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799년(정조 23)에 전라도 남원의 유학幼學 조영국趙英國이 정조가 전해에 내린 〈권농정구농서윤음勸農政求農書綸音〉에 응하여 왕에게 올린 농서. 1책. 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농업의 근본을 천시天時·지리地利·인사人事·수공水功·부종付種 등 다섯가지로 여기고 이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천시〉에서는 천시를 살펴서 때를 맞추어 농사를 지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지리〉에서는 토양에 알맞게 작물 또는 품종을 정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며, 〈인사〉에서는 빈부가 불균하거나 노동력이 부족하거나 또는 게을러서 유식遊食하거나 공상工商에 몰리기 때문에 곡손穀損과 재탈이 많으므로 농구·농량農糧을 서로 대여하고 협동하자고 주장하였다.

〈수공〉에서는 농업에서 수리가 가장 중요하므로 제언堤堰을 소착疏鑿하거나 수차를 만들자고 하였으며, 〈부종〉에서는 당시 주앙법注秧法(볍씨를 봄에 모판에 뿌려서 모를 가꾸는 법)이 성행하여 때를 놓치는 일이 많으므로 부종법付種法(논밭에 씨를 직접 뿌리거나 심어서 가꾸는 법)에 힘쓰자고 주장하였다.

정조가 윤음에서 거론한 문제점을 재정리한 정도이며 농서로서의 중요성은 크지 않다. 1981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 간행된 ≪농서農書≫ 권7에 수록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農書 7·8(亞細亞文化社, 1981)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가집성農家集成  (0) 2008.05.15
농담農談  (0) 2008.05.15
농정서農政書  (0) 2008.05.15
농정신편農政新編  (0) 2008.05.15
농정촬요農政撮要  (0) 2008.05.15
728x90

저자·연대 미상의 종합 농업기술서. 5책. 필사본. 농정·수리·작물·원예·축산·양잠·양어·양봉 등에 관한 내용을 주로 기술한 책이다.

1책 후반부에서 2책 전반부까지의 약 100면이 자구(도해 포함) 하나 다름이 없이 ≪수차도설水車圖說≫·≪양수기제조법揚水機製造法≫·≪육해법陸海法≫과 공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농정서의 저자는 ≪육해법≫을 저술한 최한기崔漢綺로 믿어진다.

또한 저술연대는 역관 오경석吳慶錫이 최초로 ≪양수기제조법≫을 도입한 것에 비추어, 그가 처음 중국을 다녀온 1853년 사이로 추정된다.

수록한 내용을 보면 제1책의 서두에는 제가잡론諸家雜論을 풀이하고 있는데, 관자管子·후직后稷·왕정王楨·임응林應·현호玄扈 등의 설을 이용하여 농시農時·변토辨土·토리土理·농상農桑·정전고井田考·전제田制 등을 농학원론식으로 풀이하면서, 수리水利에서는 관개도보灌漑圖譜와 농기보農器譜가 부기되어 있다.

제2책은 수법水法·태서수법泰西水法·수법부여水法附餘·비황정備荒政 등이 풀이되고 있는데, 5종의 수고도水庫圖(저수지)와 각종 양수기의 도해설명 및 제조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 용수원 개발의 적지 선정·수질판별법 등이 있으며, 흉년이 들었을 때의 황정荒政의 방법이 수록되어 있다.

제3책에는 농사영치農事營治와 농사점후農事占候 등이 있는데, 비료 마련·춘추경春秋耕·기상 예찰과 농시 등이 풀이되어 있다.

이 책은 작물의 배열이나 작목간의 논술의 분량 등에서 균형이 맞지 않아 정리가 덜 된 감이 있을 뿐 아니라, 곳곳에 초서를 쓰고 또 같은 책 안의 상·하 구분 표시 등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여서, 저자가 초고본草稿本으로 작성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이 농서는 개화기 직전의 농업기술 이해와 농학사 연구에 좋은 참고서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참고문헌≫ 吳慶錫의 개화활동과 개화사상(愼鏞廈, 歷史學報 107, 1985)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담農談  (0) 2008.05.15
농서총론農書總論  (0) 2008.05.15
농정신편農政新編  (0) 2008.05.15
농정촬요農政撮要  (0) 2008.05.15
농정회요農政會要  (0) 2008.05.15
728x90

1885년(고종 22)에 안종수安宗洙가 저술한 농서. 4권 4책.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서이다. 저자 안종수는 1881년 신사유람단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건너가 일본의 대표적인 농학자 쓰다(津田仙)를 통해 네덜란드 농학자 호이브렌크Hooibrenk의 재배법을 접하였으며, 쓰다의 ≪농업삼사農業三事≫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여러 가지 농업 관계 서적을 가지고 돌아와서, 5개월 동안 각국의 근대 농업에 관한 연구에 몰두한 끝에 1881년 12월 ≪농정신편≫의 원고를 완성하였다. 그런데 간행은 곧바로 이뤄지지 못하고, 1885년 갑신정변 이후 통리교섭통상아문주사로 근무할 때 이뤄졌다.

광인사廣印社에서 발행된 초판본에는 20여 면의 목판 삽화가 수록되어 있었으나, 재판본에서는 삽화가 빠져 있다. 책이 간행되자, 정부는 앞장서서 널리 유포하게 하여 농업 개량에 참고하도록 하였다. 1905년 박문사博文社에서는 4권 1책으로 된 재판본을 냈고, 조선총독부에 의해 1931년 한글로 번역된 단권 ≪농정신편≫이 간행되어 농촌 사회에 보급되었다.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업 기술서로 과거의 농서와는 판이한 체계와 내용을 수록하였다. 특히 근대 과학을 토대로 한 식물학 또는 농화학적 지식을 원용한 농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토지성질론·토지해석법·초목성질·식물생리·배수술排水術 등의 항목을 두어 토지이용에 관한 설명을 싣고 있다. 배양법은 배양발단培養發端·배양중경培養中耕·경작사업耕作事業·토지휴한법土地休閒法·경작교대법耕作交代法 등의 문제를 논하였다.

책의 내용은 당시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는 매우 새롭고 신기한 사실을 담은 것이었다. 그러나 저자 자신이 직접 경험했거나 실험을 통해 얻어낸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다소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 재래 농법에 큰 자극을 주었을 뿐 아니라 서양의 근대 농법을 소개한 농업 기술서로 주목할 만하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日省錄
≪참고문헌≫ 高宗實錄
≪참고문헌≫ 承政院日記
≪참고문헌≫ 梅泉野錄
≪참고문헌≫ 安宗洙와 農政新編(李光麟, 韓國開化史硏究, 一潮閣, 1969)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서총론農書總論  (0) 2008.05.15
농정서農政書  (0) 2008.05.15
농정촬요農政撮要  (0) 2008.05.15
농정회요農政會要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728x90

1886년(고종 23) 정병하鄭秉夏가 지은 농서. 3권 1책. 토양·비료·주곡작물과 목화·담배의 재배법을 종합 서술하였다. 자서自序와 목록·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문과 목록은 순한문, 본문은 국한문 혼용이며, 이건초李建初의 교정으로 되어 있다.

상·중·하 3권 중 상권의 1·2장은 농업의 대의와 1년 12개월의 행사를 월마다 24절후와 관련시켜 설명하고 있으며, 3장은 1년 중 6경耕과 천시天時를 관련시켜 설명하고 있다.

4장은 비료를 활물류活物類·초목류草木類·토석류土石類로 대별하여 그 효용에 대하여, 5장은 토양의 통기通氣·비료수肥料水의 제조법 등을, 6∼8장은 토양 분류와 그 물리적·화학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9장의 견기見機는 공기와 지기地機를 합친 작물 재배의 원초적인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10장의 논이수論利水는 용수의 중요성과 보·제언의 필요성을 논술하고 있다. 11장은 전답의 척도계산법, 12장은 농기農器, 13장은 파종시의 종자선별법, 14장은 볍씨의 침수법浸水法, 15장은 못자리의 설치, 16장은 모심기, 17∼19장은 논의 제초·물관리·병충해방제·수확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20장은 육도陸稻의 재배, 21장은 추경秋耕과 춘경春耕의 이점, 22·23장은 가을보리와 봄보리의 재배법, 24장은 춘추맥의 교혼법交婚法, 25장은 벼농사의 보리농사로의 전환법, 26∼28장은 구황작물의 재배법, 29장은 두류豆類, 30장은 조, 31장은 피, 32장은 기장, 33장은 목화, 34장은 담배의 재배법을 각각 다루었다.

이 책은 당시 개화파의 중요 정책 가운데 하나였던 농업진흥책의 일환으로 엮은 것이며, 그들은 농촌경제를 안정시킴으로써 농민의 불만을 해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국강병의 근대 국가를 세울 수 있다고 믿었던 것 같다. 이러한 뜻은 이 책의 서문에 잘 나타나 있다.

책의 내용은 서구 농법을 도입한 일본 농법을 재도입한 것으로 보이는데, 토양과 비료에 중점을 두고 있어, 과거 우리 실학파에 의한 전통 농학을 계승 발전시킨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당시 개화파의 농업관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되며, 신기술 도입면에서 농업기술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와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정서農政書  (0) 2008.05.15
농정신편農政新編  (0) 2008.05.15
농정회요農政會要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728x90

1830년대 최한기崔漢綺가 편찬한 종합 농업기술서.

 

[해제]

분량면에서 ≪임원경제지≫ 다음가는 방대한 농서이다. 본래 10책의 필사본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는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본河合文庫本은 제1책이 빠져 있어 서문이나 목차의 유무를 알 길이 없다.

저자는 이 책에서 중국의 경서와 사서史書·농서農書·박물지博物志, 그리고 우리나라의 ≪산림경제≫·≪고사신서故事新書≫·≪동의보감≫ 등 수많은 서적을 인용하여 엮었다.

 

[내용 및 특징]

내용의 서술방식은 토의土宜(토산물)·곡종穀種 등 장을 달리할 때마다 먼저 그 장의 총론적 풀이를 하고 있어 다른 농서와 구별되며, 농작물명에는 한문 외에 대부분 한글로 품명을 적어 놓아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제2책에는 토의·전제田制·구전區田·수리水利·본조전부本朝田賦·수세水稅·대동작공大同作貢 등이 수록되어 있다.

2책 90장張 중 24장이 토의에 관한 것으로 그 가운데 ‘지거천중地居天中 운화불식運化不息’이라 하여 서양의 지동설을 도입하고 있다. 제3책에는 벼·보리 등 각종 곡식작물과 참깨·아주까리 등의 특용작물 등 모두 40여 종 작물에 대한 재배법이 풀이되고 있는데, 벼 한가지에도 34개의 품종을 풀이하고 있어 매우 상세히 서술되어 있다.

제5책에는 채소원예작물 40여 종과 과수 중 20종에 대한 재배학적 풀이가 수록되어 있고, 제6책에는 5책의 계속으로 감귤·유자·야자·무화과 등과 수박·연蓮·사탕수수·백합 등이 풀이되고 있다. 그리고 소나무 등 14종의 경제수종·홍화·쪽·인삼·담배 등의 특용작물 및 약용식물의 재배법을 수록하고 있다.

제7책에는 방적과 양잠을 풀이하고 있는데 대마·모시 등의 섬유작물과 뽕나무 재배법을 풀이하고 있으며, 양잠에서는 제거制居·욕종浴種·사양飼養·분박分箔·입족入簇·택견擇繭·조사繰絲·직염織染의 순으로 상세히 논술되고 있다.

제8책에는 소·말·노새·나귀·염소·돼지·개·고양이·닭·물고기·꿀벌·학·매 등에 대하여 그 성상·관상법·사양법, 축사와 그 관리, 각종 질병 치료법 등이 상세히 풀이되고 있다.

제9책과 10책에는 식품관계의 치선治膳을 다루고 있는데 8책까지와는 달리 인용문헌이 없이 유중림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를 그대로 옮겨 놓으면서 일부를 보충하고 있다.

9책의 식품에는 죽 종류 약 40종, 떡 종류 약 50종, 면 종류 약 5종 등을 풀이하고, 입지에 따른 우물물의 수질을 논하고 다탕茶湯에서는 구기자차·생강차 등이 있으며 다식·모과전 등 11종의 제조법이 수록되고, 엿(飴糖)은 ≪산림경제≫와 내용이 같고, 채소에서는 콩나물을 비롯한 각종 나물을 만드는 법 40종을 열거하고 있으며, 이어서 각종 장담그기, 식초만들기, 10여 종의 유지작물에 대한 기름짜기 등이 다루어져 있다.

제10책에는 술·육선肉膳·어품魚品·치식의治食宜 등이 논술되고 있는데 치식의·식기食忌·구황救荒 등은 ≪증보산림경제≫의 내용과 같으며, 술에 있어서는 국화주菊花酒 등 25종의 술 담그는 법이 추가되고 있다. 육선은 불고기(火肉) 등 16종, 어품은 풍어법風魚法·어장법魚醬法 등 15종의 요리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책은 그 내용이 방대할 뿐 아니라 다루고 있는 품목도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나, 내용의 정리면에서는 초고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부 내용이 앞뒤가 중복될 뿐만 아니라 저술 당시 같은 책 안에서도 권卷을 달리할 계획이었던 것 같으나 미처 이를 정리하지 못한 것 같다.

 

[의의]

그러나 이 농서는 19세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에 의하여 엮어졌다는 점과 몇 개 안 되는 19세기 농서의 비교분석을 통한 기술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일본의 경도대학에 소장되어 있고, 그 마이크로필름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農書小史(金容燮, 韓國學文獻硏究의 現況과 展望, 亞細亞文化社, 1983)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정신편農政新編  (0) 2008.05.15
농정촬요農政撮要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백운필白雲筆  (0) 2008.05.15
728x90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상기鄭尙驥가 저술한 농서. 1권 1책. 필사본.

 

[내용 및 특징]

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농사를 짓는 사람과 채소밭을 가꾸는 사람의 대담형식을 빌려 자기의 주견과 포부를 문답식으로 서술한 책이다. 서술연도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그 내용이 담고 있는 경륜으로 미루어 보아 그의 말년인 1750년 전후의 저술로 추정된다.

이 책의 내용은 서언緖言을 포함하여 30여 항으로 나누어 풀이되고 있는데, 서언에서는 실농失農한 농부라도 천시天時와 지리地理를 익히면 성공할 수 있으며, 나라를 다스리는 것도 농사를 짓는 것과 같다고 되어 있다.

균전제均田制는 농지의 사유권은 인정하되 관리권은 국가가 행사해야 한다는 것이며, 지민수知民數는 정확한 인구 통계의 중요성과 작성법을 말하고, 행통법行統法에서는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범죄자 색출, 세금 징수, 부역 동원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다섯 민가를 한 통으로 묶던 호적제도)을 서술하고 있다.

또 병기를 예리하게 하자는 이병기利兵器, 군수품을 미리 준비하자는 비군용備軍用, 장사지내는 데 풍수설을 금하자는 금풍수禁風水, 의약의 발전을 위해 팔도에서 훌륭한 의원을 뽑아 후대하자는 논의약論醫藥, 인재 등용에 가계를 알 수 있도록 보첩을 만들자는 명계보明系譜, 서적을 널리 유통시키자는 광서적廣書籍, 사람의 귀천에 따라 의관을 분별하자는 별의관別衣冠에 대해 말하였다.

 

[의의]

이 책은 실학사 연구에 값진 내용이 담겨 있다. 같은 ≪농포문답≫으로 이대규李大奎의 것이 있으나 이 책과 같은 정경서가 아니라 농경農耕에 관한 것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1973년 이익성李翼成이 번역하여 ‘을유문고’ 125호로 발간되었다.

 

≪참고문헌≫ 農圃問答(李翼成譯, 乙酉文化社, 1973)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정촬요農政撮要  (0) 2008.05.15
농정회요農政會要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백운필白雲筆  (0) 2008.05.15
본사本史  (0) 2008.05.15
728x90

1872년(고종 6)에 이대규李大奎가 지은 문답식 농업기술서. 3권 1책. 목활자본. 문답식으로 꾸민 면에서 1750년(영조 26)대 정상기鄭尙驥가 저술한 ≪농포문답農圃問答≫과 비슷하다.

이 책은 목록 없이 1798년(정조 22) 11월에 내린 〈권농정구농서윤음勸農政求農書綸音〉, 저자의 〈상농정소上農政疏〉, 그리고 1799년의 〈비변사계목備邊司啓目〉 등으로 권1을 구성하고, 농공農公이라는 선비와 포로圃老라는 늙은 농민 사이의 대화내용을 권2로 하였으며, 권3은 저자의 자서·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농정소〉의 내용을 살펴보면, 농공農功을 권하고 수리水利를 일으키며 농서를 간행하여 반포하는 일들이 왕정의 대본大本이 된다는 요지로 되어 있다.

권2의 내용은 농공이라는 선비와 포로라는 늙은 농부 간의 일문일답식 대화집으로, 주자의 ≪운곡지영雲谷之詠≫과 강희맹姜希孟의 ≪금양잡록衿陽雜錄≫ 등을 참고하여 천시天時의 운행과 지리地理의 기름지고 토박한 것과 인사人事의 근면 등을 비롯하여, 산천·기후·백곡·토양 등에 대해서 문답식으로 자세히 서술한 것이다. 그러나 기술적인 내용이라기보다는 일종의 관념적인 문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권3에는 저자 자신의 자서가 있고, 족손 철우徹瑀의 근기謹記가 있으며, 족손이며 정산현감定山縣監을 역임했던 계순啓淳의 발문과 저자의 증손 영상英相의 발문이 들어 있다.

이 책은 중간본이 있는데, 여기에는 문답내용에 농공과 포로의 표시가 없고, 끝에 호영재湖英齋 시집과 계순의 서문, 그리고 6대손 종택鍾宅의 발문이 있다. 같은 ‘농포문답’이라는 이름으로 저술된 농서는 이대규·정상기 이외에 이별李鼈·최유해崔有海의 것이 있다고 하나 현존 여부는 아직 확인되고 있지 않다. 초간본은 국립중앙도서관, 중간본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정회요農政會要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백운필白雲筆  (0) 2008.05.15
본사本史  (0) 2008.05.15
산림경제山林經濟  (0) 2008.05.15
728x90

1803년 이옥李鈺(1760~1815)이 지은 농업서. 2책 76면. 필사본.

동식물과 농작물에 대한 생태·양육방법에 관한 설명이 담겨 있다.

구체적으로 새·물고기·짐승·벌레·꽃곡식·과실·채소·나무·풀 등을 164항에 걸쳐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우리나라 생물학사 및 농업기술사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1976년에 김호연金浩然이 발견하였다.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본사本史  (0) 2008.05.15
산림경제山林經濟  (0) 2008.05.15
색경穡經  (0) 2008.05.15
728x90

이 책은 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를 많은 부분 그대로 옮겨놓은 것에 불과하며 그가 독창적 농서를 완성한 것은 그 뒤 14년만에 다시 엮은 이 ≪본사≫라고 할 수 있다.

 

[구성 및 내용] 

이 책은 저자의 서문 ‘후서’목차에 이어 본문 그리고 서유구의 후발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이 책은 농정의 본말과 종시終始를 기록한 것이다. 농정의 본말을 서술한 이유는 팔곡八穀이 식食의 근본이 되기 때문이며 소채와 과실도 없어서는 안 될 식품이다. 수목과 화훼는 동량棟樑과 주차舟車, 책상 등을 만드는 재료이고, 풀뿌리나 줄기와 잎은 생명을 보호하는 약초가 되기 때문에 기록하였다.”는 요지로 되어 있다.

제1권은 벼·기장·피·수수·옥수수·율무·보리·밀·콩·팥·녹두·완두·잠두·참깨·들깨 등 각종 작물에 대하여 본기적本紀的인 기록을 수록하고 있다.

제2권은 경종농업을 뒷받침하는 관련 농업기술에 대하여 논한 것이다.

제3권은 경운·파종·제초·수확·탈곡·도정 등 각종 농기구에 관하여 풀이한 다음 가색稼穡에서 천시天時와 지의地宜 그리고 경종농업의 일반적 내용인 경운·파종·시비 등에 대한 기초적 사항과 벼·기장·콩 등에 대한 각론적 풀이를 하고 있다.

제6권은 서두에서 밤·대추 등 5과果와 배·감·버찌·유자 등의 핵과核果를 설명하고, 연실蓮實 등 3종의 수과水果와 수박·포도·가지 등의 등과藤果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끝으로 총과叢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5종의 차茶종류와 그 밖에 대나무, 싸리나무 등의 경제수종이 포함되어 있다.

제7권은 소나무 등의 정목貞木, 계수나무 등의 향목香木, 오동나무 등의 교목喬木, 그리고 치자나무 등의 관목灌木 등을 풀이하고 있다.

제8권은 인삼·구기자·천문동 등의 향초香草와 두견화·영산홍 등의 방초芳草 등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제9권은 우슬·강활 등의 산초山草, 지황·황연·지모 등의 습초濕草, 박하·자소·호장虎杖 등의 야초野草를 기술하고 있다.

제12권은 잠기蠶紀·저기苧紀·면기棉紀 등을 기술하고 있다. 끝에 있는 서유구의 후발은 할아버지인 저자가 이 책을 엮은 참뜻을 밝히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본사’라는 말은 사기史記의 뜻을 적용, 절충한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의의]

이 책은 내용이 풍부하고 외국의 식물까지 소개, 외국의 지식을 도입하려고 노력하였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역사적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서 이 책에는 저자의 농정관農政觀이 나타나 있으며 농학사와 농업기술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참고가 되고 있다.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韓國食經大典(李盛雨, 鄕文社, 1981)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포문답農圃問答  (0) 2008.05.15
백운필白雲筆  (0) 2008.05.15
산림경제山林經濟  (0) 2008.05.15
색경穡經  (0) 2008.05.15
소채재배전서蔬菜栽培全書  (0) 2008.05.15
728x90

조선 숙종 때 실학자 홍만선洪萬選이 엮은 농서 겸 가정생활서. 4권 4책. 필사본.

 

[내용]

≪산림경제≫는 농서로서 농림축잠업을 망라하였을 뿐 아니라, 농촌생활에 관련되는 주택·건강·의료·취미·흉년대비 등에 이르기까지 논술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농서들에서 볼 수 없는 종합적인 농가경제서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농업과 임업에도 많이 참고가 될 과학적인 면도 있다.

 

[의의]

≪산림경제≫는 당시의 농업기술 수준을 살필 수 있을 뿐 아니라, 농가생활의 모습과 의료·건강관리·민속·취미 등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따라서 농업사연구에는 물론 식생활사·생물학사·의학사·약학사 연구에도 참고가 되고 있다. 또한 당시의 실학사상을 엿볼 수 있는 좋은 문헌으로 평가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山林經濟解題(李春寧, 韓國의 名著, 玄岩社, 1969)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운필白雲筆  (0) 2008.05.15
본사本史  (0) 2008.05.15
색경穡經  (0) 2008.05.15
소채재배전서蔬菜栽培全書  (0) 2008.05.15
수차도설水車圖說  (0) 2008.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