 것이다. 차이는 엄청나다. “(Bard 텃밭이 있기) 전에는, 마지막으로 언제 신선한 채소를 먹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고 1992년에 수감된 Anthony Rose 씨는 말한다. 


성공담

Bill Jett 씨는 살인과 방화로 유죄판결을 받은 뒤 철장에서 오십 평생의 반을 보냈다. 몇 년 전 우드번 텃밭이 시작될 때, 그는 초기 참가자의 한 명으로 나섰다. “내 손을 더럽힌 게 처음은 아니었다”고 그는 농담을 던진다. “그러나 난 전에는 한 번도 텃밭에서 일해본 적이 없다.” 2011년 출소한 이후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로 교도소에서 받은 교육을 활용했다. Jett 씨는 뉴욕의 농민장터를 담당하는 비영리단체 GrowNYC에서 정규직으로 일한다. 그는 퇴비팀의 정규직원이며, 매순간을 즐긴다. 또한 Jett 씨는 뉴욕대학교의 도시계획과에서 교사로 일하고 있기도 하다.



현재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수확물이 너무 풍부해 골치를 앓고 있다. 그들은 일하면서 체리토마토와 깎지콩, 양상추를 간식으로 먹는다. “사탕보다 달아요”라고 수감자 Javier Gomez 씨가 말한다. 나중에 요리하고도 남는 양이다. 텃밭의 수확물이 풍족하여, 매년 지역의 푸드뱅크에 약 230kg의 농산물을 보낸다. 


물론 일부는 맨하탄 수준의 샐러드와 신선한 구운 파이를 제공할 만큼 교도소가 편한 곳이 되면 안 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부소장 Jean King 씨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모범적 행동과 지적호기심에 따라 선발된 “정선된 사람”이라고 한다. 그들의 범죄는 심각했지만 —살인 이상— 그들은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많은 프로그램의 수업에는 토질, 퇴비 만들기, 유기적 병해충 방제(양배추에 계피를 심는 등)과 같은 원예가 들어간다. 그러나 이 계획의 설립자이자 감독인 Max Kenner 씨는 아무도 이를 직업훈련이라 부르지 못한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우리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텃밭 수업에서는 <좋은 먹을거리 혁명(Good Food Revolution)>과 <잡식동물의 딜레마(Omnivore’s Dilemma)> 같은 책을 읽는 시간도 있기 때문이다. 농사는 잘 먹기 위한 길만이 아니라, 자급을 재생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사람들을 가르치는 외에 작은 유기농 농장을 가진 Apicello 씨는 학생들이 먹을거리에 관한 문제에 관해 골몰할 때 좋아한다. “그 사람들은 결코 ‘왜 우리 이웃에는 신선한 식료품점이 없지’와 같은 말을 해본 적이 없었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더 큰 맥락에 이 문제를 넣기 시작하면 ‘아하!’ 하는 순간이 오죠.”


먹을거리 활동가 Marion Nestle 씨는 2010년 BPI 졸업식에서 졸업연설을 했다.  이 연설에서 그녀는 그들에게 앞으로 나아가기를 주문했다. “먹을거리를 기르는 것은 개인과 사회에 그들의 자원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주는 일입니다. 저는 이보다 더 혁명적인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25세의 Richard Gamarra 씨는 폭행으로 5년형을 받아 이제 출소까지 90일 남았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의 텃밭을 이어받아 6살 난 아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집에서 혁명을 일으킬 계획이다. 그러나 그 전에, 그는 밖에서 할 첫 식사를 기대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 전에는 맥도날드로 달려갔을 겁니다. 지금은 바로 농민장터로 갈 거예요”라며 Gamarra 씨는 웃음을 터뜨린다.







http://modernfarmer.com/2013/08/growing-organic-behind-bars/

728x90
728x90

친환경농산물 저농약인증제 폐지에 따른 대응방안.pdf


친환경농산물 저농약인증제 폐지에 따른 대응방안.pdf
1.38MB
728x90
728x90

한국과는 조금 양상이 다르지만, 대형마트가 특히 식품과 관련한 사업을 서서히 독점해 나아가는 건 미국이나 한국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대형마트가 로컬푸드로 신선식품의 물가를 잡는다든지, 대형마트가 휴업을 하면 농민들이 죽어난다든지, 대형마트들이 자체적으로 유통센터를 건립해 유통구조 축소에 노력하고 있다든지 하는 소식들이 모두 그러한 맥락에 있는 일 들일 것이다.

대형마트의 농산물 유통과 관련해서는 현재까지는 한겨레신문 유신재 기자의 기사가 가장 읽을 만하다

그만큼 이제 한국 사회에서 대형마트가 차지하는 위상은 엄청나게 커졌다. 생산자도, 소비자도 대형마트의 입김에 좌지우지될 만큼 말이다.

이러한 현상은 점점 가속화될 것이 뻔하다. 물론 그러한 와중에 틈새에서는 진짜 지역 먹을거리를 다루는 곳들이 하나둘 생겨나고 있으며, 농민들은 꾸러미 사업과 같은 직거래를 통해 공급망을 넓혀 가고 있다. 하지만 대형마트의 큰 걸음에 비하면 아주 미미한 정도일 뿐이다. 즉, 틈새시장 공략은 되어도 사회의 대안으로 나아가기에는 미미한 수준이다. 그래도 그러한 대안들이 꾸준히 조금씩이라도 널리 퍼지는 것이 사회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아래의 기사는 미국의 월마트를 중심으로 미국의 식품시장과 농업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살펴보고 있다. 앞서 이야기한 한국의 상황과 맞물려 보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월마트는 사회에 대한 영향에 관계없이 비용을 낮추고 이윤을 높이는 기업 러쉬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들은 낮은 가격으로 저렴하게 만든 상품 -비참한 조건에서 생산되기도 하는- 을 팔고, 노동자들에게 먹고살 만한 임금을 주지 않음으로써 간접비용을 낮춘다. 그것이 월마트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윤을 내는 기업의 하나가 되고, 미국의 거의 모든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사업전략이다.


현재 미국 식료품 시장의 약 25%는 미국에서 가장 큰 단일 식료품 유통업체인 월마트가 통제한다. 일부 지역 -대다수 농촌과 저소득 도시 지역을 포함- 에서는 25% 이상이기도 하다. 월마트의 저가 정책은 경쟁자들을 밀어내고지역 독점을 가능케 했기 때문이다. 월마트는 그 경쟁자(예, 농민장터)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물건을 싸게 팔아 경쟁자를 밀어낼 수 있다. 

미국의 월마트 분포


월마트의 사업모델과 엄청난 규모는 세계의 농업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업 관행의 요인이 되었다. 그들의 선택이 세계의 농업 시장에 파문을 일으킬 정도로 거대하다. 

월마트라는 기업의 결정은 생산자의 재배법과 다른 판매자의 상행위, 제품의 소비자 등 농업의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먹을거리 판매자

먹을거리 판매의 월마트화는 더 비싸고 신선하며 가공되지 않은 먹을거리에 비해 값싸고 가공된 먹을거리의 판매를 촉진했다. 이외에도 저렴한 농산물에 대한 대량의 수요로 공업형 "대규모 단작" 농장이 횡행하도록 주도했다. 

먹을거리 판매자는 신선한 농산물보다 정크푸드와 고도로 가공되고 오래 지속되는 먹을거리를 다루는 것이 훨씬 쉽고 비용이 덜 든다. 농산물과 달리 가공식품은 잘 상하지 않고, 상점에서 관리하는 데에 최소한의 노동력만 필요하다. 사람들이 제품의 신선도를 확인하는 데에 시간을 덜 소비하고, 부패해서 버리는 일도 적다. 이러한 효과를 보려면, 그저 Store 24나 Tedeschi’s에 가서 신선한 농산물이 상하지 않는 가공식품에 비해 얼마나 상하는지 비교해 보면 된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건강한 먹을거리는 더 비싸게 팔릴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결국에는 소비자에게 더 저렴한 것이다. 미국에서 부채의 주요 요인은 건강 관리, 그리고 대부분 좋은 식단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심각한 장기 의료 문제이다. 가공식품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고칼로리 먹을거리로 건강 문제로 고통받을 위험이 많고, 건강한 먹을거리를 먹는 사람들보다 당뇨병, 심장 질환, 비만 관련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처럼 정크푸드는 더 싸지만, 나중에 건강과 의료 관련 비용을 더 지불할 수 있다. 

미국의 빈곤한 지역 대부분에는 “먹을거리 사막(food desert)”이 형성되어 있고, 사람들은 건강한 먹을거리를 파는 공급자를 만나기 힘들다. 먹을거리 사막은 빈곤이 신선한, 유기농의, 비가공식품 판매자를 쫓아낸 지역이다. 이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먹을거리라고는 값싼, 가공된, 포장된, 건강하지 않은 먹을거리뿐이다.




월마트는 이러한 먹을거리 사막이 점포를 열기 좋은 장소(그들은 이미 약한 경쟁자들을 밀어낼 수 있음)일 만큼 거대하며, 이 기업은 벌써 기존의 먹을거리 사막으로 이동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뉴욕시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월마트가 먹을거리 사막을 잠식하면 지역의 식품업체 대부분이 파괴될 것이며(건강한 먹을거리를 파는 곳도 포함), 어떠한 긍정적 영향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몇 년 안에 이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신선한" 농산물은 지역의 식료품 시장을 점령한 월마트를 통해서 올 것이다. 


먹을거리 공급

월마트가 건강하고 신선하며 깨끗한 농산물을 공급한다면, 먹을거리 사막을 잠식하고 점령하는 것은 순전히 경제적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는 않다. 요즘 월마트는 간식거리뿐만 아니라 신선한 농산물에 대한 믿을 만한 공급자인 양 자체 상표를 만들고 있다. 그들에게는 유감스럽지만, 이 시도는 월마트의 "신선한" 농산물이 품질이 낮고 진짜 신선하지 않다는 것이 입증된 수많은 사례에 의해 손상되었다. 사실 월마트는 신선함과 GMO 표시제에 관한 흑역사가 있다. 

통신사 RT.com의 보도에 따르면, 월마트는 현재 경고 표시 없이 몬산토의 GMO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전국의 월마트 어느 곳에서도 현재 소비자에게 아무런 경고도 제공하지 않으며 몬산토의 GMO 옥수수를 판매하고 있다는 것이다. 

월마트가 지역에서 생산된, 유기농 먹을거리를 판매한다고 주장하지만, 몇 번의 물의가 이 주장을 의심스럽게 만들었다.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물의에서, 월마트는 유기농이 아닌데 유기농 상표를 붙여서 판매하다가 걸려서 문을 닫았다. 월마트의 "유기농" 먹을거리가 실제로 유기농인지 아닌지 상관없이, 월마트는 중국과 공업형 농장의 공급자들로부터 "유기농" 농산물의 대부분을 얻는다. 이는 소비자가 "유기농 먹을거리"를 월마트에서 사더라도 그것이 지역의 소규모 농장에서 오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먹을거리 생산자


지구에 사는 인구의 먹을거리에 대한 대규모 수요와 농업의 월마트화에 의한 가공식품의 확산은 특히 옥수수와 관련하여 공업형 대규모 단작식 농사가 증가하도록 이끌어 왔다. 소농은 월마트에서 팔리는 농산물의 양을 생산할 수 없어서, 월마트의 사업은 더 큰 공업형 농장을 불러왔다. 대규모 단작식 농사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데 더 효율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이는 증거에 의해 확증되지 않았다. 그러한 농장은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해충을 방제하고자 매우 강력한 농약을 활용하곤 한다. 

옥수수의 공업형 대규모 단작은 세계의 단옥수수 농업의 대부분이 가공식품에 쓰이는 고과당 옥수수시럽을 만드는 데 쓰이기에 이 상황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거의 모든 가공식품이 어느 정도 고과당 옥수수시럽을 함유하고 있기에, 막대한 양의 옥수수를 재배해야 한다. 설상가상으로, 고과당 옥수수시럽에 들어가는 미국의 옥수수는 보통 몬산토의 "라운드업 레디" 옥수수 같은 GMO 옥수수이다. 


결론

전체적으로, 주요 식료품 공급원으로서 월마트의 확산과 미국 식품 공급의 월마트화는 매우 필연적인 현상이다. 일부는 이것이 빈곤층에게 더 값싼 먹을거리를 제공할 것이라 주장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먹을거리의 질을 떨어뜨리고 결국 이것이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한다.

지금의 어려운 경제 시기가 더욱 많은 사람들이 저렴한 먹을거리 공급원으로서 월마트를 찾게 만들고 있다(또는 작은 상점이 문을 닫게 만들고 있음). 이 때문에 월마트의 사업 관행은 미국의 먹을거리 공급의 건전성에 매우 적합하다.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우리는 농업과 먹을거리를 값싸고 저질의 농산물을 공급하는 월마트의 사업모델에 부합하도록 만들길 바라는가?



http://www.globalresearch.ca/the-walmartization-of-agriculture/5336449

728x90
728x90

미국인은 평균적으로 슈퍼마켓에서 38,718개 이상의 제품을 구입한다. 꽤 선택지가 넓은 것 같지 아니한가?

실제로는 요구르트와 시리얼, 잼, 과자 등의 대부분을 극소수의 기업이 소유하고 있다. 심지어 지역의 슈퍼마켓이나 자연식품 상점의 유기농 상표 대부분도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Boca Burgers(예전에 Kraft로 알려진 Mondelez의 소유) 또는 Kashi(켈로그의 소유)와 같은 대중적인 상표는 실제로 모두 2000년에 인수되었다. 현재  Peet’s Coffee(현재 JAB의 소유)나 Coleman Natural(Perdue가 매수)와 같이 언뜻 보기에는 지역이나 소규모일 것 같은 상품도 최근 대형 다국적 기업에 의해 인수합병되었다.


미시간 주립대학의 Philip H. Howard 씨가 작성


그러나 진짜 문제는 무엇일까? 왜 Peet’s Coffee가 더 이상 독립적으로 소유되지 않는 것이 중요한가? Brown Cow나 Stonyfield 요구르트(현재 모두 Dannon의 소유)는 누가 그걸 소유했든지 똑같은 상품 아닌가?

대기업이 유기농 상표를 인수하는 일은 종종 기업의 물타기 수법이 된다고 미시간 주립대학의 Philip H Howard 박사는 말한다. 

그는 “유기농 식품 상표를 인수하면 새로운 모기업에서 유기농 재료의 비율을 줄이고 더 값싼 대체재를 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라 한다. “코카콜라에 인수된 Odwalla와  Dean에 인수된 Silk Soymilk, Hearthside Foods(현재 Post Foods)에 인수된 Peace Cereal이 그 사례입니다. 소비자들이 성분 목록을 꼼꼼하게 살필 수밖에 없습니다.”

그는 포장에 적힌 글을 확인하는 것이 소비자가 기업에 인수된 뒤에도 얼마나 많은 유기농 재료를 사용하는지 평가하는 방법이 된다고 이야기한다 . 예를 들어 Silk Soymilk는 인수된 뒤에 "유기농"이란 표시는 없앴지만 포장지는 바꾸지 않고 유기농 콩 대신 관행농 콩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그는 유기농 식품의 구매자에게서 얻은 이윤이 소비자를 지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고 덧붙인다. 

“한 예가 최근 있었던 캘리포니아의 유전자조작 식품 표시제(Proposition 37)입니다”라고 Howard 씨는 말한다.  “많은 유기농 식품 상표에 대한 은밀한 소유권을 지닌 다국적 기업들이 모든 소비자 대부분의 의견에 반하여, 이를 저지하는 데에 돈을 기부했습니다.”  코카콜라(Honest Tea와 Odwalla의 소유자)와 펩시(Naked Juice), General Mills(Lara Bar와 Food Should Taste Good의 소유자)는 각각 100만 달러 이상을 Proposition 37을 반대하는 데에 기부했다.

[업계의 인수합병 흐름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




728x90
728x90

농법에는 참으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씨뿌리기부터 김매기, 북주기, 순지르기 등을 거쳐 수확하는 일까지 참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다.

농사꾼에게 자신이 해온 농법을 바꾸라는 일은 그동안 자신이 살아오던 생활습관을 일시에 바꾸라는 말과 똑같다.

그만큼 농사꾼은 자신의 방법을 믿고 의지한다. 그도 그럴 것이 해를 거듭하며 쌓아온 관록과 경험이 그를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농법을 바꾸었다가 농사가 잘 안되거나 망하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농법을 알려준 사람이? 절대 아니다. 그 말을 듣고 따라한 본인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농사꾼이 자신이 농사짓던 방법을 바꾸기란 더욱더 어려워진다.


그래도 바꾸는 때가 있다. 누군가 그 새로운 농법을 받아들여서 몇 해에 걸쳐 농사를 잘 짓는다면 그때서야 "나도 한번 바꿔 볼까" 하게 된다. 그것도 아니면, 보조금 등이 나오거나 그에 대한 확신이 서는 순간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무척 과감하게 농법을 바꾸곤 한다.


처음 농사짓는 사람들은 누구에게 농사를 배웠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왜,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그 말과 똑같다. 

주말농사를 처음 시작한 사람들의 경우, 그 주말농장의 운영자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농사짓는 방법이 결정된다. 거기서 확 바뀌는 일이란 앞의 농사꾼의 경우처럼 그리 흔하지 않다.


텃밭 농사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 바로 감자이다.

감자는 심는 방법도 쉽고, 관리하기도 쉬우며, 무엇보다 나중에 수확할 때 큰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작물이라 초보 농부들이 좋아한다. 감자 하나를 캐면 감자가 줄줄이 알사탕처럼 들려 나올 때 느끼는 희열이란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런데 이 감자를 심는 방법에서도 크게 두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아래는 요즘 많이들 쓰고 있는 감자 심는 법이다. 높고 좁은 두둑을 짓고 거기에 감자를 심는다.

이 농법은 '비닐'의 사용을 기본 전제로 하는 농법이다. 사진에는 비닐이 없지만 흔히 여기에다 이른 봄에는 투명한 비닐을, 좀 지나서는 검은 비닐을 덮고서 감자를 심는다. 

이렇게 심으면 좋은 점은, 감자가 높고 좁은 두둑 안에 집중적으로 달리기에 나중에 수확하기 수월하다는 것이다. 대신 김을 매고 북을 주는 데에는 불편할 수 있다. 그래서 비닐이 기본 자재로 쓰일 수밖에 없다. 저 두둑에 비닐을 덮어 놓으면 김을 맬 필요도 없고, 북을 줄 필요도 그리 크게 없다. 비닐이 보온만이 아니라 보습 효과와 잡초를 억제하는 역할까지 도맡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닐을 쓸 때는 참으로 좋은 감자 심는 방법이지만, 비닐을 쓰지 않을 때에는 글쎄... 봄은 바람이 많이 불어서 건조한 날이 많은데 두둑이 너무 노출되어 있어 바람에 증발되는 수분도 많아진다. 감자가 수분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작물의 하나라고는 하지만 저렇게 드러나 있으면 별로 좋을 건 없다.





다음 사진은 '헛골 농법'을 활용하여 감자를 심는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평두둑에 밑거름을 준 다음 골을 탄다. 골을 타는 방향은 두둑의 방향대로 타도 괜찮고, 아니면 두둑과 직각이 되도록 타도 된다. 

이 골이 바로 '헛골'이 되겠다. 골은 골인데 진짜 골이 아니라 가짜 골이라서 헛골이다. 나중에는 이 골이 앞서 보았던 좁고 높은 두둑으로 변하기에 그러하다. 그건 나중에 더 살펴보도록 하고... 




그리고 헛골에 적당한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감자를 심는다. 이렇게.




이 얼마나 간단한가! 좁고 높은 두둑을 만드는 노동력이나, 헛골을 타는 노동력이나 거기서 거기일 것이다. 감자를 심는 것도 마찬가지이고 말이다. 그러나 비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는, '헛골 농법'이 김을 매고 북을 주는 데 훨씬 쉽기 때문에 더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뭄을 덜 탄다는 점에서도...


참고로 나는 3가지 토종 감자를 심었다. 횡성에서 자란 감자와 사천에서 재배된 자주감자와 분홍감자. 이렇게 세 가지 종류이다. 양이 많지 않아서 올해는 증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든 작물이 마찬가지이지만, 감자 역시 그 싹부터 다르다. '싹수가 노랗다'라는 옛말이 허투루 나온 것이 아니라는 걸 농사지으면서 절실히 깨달았다.


먼저 횡성에서 온 횡성감자와 그 싹이다. 지난 12월 전여농 토종씨앗 행사에서 얻어왔는데, 깜빡하고 관리를 잘못하여 싹이 너무 길쭉하게 자랐다. 너무 긴 것만 제거하고 어지간한 싹은 그대로 심었다.



다음은 사천에서 재배되어 올라온 분홍감자와 그 싹.



마지막으로 역시 사천에서 재배되어 올라온 자주감자와 그 싹. 역시나 분홍감자나 횡성감자와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보이는가?



감자 싹이 무럭무럭 자라면서 아래의 사진과 같은 모습이 된다. 아직은 풀이 많이 자라지 않았지만 조금만 지나면 헛골을 타느라 쌓아놓은 흙무더기에서도 풀들이 자랄 것이고, 감자의 줄기는 더 크고 튼실해질 것이다. 그때 감자에는 북을 줄 필요가 생긴다. 그래야 줄기에서 더 많은 뿌리들이 나와 알이 굵은 감자가 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감자의 북은 흙은 괭이나 호미로 헛골을 타면서 쌓아놓은 흙을 무너뜨려서 주면 된다. 그렇게 하면 북주기와 김매기가 동시에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헛골의 장점으로는 봄철에 가뭄을 덜 탄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두둑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기에 바람과 햇빛 등의 영향을 덜 받게 되고, 아침저녁으로는 이슬도 더 많이 맺히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가뭄을 덜 탄다는 점도 이 농법이 지닌 장점이다.




자, 그럼 헛골 농법의 완성형을 보자! 


3월 말에서 4월 초에 감자를 심으면 5월 중하순 무렵이면 순지르기도 끝낸 상태가 되고 흙더미에 풀들도 어지간히 자란다. 그러면 그 풀을 호미로 김을 매면서 흙더미를 무너뜨려 감자에 북을 주면서 높은 두둑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 작업을 마치면 감자의 두둑은 아래와 같이 바뀐다. 두둥!



어떠한가? 놀랍지 않은가?

새롭게 생긴 두둑 위 고랑 부분의 풀은 일부러 덮어준 것이다. 처음부터 감자를 높은 두둑을 만들어 심는 것이 아니라 헛골에다 심는 방법의 과정은 이러하다. 앞에서 이야기한 장점들이 이렇게 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올해는 감자 농사가 잘 되겠다! 


하지만 역시 비닐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단점 아닌 단점이 될 수밖에 없다. 비닐을 사용하면 그 효과는 수확량으로 돌아온다. 똑같은 유기농이더라도 비닐을 쓴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수확량은 2배 정도가 차이난다고 한다. 유기농이냐 관행농이냐에 따라 또 2배 정도의 수확량 차이를 보인다고 하니, 관행농으로 농사지으며 비닐을 쓴 곳과 비닐 없이 농사지은 유기농 감자밭의 경우 수확량에서는 4배 이상이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 더 비쌀 수밖에 없지 않은가? 이렇게나 많은 노력과 정성이 들어가는데.


수월한 관리와 수확량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에서는 비닐을 쓰는 편이 훨씬 경제적이고 효율적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밭, 작은 밭에서 자급을 목적으로 하면서 농사짓는 곳에서는 비닐을 구하는 것이 오히려 더 어렵고 돈만 많이 들기에 비닐을 쓰지 않고 농사짓는 것이 훨씬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선택은 농사짓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 작은 평수에서 자급용 감자를 기르려고 한다면 난 망설이지 않고 '헛골 농법'으로 농사를 짓도록 권하고 싶다.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안상추의 단점  (0) 2013.06.04
당분간 쌈밥!   (0) 2013.05.28
호박, 새싹이 나오다  (0) 2013.05.13
오늘의 텃밭 풍경  (0) 2013.05.13
앉은뱅이밀에 이삭이 팬 날  (0) 2013.05.08
728x90


PRN055.pdf


PRN055.pdf
0.65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