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내가 처음 토종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2008년이다. 나는 2002년 무렵부터 귀농에 관심이 있어 농사 경험이라도 쌓자는 생각으로 텃밭 농사를 시작했다. 당연히 농사는 유기농업뿐이라 생각했다. 그런 생각으로 농사를 짓다가 나의 눈은 자연스레 전통농업으로 향하게 되었다. 옛날에는 농약과 화학비료 같은 농자재 없이도 어떻게 농사를 지었을까 하는 점이 너무 궁금했고, 당시의 좋은 기술이 있으면 지금 되살릴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그러다 우연한 기회에 흙살림에서 조직한 ‘전통농업위원회’의 위원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우리 위원들은 노농들의 경험을 살피고자 전국 곳곳을 다니며 그들을 취재하고 인터뷰했다. 그렇게 몇 년을 다니면서 살펴보니 옛날 농사법은 이제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심지어 노농들의 기억 속에서도 그러한 농법은 희미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의 흔적도 없이 말만 남아 있었다. 물론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소로 쟁기질을 하는 단양의 할아버지는 여전히 예전의 방법을 활용해 두둑을 지어 농사를 짓고 있었고, 풀을 매는 방법이나 작물을 돌보는 방법 곳곳에 예전 농법들의 흔적이 남아 있긴 했다. 하지만 온전한 모습 그대로는 찾아보기 힘들었고, 너무 파편화되어 그걸 온전한 형태로 간추리는 것조차 힘들어 보였다. 그런데 딱 하나, 옛날의 것이 남아 있었다. 그것은 바로 씨앗이었다.  


‘농부는 굶어 죽어도 씨앗을 베고 죽는다’는 속담이 있다. 지금 사람들에게는 스마트폰이 그런 위치이겠지만, 농부에겐 씨앗이 매우 중요하다는 뜻이 담겨 있다. 하지만 요즘 농부들은 그러한 씨앗조차 제 손으로 받지 않는 농사를 짓고 있다. 농약방에 가면 수확량이 좋다는 씨앗들이 무수하게 널려 있으니 굳이 애써 씨앗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만난 노농들에게는 적어도 한두 가지의 토종 씨앗이 존재했다. 그렇게 취재와 조사를 마치면 남는 것은 녹음기에 녹음된 노농의 목소리와 봉다리에 담긴 씨앗이 있었다. 그걸 가지고 돌아와 농지에 심고 가꾸며 씨앗의 숫자를 늘렸다. 그 일의 화룡점정은 농촌진흥청의 의뢰로 2008년에 있었던 “토종 유전자원 수집단”이었다. 안완식 박사를 단장으로 박문웅, 한영미, 안철환 선생과 함께 두 달 여 동안 강화도와 울릉도, 제주도 전역의 마을을 모두 돌아다니며 토종 씨앗을 수집했다. 당시 450여 점의 토종 씨앗을 수집할 수 있었고, 제주에서 수집한 토종 씨앗은 제주 여성농민회총연합에 인도하여, 현재 토종 씨앗 보전운동을 펼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토종 씨앗에 대한 관심과 열의는 ‘토종 씨드림’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나도 그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토종 씨앗에 대한 공부를 이어나갔다. 그러면서 토종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에 대하여 나름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토종 씨앗이 중요한 이유를 하나 꼽으라면 나는 ‘농업생물다양성의 교두보’라고 이야기하겠다. 토종과 관련해 저지르는 실수 가운데 하나가 마치 토종 씨앗만 있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식의 오해이다. 토종만 있으면 농약과 비료가 없어도 유기농업이 가능하고, 토종 씨앗이 신품종보다 훨씬 우수하고 뛰어나며, 토종을 먹으면 없는 병도 고칠 수 있다는 식의 접근은 위험하다. 그것은 일종의 종교와도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토종교’는 위태롭다. 믿음의 영역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토종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왜 우리의 농업에서 토종이 사라지게 되었고, 토종에는 어떤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토종을 왜, 어떻게 보전해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고민 없는 맹목적인 믿음은 그것이 어떠한 형태이든 위험하다. 거기에 빠지면 자신만 옳고 다른 건 그르다는 태도를 취하기 쉽다. 그러한 태도는 상대를 죽여 없애려 하기 십상이다. 지금까지 그러한 태도로 인해 수많은 토종이 사라지지 않았는가. 우리는 또 다른 희생양을 찾는 일을 멈추고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토종 씨앗이 지닌 함의도 ‘다양성의 공존’에 있다. 


농사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진다. 요즘 식물공장이니 수경재배시설이니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면서 마치 사람이 모든 것을 인위적으로 통제해서 생산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지곤 한다. 물론 그렇게 하여 작물을 재배하면 그 기술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주장처럼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안전하고, 여러 요소들을 통제하여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수확할 수 있겠다. 그러나 거기에는 ‘관계들의 상호작용’이 빠져 있다. 그저 양분만 주입하고, 햇빛을 쪼이든 LED 광원으로 그를 대신하든지 하여 겉모습만 농산물을 생산할 뿐이다. 농사는 일종의 교향곡이다. 햇빛과 바람과 물을 바탕으로 하여 작물을 중심으로 흙과 그속의 다양한 미생물과 지렁이, 땅강아지, 두더지 같은 생물들이 얽히고설키며 연주를 한다. 농부는 그 교향곡의 지휘자이다. 목표를 설정하고 방향을 지시하며 서로의 관계를 조율하는 데 도움을 줄 뿐 그들의 역할을 대신할 수 없다. 한두 명의 결원은 보충할 수 있겠지만, 전체를 다 담당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유기농업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유기농업의 ‘유기(有機)’라는 단어는 생물체처럼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가지고 있음이란 뜻이다. 즉, 농업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작물에 이로운 상호작용을 하도록 농사짓는 것이 바로 유기농업인 것이다. 그런데 요즘은 유기농업이 그저 농약과 화학비료 같은 화학 농자재만 쓰지 않으면 되는 것인 양 호도되고 있다. 그래서 심지어 유기농가에서도 비료만 쓰지 않을 뿐 과다한 퇴비를 사용하여 땅을 망가뜨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유기농업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않고 화학 농자재만 쓰지 않으면 된다는 식으로 받아들이며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이다. 


유기농업에서는 참가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물론 작물에 해를 끼치는 요소는 달가운 존재들이 아니다. 당장 유기농업을 실천하여 농약을 치지 않으면 병충해가 늘어난다고 한다. 당연한 일이다. 깨어진 균형을 다시 이루기까지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 과정이 매우 어려워 중도에 포기하는 일이 많다. 공부도 많이 해야 하고,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그러니 일반적인 농사에 비해 할 일도 많고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농업생태계에 참여한 여러 요소들이 다양해지려면 논밭의 주연인 작물도 다양해져야 한다. 수만 평의 논밭에 똑같은 품종의 한 가지 작물만 재배되는 모습에 어떤 사람은 장관이라 여기며 카메라 셔터를 누르겠지만, 어찌 보면 끔찍한 일이기도 하다. 경관이 획일화된 논밭에는 병충해가 찾아오기도 쉽고, 그 작물이 요구하는 양분도 모두 같기에 땅이 혹사를 당하기도 쉽고, 그에 찾아오는 미생물이나 곤충도 다양하지 않을 수 있다. 말 그대로 획일성이 지배하는 경직된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우리가 흔히 저지르는 말 실수 가운데 ‘틀리다’는 표현이 있다. 요즘 사람들이 구사하는 언어를 보면 ‘다른 것’을 ‘틀린 것’이라 표현하는 걸 쉽게 볼 수 있다. 왜 다른 게 틀린 것이 되었을까 하는 건 나의 오래된 의문이었다. 나는 나름대로 우리 사회가 다른 것을 용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라 결론을 내렸다. 과거 모두가 하나 되어 경제발전을 이룩하자며 온 국민의 군인화가 이루어지고 일반 사회는 군대의 연장선이 되었다. 다른 의견을 내는 사람, 다양성을 강조하는 사람은 빨갱이로 몰려 처벌을 받거나 죽임을 당했다. 그러한 사회 분위기가 몇 십 년 동안 이어졌으니 우리가 다른 것을 틀린 것이라 받아들이기에 충분하지 않을까. 다른 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다른 것은 그저 다른 것일 뿐이다. 다른 것을 틀리다고 하면서 우리는 수많은 다양성들을 무시하고 짓밟아 왔다. 성소수자, 병역거부자, 장애인, 여성주의자 등등 이 사회의 기준에 조금이라도 어긋나는 사람들의 인권은 무시되고 짓밟혔다. 그 모습이 우리의 논밭에서도 똑같이 일어난 것이다. 수확량(경제성장)이 떨어지는 토종 씨앗(다양성)은 빨갱이로 내몰리며 논밭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물론 그것이 농민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것이 아니냐고 항변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농민들 역시 사회적 존재가 아닌가? 사회에서 요구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받아들였을 뿐이다. 심지어 신품종 통일벼를 보급하는 초창기에는 통일벼 이외의 다른 품종의 토종 벼로 못자리를 만들면 관련기관의 관리들이 나와 못자리를 밟아 망쳐 버리는 일도 흔했다고 한다. 


나는 이 책에서 토종이 최고라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최선이라고도 이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토종은 토종 나름대로 의미와 가치가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선택은 각자의 몫이다. 토종 씨앗이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으며, 어떠한 토종들이 있는지 이야기하겠다. 이를 통해 조금이라도 토종 씨앗에 대한 이해가 넓어져 토종 씨앗이 농업생태계에 비집고 한 자리에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러한 일이 농업은 물론, 우리 사회에 다양성이 확산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토종 씨앗 이야기로 넘어가도록 하자.



후기...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한번 구매해서 읽어보시겠습니까? 

종이책 http://www.yes24.com/24/Goods/41226260?Acode=101

전자책 http://www.yes24.com/24/Goods/58207791?Acode=101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앗들의 여행  (0) 2016.09.05
토종, 도대체 토종이 무엇인가  (0) 2016.09.05
유전자변형 작물의 폐해가 나타나고 있다  (0) 2016.08.23
GMO 표시제 논란  (0) 2016.07.07
토종 마늘의 변신  (0) 2016.06.24
728x90


오이 품종의 다양성을 보라. 세상에는 백오이도 있다! 

이건 물론 한국에도 있다. 흔하지 않아서 그렇지... 토종종자 수집을 다니면서 백오이를 보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난다.



이번에는 토마토 품종의 다양성을 감상하자. 너무나 아름답다.



강낭콩도 엄청나게 다양하다. 

강낭콩은 강남콩, 즉 중국의 강남 쪽에서 건너와 그런 이름으로 불리는 것 같다. 

콩만큼 꼬투리도 제각각이다. 세상에는 역시 똑같은 게 없는 것 같다.




이건 배추속 작물들. 배추, 양배추, 유채, 겨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고추 종류이다. 예전에 멕시코의 고추가 얼마나 다양한지 올린 적이 있는데 실물로도 볼 수 있어 좋다. 

그나저나 저걸 언제 다 심어서 먹어볼까나.



마지막으로 호박이다. 

예쁘죠? 호박 같은 내 얼굴은 예쁜 얼굴을 가리키는 겁니다. 

세상에 예쁘지 않은 건 없어요. 그걸 미웁게 바라보는 사람만 있을 뿐.


728x90
728x90


획일성에서 다양성으로.pdf



주요 이야기


오늘날의 먹을거리 체계와 농법은 세계 시장에 많은 양의 음식을 공급하는 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여러 악영향을 발생시킨 것도 사실이다. 토양과 물, 생태계의 질을 저하시키고,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생물다양성을 파괴하고, 비만과 먹을거리 관련 질환이 급속히 증가하는 것과 함께 기아 문제와 미량영양소의 결핍을 야기하고, 전 세계 농민들의 생계를 어렵게 만들었다.


. 이러한 문제의 대부분은 분명히 '공업형 농업'에 연결되어 있다. 현재 농업 경관을 지배하고 있는 투입재 집약적 작물의 대규모 단작과 공장식 축산이 그것이다. 이 체계의 중심에는 획일성이 있고, 그것의 화학비료, 농약, 예방을 위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의존은 체계적으로 부정적 결과와 취약성으로 이어진다.


. 공업형 농업과 그와 함께 발전한 '공업형 먹을거리 체계'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구조화된 먹을거리 체계는 자신의 정치경제적 권한을 강화하는 제한된 수의 행위자에게만 가치의 축적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먹을거리 체계의 관리에 영향력을 미친다.


. 수정하려는 실천은 공업형 농업의 일부 특정한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발생시키는 여러 문제의 장기적 해결책을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다.


. 장기적 비옥도와 건강한 농업생태계, 생계의 보장 등을 구축할 수 있는, 이른바 '다양화된 농생태학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체론적 전략의 일부로 화학 투입재를 대체하고, 생물다양성을 최대로 활용하며, 서로 다른 종 사이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다양성을 지향하는 농장과 농업 경관에 기초를 두는 근본적으로 다른 모델의 농업이 필요한 바이다.


. 이러한 체계가 땅속에 탄소를 유지하고, 생물다양성을 지원하며, 토양 비옥도를 재건하고, 수확량을 유지시키며, 농장의 생계를 보장하는 기초를 제공한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 이러한 체계가 전체 생산성의 측면에서 공업형 농업과 경쟁할 수 있다는, 특히 환경의 압박이 강하고, 먹을거리를 절실하게 추가해야 하는 곳에서 증가된 생산을 제공한다는 것을 자료가 입증한다. 또 다양화된 농생태학 체계는 는 식단을 다양하게 하고 건강을 개선시키는 길을 열 수도 있다.


. 변화는 이미 일어나고 있다. 공업형 먹을거리 체계는 새로운 협동과 지식 창조의 형태부터 기존 유통망을 우회하는 새로운 시장 관계의 발전까지 여러 측면에서 도전을 받고 있다.


. 정치적 인센티브는 이러한 대안들이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등장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 적당한 일련의 단계가 먹을거리 체계의 무게중심을 집합적으로 바꿀 수 있다.



목차


과제: 먹을거리 체계의 무게중심을 바꾸기...

체계적 변화의 필요성...

스펙트럼의 두 끝: 공업형 농업과 다양화된 농생태학 체계...


1절 공업형 농업과 다양화된 농생태학 체계의 결과는 무엇인가?...


  1.a. 특화된 공업형 농업의 결과...

  1.a.ⅰ 생산성의 결과...

  1.a.ⅱ 환경의 결과...

1.a.ⅲ 사회-경제의 결과...

1.a.ⅳ 영양과 건강의 결과


  1.b. 다양화된 농생태학 체계의 결과...

  1.b.ⅰ 생산성의 결과...

1.b.ⅱ 환경의 결과...

1.b.ⅲ 사회-경제의 결과...

1.b.ⅳ 영양과 건강의 결과...


  1.c. 특화된 공업형 농업과 다양화된 농생태학 체계의 결과에 대한 결론...


2절 공업형 농업이 가동되도록 유지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잠김 1: 경로 의존 법칙

  잠김 2: 수출 지향

  잠김 3: 값싼 먹을거리에 대한 기대

  잠김 4: 구분짓는 사고

  잠김 5: 단기적인 사고

  잠김 6: '세계를 먹여살린다'는 서사

  잠김 7: 판단 기준

  잠김 8: 권력 집중


3절 어떻게 다양화된 농생태학 체계에 유리하도록 균형을 옮길 수 있는가?

  기회 1: 다양화와 농생태학에 대한 정치적 인센티브

  기회 2: '먹을거리 정책'과의 연합을 구축하기

  기회 3: 경관 통합적 사고

  기회 4: 세계적 거버넌스 의제에 대한 농생태학

  기회 5: 통합적 먹을거리 체계의 과학과 교육

  기회 6: 피어투피어 행동 연구

  기회 7: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소싱

  기회 8: 짧은 유통망

 

  3.b 전환의 경로: 다양화된 농생태학 체계로 이동하기 위한 권장사항

  권장사항 1: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에 대한 새로운 지표들을 개발한다

  권장사항 2: 다양화된 농생태학 생산 체계로 대중의 지지를 이동시킨다

  권장사항 3: 짧은 유통망과 대안적 유통 기반을 지원한다

  권장사항 4: 지역의 농생태학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조달을 활용한다

  권장사항 5: 농생태학을 둘러싼 다양한 후원자를 통합하는 운동을 강화시킨다

  권장사항 6: 농생태학과 전체론적 먹을거리 체계가 주류 교육과 연구 의제에 가까워지도록 한다

  권장사항 7: 여러 수준에서 먹을거리 계획 프로세스와 먹을거리 정책과의 연합을 개발한다



획일성에서 다양성으로.pdf
6.02MB
728x90
728x90




2009년 5월, 싸이클론 아일라Aila가 인도 동부를 파괴했다. 시속 120km의 속도를 기록한 아일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망그로브 숲이 끊임없이 이어진  순다르반스Sundarbans를 강타했다. 이곳은 벵갈만의 강가Ganga-브라마푸트라Brahmaputra 삼각주에 위치해 있다.

그 태풍은 수백 명의 사람과 가축들을 죽이고, 수백만 채의 가옥을 부수고, 도로를 끊어 놓았다. 강풍과 높은 파도가 섬을 보호하는 진흙의 제방을 뛰어넘었다. 이로 인해 벵갈만의 바닷물이 넘쳐 마을들이 물에 잠기고, 음용수를 못 마시게 만들며, 약12만5천 헥타르의 농경지에 영향을 미쳤다.


서벵갈 Vrihi 종자은행의 설립자 Debal Deb 씨. 2009년의 태풍으로 농지가 바닷물에 잠긴 뒤 순다르반스에 염분 저항성 토종 벼라는 희망을 가져왔다. Photo by Jason Taylor.



태풍으로 인한 홍수가 가라앉자, 토양에 허연 소금의 선들이 나타났다. 예전에 재배하던 현대의 다수확 벼 품종은 염분이 있는 토양에서 재배할 수 없다. 벼농사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삼각주 거주민들에게 이는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재앙이 있고 한 달 뒤, 민간의 벼 종자은행 브리히Vrihi의 설립자이자 식물학자 Debal Deb 씨가 아일라에 피해를 입은 순다르반스의 세 마을을 방문했다.  그는 자신의 종자은행에서 토종 벼 네 품종 —Talmugur, Lal Getu, Sada Getu, Nona Khirish—을 가져왔다. 그 토종 벼들은 토양에 염분 농도가 높아도 견딜 수 있는 품종들이다. 

Deb 씨는 이 염분 저항성 품종들을 1997년 순다르반의 농민들에게서 수집했다. 그의 채종포에서 그는 세심한 선발육종을 통하여 두 가지 품종 —Lal Getu, Sada Getu— 의 염분 저항성 한계를 2배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 

그날 Deb 씨가 가져온 벼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토종 벼 품종은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한 것들이다. 그러나 현대의 다수확 벼 품종이 들어오면서 지역의 품종들은 쓸모없어지면서 대부분 사라졌다. 다행스럽게도 인도의 극소수 벼 보존가들이 그 가운데 일부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Deb 씨의 종자은행은 1000종 이상의 토종 벼를 보유하며, 2800평의 농장에서 재배하여 농민들에게 무료로 나누어주고 있다.  그가 다시 순다르반 지역에 가져온 것과 같은 이러한 품종의 일부는 염분 저항성이 있다. 다른 품종들은 가뭄이나 홍수에 더 잘 견딜 수 있기도 하다.

Deb 씨가 네 가지 염분 저항성 품종을 2009년 6월에 순다르반스 지역에 가져왔을 때, 단 한 품종만 여전히 그 지역 농민들이 재배하고 있었다. 나머지 세 품종은 그들의 기억 속에나 존재하던 것이었다.

처음에 농민들은 염분 저항성 품종을 의심했다. Deb 씨는 “그들은 정부에게 여러 종자를 받았지만, 그중 아무것도 아일라 이후 그들의 염분기 많은 토양에서 자라지 않았다. 내가 가져다 준 씨앗에서 싹이 트는 것을 보자 매우 행복해 했다.”

그해, Deb 씨는 11명의 희망자에게 네 가지 품종을 나누어주었다. 


염분 저항성 벼는 열대성 태풍 아일라로 인해 농지에 바닷물이 침투된 순다르반스 지역의 농민들을 돕는다. Photo courtesy of ENDEV.


이듬해 그는 ENDEV –A Society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라고 불리는 콜카타에 위치한 단체와 함께 돌아왔다. ENDEV의 대표 Asish Ghosh 씨는 다른 출처를 통해 더 많은 염분 저항성 종자를 수소문해서 구했다.2010년과 2011년에 ENDEV는 Deb 씨와 지역의 다섯 단체와 함께 협력하여 순다르반 지역의 농민들에게 이 종자들을 나누어주었다. 

“이러한 품종들은 재정적으로도 유리하다”고 Ghosh 씨는 설명한다. “그 종자들은 비료나 농약 같은 값비싼 투입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를 먹이고 지붕을 이을 더 좋은 품질의 볏짚을 생산한다.”

2013년, Deb 씨는 추가로 Matla와 Hamilton이란 두 가지 벼 품종을 다시 도입했다. 이는 서벵갈의 다른 식물학자에게서 받은 것이다. WWF-India의 보고서에 의하면, 이 품종들은 농민들이 어떤 제방도 없는 지역에서 재배했을 정도로 높은 염분 저항성을 갖는다. 

2014년 현재, 70명 이상의 순다르반스 지역의 농민들이 여섯 가지 염분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고 Deb 씨는 말한다. 

순다르반스에 있는 Jhupkhali 마을에 사는 52세의 농부 Radheshyam Das 씨는 비그하bigha라는 400평의 토지 단위로 측정했는데, 벼농사가 잘 되어 행복하다. “아일라 이후 다수확 벼 품종의 수확량은 1비그하에 2가마로 떨어졌다”고 그는 말한다.  “지난해, 염분 저항성 품종으로 1비그하에 7가마의 수확을 올렸다.”

순다르반스에 있는 Mousuni 섬의 또 다른 마을에 사는  농부 Sindhupada Middya 씨는 염분 저항성 품종과 현대의 품종으로 실험을 했다. 그가 그 품종들을 재배한 논은 제방 근처에 있어 만조일 때 자주 바닷물이 넘어오곤 한다. 염분 저항성 품종이 300평 미만의 농지에서 240kg을 수확한 데 반하여, 다수확 품종은 전혀 수확이 없었다.


순다르반스의 농민들은 토종 염분 저항성 벼를 칭송하는 노래를 부르고 있다. 이 토종 벼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그들의 탄력성을 증대시켰다.  Photo courtesy of ENDEV.



그의 성공에 섬의 다른 40명의 농민들이 고무되어 이 염분 저항성 품종을 채택했다. WWF-India팀의 일원인 Soma Saha 씨에 의하면, 기후변화 적응전략의 일환으로 이러한 벼 품종들을 다시 도입하고 있다고 한다.

순다르반스의 다른 지역의 농민단체는 토종 씨앗을 칭송하는 노래를 지었다. 노랫말에서는 그 씨앗의 탄력성고 그것이 그들에게 가져다 준 행복과 왜 그 씨앗을 활용해야하는지에 관해 이야기한다. 

앞으로 기후는 온난해지고, 해수면은 상승하며, 강우 패턴은 변화하고, 아일라 같은 태풍은 점점 빈번해짐에 따라 순다르반스의 섬들은 침식되고 가라앉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바닷물이 밀려들어와 현대의 벼 품종들은 계속해서 농경지에 부적합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Ghosh 씨는 과학과 전통지식을 결합함으로써 농민들이 자신과 지역공동체를 위해 먹을거리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한다.

“우리가 이런 품종들을 개발하지 않았습니다”라고 Ghosh 씨는 말한다.  “오랜 옛날부터 농민들이 했습니다. 우리 가운데 일부는 단순히 그들의 오랜 전통지식과 씨앗이 있는 곳을 재발견하여 농민들이 그걸 다시 활용하도록 동기를 부여했을 뿐입니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우리의 먹을거리를 지배하는가  (0) 2016.06.02
우리가 흔히 먹는 유전자변형 식품들  (0) 2016.06.01
토종의 중요성  (0) 2016.04.11
지역사회 종자은행  (0) 2016.04.11
토종 종자가 중요한가?   (0) 2016.04.04
728x90

Family farmers play a crucial role in managing biodiversity. How can this relationship be strengthened in a context where both are being marginalised? Farmers and other experts from four countries share their views and experiences. In April 2014, the AgriCultures Network is publishing six magazines on agrobiodiversity, see www.agriculturesnetwork.org/magazines






728x90
728x90

작물의 야생종이 중요한 까닭은?

역시나 유전적 다양성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의 농업은 산업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지나치게 획일화, 단일화되고 있다. 

그로 인해 혹시라도 발생할 사태가 우려스럽다.

 
그래서 토종이라도 열심히 보전하고 퍼뜨려야 하지 않을까 한다.

---------


Nora Castañeda is a PhD student in Biosciences and is part of the Crop Wild Relatives team of CIAT. In this ‘coffee with’ she explains what this team is about, the projects they are working on and their collaboration with other themes within and outside of CIAT.

“Crop Wild Relatives (CWR) are like the ‘ugly cousins’ of the crops as we know them, with differentiating traits useful for agriculture”. These relatives live in or near disturbed agricultural areas, usually not depending on human intervention to ensure their survival. Understanding CWR is important for agriculture as these species can have some characteristics that might be useful for improving the crops that we depend upon, especially now that agriculture is facing challenging conditions such as climate change and reduced availability of inputs as water and fertilizers.

Arachis duranensis. Peanut ancestor. CENARGEN, Brazil. Photo by: NP Castañeda

When humans once started the process of plant domestication, genetic diversity of the resulting cultivated species was narrowed as a consequence. However there are many other species that our ancestors didn’t pick. These other species contain genes that have allowed them to grow under harsher climates, including drought prone regions, soils with high contents of salts or aluminum and extreme temperature variations.

Plant breeders require sources of pest and disease resistance, tolerance to heat and drought, among other abiotic stresses, as well as higher contents of micronutrients and quality related traits.  Some of these traits can be found hidden within old and modern varieties of these crops, as well as within the wild relatives of crops (CWR), as long as this material is conserved and available in plant genebanks.

This conservation is of main importance and it is therefore that “the main objective of the work we do is to target the wild relatives needing urgent ex situ conservation, collect them and prepare them for their use in breeding” (for more info, click here). This way, the closest wild relatives of important crop species will be safeguarded, ensuring that important characteristics are conserved and can be used in adapting agriculture to climate change.

“From CIAT-DAPA we intend to give information on the priorities of which species to safeguard and the sites where to collect this plant material”. Through the ‘Adapting Agriculture to Climate Change: Collecting, Protecting and Preparing Crop Wild Relatives’ (CWR Project), about 1000 CWR species were assessed, identifying priorities for collection and regions where each of them are naturally distributed. “One of the main tools developed over the past three years is aCrop Wild Relative Global Atlas”. This Atla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xplore distributions and conservation concerns in geographic regions, crop gene pools, or particular CWR species of interest.

Using maps of the species found as priorities, Kew’s Millennium Seed Bank Partnership is preparing Seed Collecting Guides to provide collectors in the field with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bout these wild plants, so that they are able to find them and collect their seeds: the collecting guide contains a description of what the target plants look like, when they are going to have ripe seeds, where they are found, and also has some photos to help identification.

Solanum commersonni (a wild relative of potato)

Photocredit: Ariana Digilio (INTA, Balcarce)

Although the information we have gathered is massive, there will always be some gaps and some areas in which more research and action would be necessary. “We research about 80 crops. The majority of these crops are for food security, but there is also another group: the group of crops that generate income, such as coffee and tea. It would be great to receive more information on that group. Also, right now we only work with one type of forage, but it would be interesting to include more crops from tropic forages, to be able to include this information and highlight the need to conserve these seeds also gene banks“.

CWR is a pretty cross-cutting theme. “Centers and teams we work with are: The International Potato Center (CIP) (we are refining our analysis with additional data provided by them, preparing publications out of the analysis made and they are using this information to set priorities for collections);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we are using our results and merging it with genetic information for the sunflowers), the Centre for Genetic Resources in the Netherlands (for the lettuce) and the Natural History Museum (for the eggplant and tomato).

Within CIAT we work closely with Julian Ramirez, who first designed the gap analysis methodology. We also collaborate with the team of Terra-I: it is interesting and necessary to see how the changes in vegetation detected by Terra-I, affect the populations of some of the wild relatives in the region. The same goes for the team of climate change. Crop wild relatives give us the flexibility of mashing-up with other topics and finding other interactions with other specialized knowledge”.

More efforts are need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erving CWR in target groups as conservationists, policymakers and the general public. They are a perfect example of elements from biodiversity with real and potential uses.

Crop Wild Relatives is a research team within the Decision and Policy Analysis group of CIAT. This group is made up of: Nora Castañeda, Colin Khoury, Harold Achicanoy, Chrystian Sosa and Alex Castañeda

For pictures look at this Flickr Album

Further Reading:

http://www.nature.com/news/weeds-warrant-urgent-conservation-1.13422?WT.ec_id=NEWS-20130723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99/n7456/full/499023a.html?WT.ec_id=NATURE-20130704

http://www.scidev.net/global/food-security/feature/could-crop-ancestors-feed-the-world-.html

http://dapa.ciat.cgiar.org/how-much-are-crop-wild-relatives-worth/

http://dapa.ciat.cgiar.org/collecting-crop-wild-relatives-lessons-from-the-field/

http://dapa.ciat.cgiar.org/filling-the-gaps-seed-collecting-for-the-future/


728x90
728x90


These Madagascar bananas could be next.




During harvest last year, banana farmers in Jordan and Mozambique made a chilling discoveryTheir plants were no longer bearing the soft, creamy fruits they’d been growing for decadesWhen they cut open the roots of their banana plants, they saw something that looked like this:



A banana plant ravaged by Tropical Race 4.



Scientists first discovered the fungus that is turning banana plants into this rotting, fibrous mass in Southeast Asia in the 1990s. Since then the pathogen, known as the Tropical Race 4 strain of Panama disease, has slowly but steadily ravaged export crops throughout Asia. The fact that this vicious soil-borne fungus has now made the leap to Mozambique and Jordan is frightening. One reason is that it’s getting closer to Latin America, where at least 70% of the world’s $8.9-billion-a-year worth of exported bananas is grown. 


Randy Ploetz, professor of plant pathology at University of Florida who discovered Tropical Race 4, says it may already be in Latin America. “The story on the Mozambique situation was that workers brought over to establish the plantations—some of them were from Latin America,” he says. “And this is an insidious disease in that it can move… by soil-contaminated machinery, tools—that kind of thing.” 


Chiquita, the $548-million fruit giant with the world’s largest banana market share, is downplaying the risk. “It’s certainly not an immediate threat to banana production in Latin America [where Chiquita's crops are],” Ed Lloyd, spokesman for Chiquita, told the Charlotte Business Journal in late December, explaining that the company is using a “risk-mitigation program” to approach the potential spread. 


Even if it takes longer to arrive, the broader ravaging of the commercial banana appears inevitable. And we don’t need to imagine what that would mean for banana exports—the exact scenario has already happened. Starting in 1903, Race 1, an earlier variant of today’s pathogen, ravaged the export plantations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Within 50 years, Race 1 drove the world’s only export banana species, the Gros Michel, to virtual extinction. That’s why 99% of the bananas eaten in the developed world today are a cultivar called the Cavendish, the only export-suitable banana that could take on Race 1 and live to tell. 


Over the half-century it took to wipe out the Gros Michel, Race 1 caused at least$2.3 billion in damage (around $18.2 billion in today’s terms.) And that was in the commercial heart of global banana production. Tropical Race 4, by comparison, has damaged $400 million in banana crops in the Philippines alone. 


But the bigger difference now is that, compared its 20th-century cousin, Tropical Race 4 is a pure killing machine—and not just for Cavendishes. Scores of other species that are immune to Race 1 have no defenses against the new pathogen. In fact, Tropical Race 4 is capable of killing at least 80%—though possibly as much as 85%—of the 145 million tonnes (160 million tons) of bananas and plantains produced each year, says Ploetz.






And at $8.9 billion, bananas grown for export are only a fraction of the $44.1 billion in annual banana and plantain production—in fact, bananas are the fourth-most valuable global crop after rice, wheat, and milk. Where are the rest of those bananas sold? Nearly nine-tenths of the world’s bananas are eaten in poor countries, where at least 400 million people rely on them for 15-27% of their daily caloriesAnd that’s the really scary part. Since the first Panama disease outbreak, bananas have evolved from snacks into vital sustenanceAnd this time there’s no back-up banana variety to feed the world with instead.

+++++


Tropical Race 4′s global reach. Note that while Race 1 is in many more places, far fewer banana varieties are susceptible.Banana Research




Meet the Cavendish: the world’s multi-billion-dollar banana


Quick—think of a banana. Chances are good that, you’re imagining something closer to what’s on the right, and not the left:



On the left, Musa velutina, on the right the Cavendish.Left image by Flickr user Wendy Cutler; right image by 24oranges.nl.















That iconic yellow one is a CavendishAmericans love it so much that they buy more bananas than apples and oranges combinedIt might be the most famous, but Cavendishes make up less than half of the bananas grown around the world. The fuzzy, stubby pink bunch on the left—a Musa velutina—is an example of the incredibly diverse range of banana species that grow around the world.


Native to Assam, India, Musa velutinas are much softer and sweeter than Cavendishes. So why don’t we see Musa velutinas—or other species—in developed world supermarkets? Quality control is one; since they reproduce, the Musa velutinas vary in size and shapePlus, the pink fruit’s hard seeds can nick a fillingAnd they’re not as “productive” as Cavendishes—meaning, they produce less volume of fruit per plantCavendishes also take a long time to ripen and have tough exteriors, which allow them to travel far without going bad or getting banged up along the way.


These Philippines bananas don’t look much like the Cavendish.




In the same way that the Cavendish gets all the fame, brand names like Chiquita and Dole dominate the popular conception of the banana marketBut exports make up only 15% of global output; the rest is consumed by banana-producing nations or sold unofficially in regional marketsIn fact, the top two banana and plantain producers—India and China—don’t export at all, though they produce a combined 35% of the global yield.


The developed world prizes bananas as a food of convenience—it’s cheap, portable and reasonably healthyIn poor countries, however, bananas are often a basic source of nourishment for at least 400 million peopleThe average person in Uganda, Gabon, Ghana and Rwanda relies on bananas and plantains for more than 300 calories each day—around 16% of the UN’s nourishment threshold (and bear in mind that around 20% of the 74 million people living in those four countries are undernourished). Roughly 70% of all bananas consumed locally are vulnerable to Tropical Race 4.


And while millions of farmers feed their families with home-grown bananas, many millions more use income from growing them to buy other crops.Bananas are the most important export commodity for Ecuador, Panama, Costa Rica, and BelizeThey’re in the top three in Colombia, the Philippines, Guatemala, Honduras, and CameroonThat’s a lot of the developing-world economy reliant on a very vulnerable crop. “This disease is a problem, not only because of its potential impact on the price and availability of our favorite fruit, but also because it’s a life-changing event for the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who rely on bananas as a staple food and incomes,” Alice Churchill, a scientist studying plant biology at Cornell University, told the Cornell Sun, “Those affected by [Panama disease] lose both their livelihoods and an important source of nutrition.”




The deadliest disease the banana world’s ever seen


Panama disease is so virulent that some call it the “HIV of banana plantations” (paywall). Here’s why it’s so lethal:

+

  • It strikes from inside the plant. The yellowing leaves are often the first thing farmers notice. That happens because Tropical Race 4 creeps into a banana plant’s roots, spreading up its vascular system and strangling the supply of water and nutrients. As the banana plant’s leaves wilt, it becomes harder and harder to conduct photosynthesis, leaving its fruits stunted. Eventually the plant simply dies.
  • Nothing can kill it. There are other big, bad banana-killers out there. Some, like Black Sigatoka and burrowing nematode worms, sound as nasty as they are (some, like a nefarious Asian virus called Bunchy Top, don’t.) But spray all of those with enough chemicals and they back off. Not so with Panama disease. once a plantation has it, nothing gets rid of it.
  • It’s stealthy. The thing clings to shoes, equipment, luggage, or whatever else touches contaminated dirt, making it incredibly contagious. All it takes is one clump of soil to spread Tropical Race 4.
  • It plays a long game. Dead plants leave behind spores, allowing the fungus to lie dormant in the ground for decades in wait for new crops to blight.
  • It’s confusing. The one proven prophylactic is rigorous quarantine, which Australia has implemented to good effect. A big worry with Latin America at the moment is that, because Tropical Race 4 causes symptoms that look like the old kinds of Panama disease—Race 1 and 2, which are still present in Latin America—farmers might not realize their crops are infected until it’s too late to quarantine, says University of Florida’s Ploetz.
  • And Tropical Race 4 is way deadlier than Race 1. When Race 1 wiped out the Gros Michel, the volume of other banana species also susceptible was small. How things have changed. As much as 85% of global banana output is vulnerable to Tropical Race 4.




Tropical Race 4′s route to domination."Fusarium Wilt of Bananas (Panama Disease),"













Before the Cavendish, there was Big Mike


The knitting of our fate with that of Tropical Race 4 began more than a century ago, with a banana far tastier than any most Quartz readers have ever had. While its famously creamy flavor made the Gros Michel—or “Big Mike”—a big hit around the Caribbean among small-time farmers, its tough, thick skin and its high yield are what landed this cultivar in cereal bowls and lunch bags far beyond the tropics.

Like all domesticated bananas, the vast majority of Gros Michel didn’t carry seedsSo how did they reproduce? You simply would cut off a chunk of a banana tree, plant it, and wait for your banana tree to sproutIn other words, the bananas eaten commercially are all clones.


Those qualities also gave rise of the industrialization of banana-growing, as they allowed scrappy American entrepreneurs to construct banana empires throughout Latin American rainforests, often building railroads to ports in exchange for long-term land rightsThese banana barons pioneered the industrial agriculture model familiar today, maximizing land, minimizing labor, and vertically integrating in order to send their product far and wide.


The docks of the United Fruit company in Honduras, 1954.





That let them sell Big Mikes for cheap—an important development given that in 1899, the fruit was still found mainly in posh hotels, where it often was accompanied with instructions on how to peel itThat next year, Americans ate around 15 million bunches of bananasWithin a decade that had surged to 40 million, making them more popular than apples and oranges, as Dan Koeppel documents in his book, Banana: The Fate of the Fruit That Changed the World.At a time when apples and oranges were prohibitively expensive to most Americans, the banana was marketed for mass consumptionUnited Fruit successfully styled it as the fruit of the common man, its popularity reflected in the slapstick ubiquity of slipping on banana peels found in the films of Buster Keaton, Charlie Chaplin, and other comedians, as Koeppel points out.





From there, United Fruit ramped up marketing to further the banana’s American conquest, hiring doctors to endorse mashed bananas as baby food and setting up a “home economics department” to get images of bananas in front of housewives and in textbooksAfter its test kitchens struck upon the idea of the banana as the perfect breakfast on the go, the company began offering coupons on cereal boxes, linking bananas and breakfast cereal for the first time, writes Koeppel.



United Fruit marketing from the 1950s ingeniously targeted housewives and children. The image on the left appeared in Ladies Home Journal.Flickr user jbcurio on the left; Flickr user Phil Beard on the right (images have been cropped)



To ramp up production while preserving its margins, United Fruit began burnishing its famously bloody reputation for union-busting(A 1928 crackdown on striking United Fruit workers in Colombia inspired the massacre in Gabriel García Márquez’s novel,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crop meant that the troops of both Latin American dictatorships—the namesake of “banana republics”—and the US government often enforced United Fruit’s will on unruly workers.




The twilight of the Gros Michel


However, in 1903, United Fruit encountered an enemy that all the military interventions in the world couldn’t stop. It first showed up in Panama—a blight that wilted leaves and infected fruits until the entire plant toppled over and died, usually before it could bear any fruit. once it appeared, it laid waste to a region’s plantations, usually at a gradual pace, but sometimes with devastating speed. It needed only five years to wipe out all of Suriname’s banana plantations.


As you undoubtedly guessed, the pestilence in question is none other than Panama disease, Race 1. As whole plantations failed, United Fruit and others made the obvious choice: they picked up and moved somewhere else in Latin America.

But the blight followed. After it wiped out plantations in Costa Rica, Panama disease followed United Fruit to Guatemala. And then to Nicaragua, then Colombia and then Ecuador. By 1960, 77 years after it had appeared, Panama disease had wiped the Gros Michel out of every export plantation on the face of the planet.
+



Why was Panama disease unstoppable?


In the Gros Michel’s rise and fall, the banana industry struggled with the paradox that plagues all industrial agriculture crops. Natural reproduction is bad for short-term profits. The way to grow a consistent product at yields that achieve economies of scale is to stamp out the risks of diversity and imperfection that happens when genes reshuffle. To boost profit, you then grow that crop to the exclusion of less valuable species.


This is what’s called a “monoculture” or “monocrop,” the cultivation of a single plant species, usually on a massive, standardized scale. These things come at a cost, though. Just as their genetic similarity makes for cheap, large-scale production, it also prevents monocrops from adapting to attack from pests or disease. (Other disastrous consequences of monocrops include that farmers soak their crops in ever-increasing amounts of harmful chemicals and that this scale of growing is incredibly taxing on the environment.)
+



An eviction of Irish farmers during the potato famine of 1847-1850.




Another notorious monoculture disaster: the Irish Potato Famine


No episode in history illustrates this cost more nightmarishly than the Irish potato blight, “the biggest experiment in monoculture ever attempted and surely the most convincing proof of its folly,” as journalist Michael Pollan called it in his book Botany of Desire.

Introduced to Ireland two centuries earlier, the potato had by the early 1800s become a staple crop for farmers, a principal source of food for the poor and a major fodder crop for livestock. The vast majority of Irish farmers were planting a single potato species, the Irish Lumper, to the exclusion of other potato types. When a Mexican fungus-like microorganism hit Ireland, it encountered virtually no natural resistance, destroying around three-quarters of Ireland’s 1846 potato harvest. The blight eventually wiped out one million people between 1845 and 1852. As much as one-quarter of Ireland’s population either fled or died.

pollan makes an unnerving point about this tragedy. Many of the one million who died “probably owed their existence to the potato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Ireland’s large-scale potato monoculture supported a bigger population than growing a more diverse range of crops would have; when that extra food disappeared, so did they.

+


Bananas for sale in Cuba.





So why was there no Latin American Banana Famine?

Panama disease’s scorched earth campaign was briefly terrible for United Fruit and for many Latin American economies. It was frustrating enough for US consumers to have inspired the song “Yes, We Have No Bananas.” But a tropical reprise of the Irish potato famine it wasn’t.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a big one is simply that Lumper potatoes were an Irish staple; poor banana farmers in Latin America largely didn’t eat Gros Michel bananas—they were an export good, a nice-to-have snack in wealthy countriesWhen it came to feeding themselves, farmer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ad plenty of alternative bananas—species too thin-skinned to be exported or too weird-looking for Westerners to buySince Panama disease—remember, this is Race 1 we’re talking about—killed only the Gros Michel and a couple other types of bananas, plantains, as the type of banana commonly consumed in Latin America and Africa are known, were unscathed.

Plus, there was a huge yellow life raft in the form of the Race 1-resistant Cavendish, which Standard Fruit started rolling out in 1947. The rest of Big Banana eventually followed suit, ramping up plantations to produce more sterile Cavendish clones than ever. Soon it wasn’t just the multinationals; because Cavendish plants are so productive, farmers growing subsistence crops for local consumption took to growing them as well. Now around 60% of the 40 million tonnes of Cavendishes grown each year is eaten locally, not exported.


t might have tasted blander, but the Cavendish is way more productive than the Gros Michel."The Role of Demand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Banana Market," Marcelo Bucheli





How did Tropical Race 4 get to be so much deadlier than Race 1?


While United Fruit and Standard Fruit—which soon morphed into Chiquita and Dole, respectively—and other banana giants built booming businesses around Cavendish clones, Panama disease was busy too. The banana industry then did the fungus a huge favor: In the 1980s it launched huge Cavendish plantations in Malaysia, one of the ancient cradles of banana civilization. That’s where University of Florida’s Ploetz thinks Panama disease originally came from.

Even though it’s famed as the scourge of Latin America, the fungus is actually the natural foe of Malaysian wild bananasThat’s why moving banana production to Asia was such a bad move; wherever you find the most highly adapted wild bananas, you’re likely to find the most highly adapted diseases. For many millennia, an evolutionary bloodsport between Panama disease and wild bananas has raged on in Malaysian jungles. While the fungus made sure wild bananas passed on only the best genes for survival, wild bananas kept the fungus primed for lethal combatWhen the fungus was brought to Latin America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Gros Michel never stood a chance. This, after all, was a fungus born to kill the most evolved banana species out thereWiping out a sterile mutant with no natural resistance was a cakewalk.

The Cavendish was clearly made of tougher stuffBut that helped it only against Race 1, the strain of Panama disease that had been transplanted to Latin America more than a century agoIn the intervening years, the pathogen that stayed in Malaysia kept adapting and out-adapting Malaysian wild bananas.And that’s why Tropical Race 4 is so much more lethal: It’s a fungus with 100 extra years of banana-killing evolution under its belt.

Big Banana’s global conquest didn’t create Tropical Race 4. But it did help “select” it, says PloetzBy building its business on a monoculture, the big exporters made their species sitting ducks for constantly adapting strains of Panama disease. And by moving banana production around the globe, far beyond the species’ natural habitats, companies ensured that species became host for a vicious disease against which the vast majority of cultivated bananas had no defensesThe good news, relatively speaking, was that in the last 20 years it’s been confined to Asia and AustraliaBut its sudden appearance in Mozambique and Jordan last year puts it closer to devastating global banana and plantain production—in a way the world has never before seen.



A fruit market in Lahore.





Tropical Race 4 and a global banana famine


All this might seem alarmist, particularly given how slowly Panama disease typically spreads. Big Banana, for one, would agree with that. “This is something that this industry has dealt with for decades,” said Chiquita’s Ed Lloyd. “It’s not a ‘sky is falling’ sort of situation.”

To some extent, University of Florida’s Ploetz agrees. “Bananas aren’t going to go extinct—they’re not going to disappear,” he says. “What [Dole and Chiquita] have in their favor is that it’s not going to move through their plantation like wildfire… But the problem is its cryptic nature: once you have it you don’t know how widespread it is.”

The picture’s much different when you look beyond exported bananas






And while Chiquita and other big banana multinationals shrug off its threat to Latin America, it doesn’t sound like they’re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ies that Ploetz flags, such as the Latin American farmers setting up plantations in the affected Mozambique areaDid they scrub their shoes well enough? Time will tell.


Though the banana panic won’t hit tomorrow, the nature of Tropical Race 4 and the fact that scientists haven’t yet found a viable back-up banana to sub in for the Cavendish means an eventual production collapse is inevitable.


What might that look like? In the crude terms that Pollan invoked with the Irish potato famine, the population that owes much of its survival to cheap, productive banana plants is the one that will shoulder the impact when those plants dieIf the same huge numbers of the banana-eating global population are going to stay fed, the only viable solution at the moment may be genetic modificationOn that front, there are promising signs, though still nothing to take to the bankWhile some find the genetically modified alternative objectionable, it’s hard to argue against modifying an already pretty heavily genetically tweaked fruit given the scale of malnourishment or perhaps even starvation, if that’s what it comes down to.


But the GMO lightning rod distracts from the larger cautionary tale: Our reliance on monoculture to feed surging global populations is catching up with usInternational agricultural organizations are already scrambling to find new scourge-resistant substitutes for things like rice and potatoesIn fact, so dire are other global agricultural problems that Tropical Race 4′s onslaught doesn’t even get bananas near the top of priority list. “Getting support to develop new resistant bananas is really tough—there are already so many demands on the international agricultural community,” says Ploetz“There’s a lot of hunger in the world and bananas just have to get in line behind all those other big problems.”



http://qz.com/164029/tropical-race-4-global-banana-industry-is-killing-the-worlds-favorite-fruit/#/h/50988,1,2,3/

728x90
728x90

Central Asia's fruit tree species are invaluable storehouses of genetic diversity with the potential to secure the future of global crops.




This story is part of National Geographic's special eight-month Future of Food series.

An epiphany came to Adrian Newton in the form of an afternoon tea. In 2009, the British forest conservation ecologist was surveying threatened fruit trees in the forests of the western Tien Shan mountains, in the Central Asian Republic of Kyrgyzstan, when local residents invited him into their tapestry-bedecked home in the heart of the woods to share a ceremonial meal.

"They sit you down and make you this lovely cup of tea, and then you're served a whole range of different jams and preserves, and all of these are local. They're all made from the forest and [are] absolutely delicious," says Newton, a professor at Bournemouth University in the United Kingdom. "That's when it really hit home to me what a fantastic cultural value these forests are. You do feel in a small way that you are in a land of plenty." (Related: "Beyond Delicious.")

The ancient woodlands of Kyrgyzstan—and of the four neighboring former Soviet republics of Kazakhstan, Tajikistan, Turkmenistan, and Uzbekistan—are home to more than 300 wild fruit and nut trees. They include walnut trees, eight to ten species of cherry, up to ten species of almond, four or five plum tree species, and four wild species of apple, according to a 2009 report co-authored by Newton, The Red List of Trees of Central Asia.

According to that same report, 44 species of trees and shrubs in the region are "critically endangered, endangered, or vulnerable." They've been menaced for decades by overgrazing, pests, diseases, timber—felling for fuel, and most recently, climate change.

One of these threatened species, Malus sieversii—a wild apple that Newton describes as "small but highly colored with a very nice sweet flavor"—is one of the key ancestors of all cultivated apples grown and eaten around the world. So rich and unique is this species, Newton says, that on one wild apple tree, "you can see more variation in apple form than you see in the entire cultivated apple crop in Britain. You can get variation in fruit size, shape, color, flavor, even within the tree, and certainly from tree to tree."

Several thousand years of selective breeding have mined that diversity to give us the varieties we know today, from the Golden Delicious to Cox's Orange Pippin to the improbably named Winter Banana. Just 10 of the 3,000 known varieties account for more than 70 percent of the world's production.

But in the process many traits that might still be valuable—genes for disease resistance, say, or heat tolerance—were left behind. For breeders of apples and other fruits today, tapping the riches of the original Garden has become a practical strategy—and saving it from destruction, Newton says, an urgent necessity.



Malus sieversii has been identified as the wild ancestor of domestic apples.




Apple Knowledge

The Latin noun malus can mean either "apple" or "evil," which is probably why the "tree of knowledge of good and evil" in the Garden of Eden is often depicted as an apple tree, even though the biblical book of Genesis does not say what sort of fruit tree it is.

In 2010, a research team led by Riccardo Velasco of the Edmund Mach Foundation in Trento, Italy, took knowledge of apples themselves to a new level: They sequenced the complete genome of the domesticated apple Malus domestica. It has the highest number of genes—57,000—of any plant genome studied so far, and about 36,000 more genes than humans have.

Velasco's team also identified M. sieversii as the wild ancestor of domestic apples, reporting that it was domesticated in Central Asia some 3,000 to 4,000 years ago. But it turns out not to be the only grandma of the Granny Smith.

A 2012 study led by Amandine Cornille, now an ecologist at Uppsala University in Sweden, showed that the domesticated apple acquired genes from other wild varieties as it spread west along the Silk Road. Traveling traders, Cornille explains, unwittingly dispersed cultivated apples by consuming them and excreting their seeds en route, as did their camels and horses.

Cornille and her colleagues in France, Armenia, China, and Russia sampled and sequenced rapidly evolving DNA regions from wild apple species in Siberia and the Caucasus, as well as from Malus sieversiiand Malus sylvestris, the wild European crab apple. Some of these wild apple trees, they note, bear "small, astringent, tart fruits," yet had more valuable traits as well, including pest and disease resistance or longer storage capacity. The genetic analysis showed evidence of frequent hybridization of domestic apples with wild species. Many of those crossings were probably done deliberately by farmers.

The wild crab apple in particular was a "major secondary contributor" of genes to the modern domesticated apple, according to Cornille, beginning about 1,500 years ago. In fact, the domesticated apple is now more closely related to M. sylvestris than to its original ancestor in the Tien Shan mountains.



According to tree experts from Fauna & Flora International, around 90 percent of the fruit and nut forests of Central Asia have been destroyed in the past fifty years.




Cultivating Diversity

Modern breeders at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at Cornell University in Ithaca, New York, are using both traditional grafting techniques and genetic engineering to continue the work begun by farmers along the Silk Road, melding wild apple genes into domesticated varieties.

In the 1990s, horticulturalist Phil Forsline of the USDA'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and Herb Aldwinckle, a plant pathologist from Cornell, trekked to the forests of Kazakhstan, Kyrgyzstan, Russia, and China on multiple trips to collect seeds and grafts of M. sieversii. According to Thomas Chao, the apples, grapes, and tart cherries curator at USDA/ARS in Geneva, New York, the pair collected 130,000 seeds ofM. sieversii. More than 1,300 M. sieversii seedlings have since been grown in Geneva orchards and screened for disease resistance, drought, cold tolerance, and other traits.

The goal, says USDA plant physiologist Gayle Volk, is to "capture and conserve" the diversity not just of wild apple species in China and Central Asia but also of native species in the U.S. Volk, who describes herself as "very passionate about apples" is based at the ARS National Center for Genetic Resources Preservation in Fort Collins, Colorado, which houses what she describes as a "monstrous vault" storing hundreds of thousands of seeds of many different species. one of Volk's projects is sequencing and fingerprinting the DNA of wild apples to identify genes that may code for disease resistance, crunchiness, or flavor.

"Commercial crops are limited to about 15 different kinds of apples; these are what everyone knows and grows," she says. Yet commercial varieties are under threat not just from the "classic biggies"—fire blight, apple scab, leaf spot—but also from climate change. Apple growers across the U.S. have suffered crop losses in the past few years because of increasingly frequent warm spells in February that wake the trees from winter dormancy.

"The trees flower in March and lo and behold, another snow comes along, and they get clobbered by the snow, and they lose a lot of blossoms and a lot of fruit set, because the climate is not ready to accept baby apples yet," Volk says. one possible solution, she adds, would be to introduce genes from apples adapted to warmer climes, such as the Southeast Asian apple Malus doumeri, or ideally from species that remain dormant during brief warm spells.

Conserving both wild populations and their descendants is "absolutely crucial," adds horticulturalist Susan Brown of Cornell University, who is mining young M. sieversii trees in the Geneva orchards for genes promoting apple scab resistance and nutritional compounds. The Geneva collection, she says, is a "Noah's ark of apples" ferrying potentially valuable mutations or genetic variants into the future.




A bowl of fruit and nuts collected from the forests of Kyrgyzstan.





Protecting the Garden

Adrian Newton and his colleagues have spent the past eight years traveling back and forth to Kyrgyzstan to work with forest ecologists at Kyrgyz National Agrarian University in the capital, Bishkek, to better protect the fruit and nut forests. The challenges are considerable.

An uprising roiled the country in 2010, leading to the overthrow of then President Kurmanbek Bakiyev.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ended coal subsidies and deliveries, leading to greater dependence on fuel-wood harvested from the forests. Rural residents often lease forest plots from the government, grazing cattle, horses, sheep, and goats in the woodlands.

Some fruit species, including wild apricot, are imperiled by overcollection of seeds by national and international plant-breeding companies. Pretty flowers can also become a liability: The pink blooms of one endangered species of wild almond from Kazakhstan, for example, are "particularly in demand for International Women's Day," according to Newton's report.

Some of the most recent news has been bright, however. In a recently completed field survey in Kyrgyzstan, Newton and Bournemouth colleague Elena Cantarello discovered that seedlings, saplings, and adult trees of M. sieversii, the ancestral apple, were "not as threatened as was originally thought," says Newton, but "still very restricted in extent."

And in one just-published model of species diversity in the Sary-Chelek Biosphere Reserve in the Tien Shan mountains of Kyrgyzstan, Newton and his colleagues found that moderate livestock grazing—not overgrazing—may be beneficial to walnut trees, as it opens sunlit spots for the shade—intolerant trees and patches of bare ground on which new tree seedlings can establish themselves.

Local conservation programs are helping, according to Liesje Birchenough, Eurasia program manager at Fauna and Flora International. FFI, based in Cambridge, U.K., has worked for the past six years with the forest services of both Kyrgyzstan and Tajikistan to protect the forests. The organization has funded nurseries that are cultivating pear and apple species for reforestation, paying for fencing, irrigation, and seeds. It also organizes surveys of rare trees and supports school programs in which teachers take children to the forests to collect seeds and then plant them.

"All of the apples that we're eating today and cultivating originate from this area," Newton says. "So if we want to add genetic variation to our crops to cope with new pests or climate change, then the genetic resource is these forests. It's true for apples, apricots, peaches, walnuts, pears. In terms of a wild genetic resource for cultivated fruit trees, there's nothing like it on the planet."




http://news.nationalgeographic.com/news/apples-of-eden-saving-the-wild-ancestor-of-modern-apples/

728x90
728x90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비만율  (0) 2014.05.26
토지수탈  (0) 2014.05.25
농업 기계화 현황  (0) 2014.02.04
베트남의 부엌  (0) 2014.01.30
경남 하동군 서촌마을 콩농사 짓는 김형갑·이금자 부부  (0) 2013.09.09
728x90


현대의 인류는 그 어느 시기보다도 풍요로운 축복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대형마트나 시장에 가면 진열대마다 먹을거리들이 넘쳐나고, 식당에 가도 식재료가 끊이는 법 없이 줄기차게 요리가 나온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풍요로운 것이 맞는가?

우리가 먹는 음식에 쓰이는 식재료들을 가만히 놓고 보면 그렇다고도 하기 어렵다.

양은 많아졌지만 질과 다양성에서는 오히려 과거보다 못하다고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생산과 유통, 분배를 도맡는 기업들이 그것을 장악하면서 연구기관에서는 그들의 목적에 맞는 품종과 농법을 개발하기에 바쁘고, 정부는 경제성장과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그들의 이익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하곤 한다.

대규모, 대량, 대형 같은 '거대한' 시대에 우리는 '강요된 풍요' 속에서 선택권을 박탈당하고 있다.

자유로운 선택을 위해서는 개인이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조그맣고 다양한, 그래서 선택지가 넓어질 수 있는 일은 지금 시대에 불가능한 것인가?

위기의 시대라는 말이 나돌고 있다. 이때 우리가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면 바로 그러한 쪽으로 향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문학적, 은유적 표현이 많아 의역이 난무하니 영어 실력이 되는 분들은 원문을 보시길...

---------





존 벙커(John Bunker) 씨



매년 가을 미국 메인 주의 COMMON GROUND Country Fair의 지속가능한 농업의 멋진 농산물 코너에 존 벙커 씨는 별난 사과를 진열해 전시한다. 지난 9월, 다시 한 번 가능한 한 크기와 모양, 빛깔 등이 다양한 사과를 가져갔다. 울퉁불퉁하고 작고 노란 건 웨스트필드(Westfield) 시크노퍼더(Seek-No-Further)라 하고, 자주빛의 자두 비슷한 건 블랙 옥스포드(Black Oxford)라 하며, 크고 붉은 줄무늬가 있는 건 울프리버(Wolf River), 토마스 제퍼슨의 과일 가운데 하나인 아소포스 스피첸버그(Esopus Spitzenburg)라는 것도 있다. 벙커 씨는 메인 주에서 "사과를 퍼뜨리는 사람" 또는 간단히 "사과 남자"로 알려져 있고, 반무명 상태에서 여러 해 동안 고난을 겪으면서도 그는 결코 더 요구한 적이 없다. Fedco Trees의 카탈로그를 통해 30년 전 우편주문 회사를 설립한 벙커 씨는 풀뿌리 사과 혁명의 씨앗을 뿌렸다. 


긴 주말 내내, 벙커 씨의 빛나는 사과들로 가득한 탁자에 사람들이 끌려오는 것을 보았다. 백발에 이가 빠진 체구가 작은 할아버지가 벽돌색의 사과를 가리키며 "볼드윈(Baldwin)!" 하고 외쳤다. 이 사과는 1933~1934년 지독히 추운 겨울이 이를 무명의 상태로 처박아 넣기 전까지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사과 중 하나였다. "그건 최고야!"


금발의 여성이 놀라서 블루 페어메인(Blue Pearmain)을 들어올렸다. 그녀는 "블루 페어메인"이라며 경탄했다. "엄마가 마당에 한 그루 가지고 있었어."


또 다른 여성은 파운드 스위트(Pound Sweet)의 모습에 말문이 막혔다. "할머니가 파운드 스위트를 가지고 있었지! 할머니는 내가 빨래를 널 때마다 그걸 하나씩 줬어."


그냥 향수가 아니었다. 농가의 정보광들이 농장 계획에 벙커 씨의 축복을 받으려고 늘어섰다. "나는 사과를 따서 그대로 먹는 용도로 세 그루의 카바나(Kavanagh)와 두 그루의 콕스 오렌지 피핀(Cox's Orange Pippin)이 있고, 빵을 굽는 데 쓰는 울프 리버, 겨울 저장용 블랙 옥스포드가 있지만, 나를 완전히 만족시키지는 못해요. 사과주스용으로는 무얼 추천하나요?" 62세의 벙커 씨는 뉴잉글랜드 슬레이트로 만든 것 같은 커다란 목소리로 조언을 해주었다.


대부분 땅을 산 뒤 진입로나 마당에 사과나무를 심으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다가왔다. 일부는 벙커 씨에게 아이폰에서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다. 메인 주의 Common Ground Country Fair부터 여러 로타리 클럽과 그가 강연하는 역사학회까지 벙커 씨가 다니는 모든 곳에서는 수수께끼의 사과를 식별해 달라고 요청을 받는다. 그는 기꺼이 해주는데, 그가 정말로 찾고 있는 것은 자신이 식별할 수 없는 사과나무이다. 그는 사과 탐정인 것이다. 


1800년대 중반 미국에는 식량작물로 개발된 수천 가지 품종의 놀라울 만큼 다양한 사과가 있었다. 그러다가 공업형 농업이 그 세계를 부수어 버렸다. 사과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홍보하는 몇 가지만 남겼고, 나머지는 잊혀졌다. 그들은 상업적으로는 멸종했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완전히 멸종하지 않았다. 


버려지더라도 사과나무는 200년 이상 살 수 있어, 쉘 실버스타인의 <아낌없이 주는 나무>처럼 소년이 돌아오기를 참을성 있게 기다린다. 약 200년 정도의 수령인 늙고 구부러진 메인 주 할로웰(Hallowell)에 있는 블랙 옥스포드 나무에는 아직도 짙은 자주빛의 사과가 가을마다 달린다. 뉴잉글래드의 북부와 애팔래치아 산맥, 조니 애플시드가 사랑한 오하이오의 리버 벨리 같은 곳 —불도저도 도망간 농업의 한계지— 에서, 이러한 100년 이상의 나무들이 존재의 경계에서 깜박거리며 버티고 있다. 그들의 정체는 현재의 자택 소유자들에게는 수수께끼이곤 하다. 그리고 존 벙커 씨는 그 나무들이, 그리고 그가 사라지기 전에 최대한 구하려고 마음먹었다.


사과의 품종에 관해 이해하는 데 중요한 것은 사과는 씨앗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사과의 과일은 모수, 즉 어미나무의 일회용 자궁인데, 거기 들어 있는 씨앗은 새로운 개별체로서 그 각각은 어미와 알 수 없는 아비에게서 받은 유전자가 독특하게 조합되어 있다. 그 조합은 봄에 벌들이 꽃가루를 묻혀 날아다니면서 수정이 되어 이루어진다. 그 씨앗이 나무로 성장하면, 거기 달린 사과는 부모와 닮지 않을 것이다. 그 사과들은 크기와 붉기, 당도 같은 품질은 우연히 재현될 수 없는 아주 특별한 유전자의 배열이 필요하기에, 시고 작고 녹색을 띠곤 할 것이다. 그러한 묘목이 미국 농촌의 비포장도로 등지에 줄지어 서 있다. 


특정 나무에 달리는 사과를 좋아해서 그와 같은 나무가 더 많이 있기를 바란다면, 그걸 복제해야 한다. 원래의 나무에서 가지를 잘라서 살아 있는 밑나무에 접을 붙여 자라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사과 품종이 대대로 이어지는 방법이다. 모든 매킨토시(McIntosh)는 존 매킨토시가 1811년 자신의 온타리오 농장에서 발견한 원래의 나무에 접을 붙이거나 접을 붙인 것에 다시 접을 붙인 것이다. 모든 그래니 스미스(Granny Smith)는 마리아 앤 스미스(Maria Ann Smith)가 1800년대 중반 호주의 자기 퇴비더미에서 발견한 묘목에서 유래한다. 


현재 미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사과 품종들.


그런데 때때로 그러한 묘목 가운데 하나가 특별한 무언가를 생산하곤 한다. 접붙이는 기술이 확산되면서, 그런 특별한 나무가 발견되면 복제되고 이름이 붙여졌다. 1800년대까지 미국은 세계의 다른 어떤 곳보다 각 지역의 기후와 수요에 맞춤한 많은 품종의 사과가 있었다. 어떤 건 7월에 익고, 어떤 건 11월에 익었다. 어떤 건 지하 저장고에 6개월이나 저장할 수 있었다. 어떤 건 빵 굽기나 양념에 최고였고, 대부분은 생으로 먹기에 너무 떫어 사과발효주로 만들었다. 농장에 정착하고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수백만 개의 사과 씨앗을 심었던 미국 식민지의 사람들에게서 여러 가지 사과가 사라졌다. 그 방법을 선도한 것은 존 채프먼(John Chapman), 일명 조니 애플시드였다. 그는 혼자서 많은 개척지의 묘목장에 수많은 씨앗을 심었는데, 이주자들을 끌어들일 생각으로 무상불하지의 일부에 50그루의 사과나무와 배나무를 심기 시작했다. 접목을 이해했다고 해도 이주자들은 아마 별 신경을 쓰지 않았을 것이다. 그 사과 중 일부는 생으로 먹고, 더 많은 돼지를 먹이거나 발효시키려고 재배했지만 어느 일이나 너무 까다로웠다. 

벙커 씨는 이 시기를 위대한 미국의 농업혁명이라 부른다. "이런 일들이 일어났을 때 미국 농무부나 대학(land grant college)도, 과수학회(pomological societies)도 없었죠." "풀뿌리 운동이었습니다. 농민들이 육종가였죠." 농업이 공업화되면서 과수원의 규모가 더욱더 커졌다. 주의 농업지도서비스는 과수재배자들에게 맛과 향을 희생시키며 장거리 운송에 견딜 수 있는 몇 가지 품종에 집중하여 반짝이고 붉은 과실을 크게 생산하라고 장려한다. 오늘날 수많은 특별한 사과들이 사라지고 단지 몇 가지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벙커 씨가 자신의 빛나는 사과를 전시하는 걸 보면, 사과에 대한 우리의 의식이 점점 좁아졌다는 것이 떠오른다. 이 다재다능한 과일의 종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진로를 바꿀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전시 A: 해리슨 사과(Harrison apple), 뉴저지 주 뉴어크의 자랑, 1800년대 초반 전성기를 구가함, 세계에서 가장 좋았던 샴폐인 같은 사이다를 만듦. 그러나 해리슨처럼 좋은 사과발효주를 만드는 고탄닌 품종의 대부분이 금주령으로 사라졌다. (최근 부활한 사과발효주는 주로 생식용 사과로 만들어 맛이 없다.) 그러나 1976년 벙커 씨와 사과를 찾는 동료 중 한 명이 오래된 해리슨 사과나무 한 그루를 뉴저지 리빙스턴에 있는 문을 닫은 사이다 공장 부지에서 찾아, 그걸 접목하여 현재 새로운 세대의 해리슨 사과나무가 열매를 맺기 시작했다. 피노 누아르라는 포도주를 다시 발견한 것과 같은 이야기이다. 



왼쪽부터: 롤프(Rolfe), 울프 리버(Wolf River), 옐로우 벨플라워(Yellow Bellflower), 로드 아일랜드 그리닝(Rhode Island Greening), 블루 페어메인(Blue Pearmain), 카바나(Kavanagh)



농업생물다양성의 보존에 대한 일반적 논거는 단일작물이 병해충에 의해 전멸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옛날 사과의 일부는 사과 부패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가 있으며, 현대 과수원의 또 다른 재앙에 유용하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사과는 다른 작물보다 더 많은 농약이 필요하고, 그것이 현대의 사과 품종을 유기농으로 재배하기 어렵게 한다.) 그러나 꿈 같은 소리라고 무시하지 마라. 세계는 우리가 수많은 개성의 다양한 사과를 경험할 때 조금 더 즐거워질 것이다. 


벙커 씨의 사과에 대한 사랑은 19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는 그가 콜비(Colby) 대학을 졸업한 뒤 메인 주 팔레르모의 마을에서 척박한 땅을 구해 농사를 시작한 해이다. 첫 해 가을, 그는 대부분은 무시했지만 십 몇 년 전 심어 당시 전성기에 이른 나무에서 사과가 익어가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그걸 따기 시작했다.

"나는 마을에서 찾았고, 결국 메인 주와 다른 곳에서 이 나무를 만난 적도 없는 사람에게서 선물받은 것 같아요. 난 내가 이렇게 하리라곤 생각하지도 않았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난 지구에 와서 모든 사과나무를 재배하고 결실을 이루는 놀라운 경험해보자고 생각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자신의 영역으로 나를 데려가 가진 것을 보여줄 고풍스러운 나무들이 옛 도로의 여행길에 나를 내려주었죠. 난 누군가의 문을 두드렸고, 다음은 당신도 알듯이 그들과 함께 먹었죠. 그건 끝없이 선물을 받는 것 같아요. 그리고 난 이에 대해 어떤 책임이 있을까, 아니면 그냥 즐기고 가 버릴까 생각하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그는 Fedco Trees를 설립했다. 이곳은 매년 희귀한 사과를 선택해서 그것이 덜 희귀해지도록 시도한다. 그가 이 잃어버린 고리의 하나를 찾으면, 그걸 Fedco의 묘목장에 있는 어미나무에 접을 붙이고 몇 년 뒤 그 나무를 판매한다. 벙커 씨는 지난 30년에 걸쳐 80~100품종을 망각으로부터 구했다고 추산한다. 그의 수사 기법은 줄기 주변의 구멍의 깊이를 공부하는 것부터, 접붙이는 흉터를 위한 원줄기를 확인하고 오래된 묘목장 목록과 역사적 기록들을 심사숙고하는 것까지 모든 것을 아우른다. 

그는 사과가 유래한 마을의 구멍가게에 "수배" 전단지를 붙이고, 역사학회의 모임에도 나누어준다. 전단지에는 "살아 있길 바랍니다: 내러갠싯 사과(Narragansett Apple). 요크 카운티에서 마지막으로 목격! ... 1873년 메인 주 벅스턴의 Jacob H Harmon의 농장에서 유래함"이라 적혀 있다. 그런 다음 사과에 대한 그림과 설명 아래에 호소한다. "당신이 이 사과의 소재를 안다면 제발 Fedco에 연락해 주세요." 



그는 메인 주 윈스롭(Winthrop)의 자랑인 페어뱅크스(Fairbanks)와 네이키드 림드 그리닝(Naked Limbed Greening)처럼 100년 동안 들어보지 못한 한때 사랑받던 사과를 찾기를 꿈꾼다. 그의 현재 성배는 너무 맛있어서 1870년대에 영국으로 수출되었다고 하는 풍부한 맛의 노란 사과 블레이크(Blake)이다. 옛날 카탈로그와 원예 관련 도서에 따르면, 블레이크의 과육은 "질 좋고, 아삭하며, 파삭파삭하고, 약간 신" 맛으로 1800년대 중반 메인 주에 널리 퍼졌다. 블레이크 나무는 다른 사과나무들이 사과가 떨어지는데 반해 끝까지 달려 있는 특이한 점이 있었다. 벙커 씨는 2011년 12월 포틀랜드 근처의 들판에 있는 노란 사과로 덮여 있는 오래된 나무를 발견하고는 혹시 블레이크가 아닐까 기대를 했다. 그곳은 1870년대 J.H. Blake가 소유했던 곳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 나무는 블레이크가 아니라고 판명되었고, 여전히 탐험은 계속되고 있다.

설로(Thurlow) 씨는 예전 플레처(Fletcher) 타운의 중심지였다 버려진 교차로로 벙커 씨를 데려가 오래된 비틀린 나무를 가리키며 "내가 어릴 때 저 사과를 먹곤 했어요"라고 말하다. 그 나무는 거의 죽었다. 지상에서 약 5.5m 높이인 이 나무는 살아 있는 가지가 하나에, 몸통은 5cm 정도 너비의 껍질만 살아 있었다. 과실도 달리지 않았지만, 벙커 씨는 관심을 보였다. 몇 달 뒤 그가 돌아와 가지 몇 개를 가져가서 농장의 어미나무에 그걸 접붙였다. 몇 년 뒤 설로 씨와 그 나무는 모두 세상을 떠났지만, 접목한 것은 무럭무럭 자라 몇 년 뒤에 처음으로 과즙이 많은 그린 플레쳐 스위트(green Fletcher Sweet)라고 이름을 붙인 사과가 달렸다. "훌륭한 사과예요"라고 벙커 씨는 말한다. "굉장히 멋진 독특한 맛이 있어요." 현재 벙커 씨는 어린 플레처 스위트 사과나무를 링컨빌(Lincolnville)에 돌려주었다. 벙커 씨의 발견 가운데 최고의 하나는 자신의 연구에서 링컨빌 지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타난 플레처 스위트(Fletcher Sweet)였다. 2002년 그는 링컨빌 역사학회의 사람들과 만났다. 그들은 그 사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었지만, 뉴잉글랜드 북부의 여러 다른 오래된 마을처럼 숲으로 재생된 링컨빌의 일부를 플레처 타운이라 부른다는 걸 알고 있었다. 학회의 회원이 지역 신문에 "플레처"라고 부르는 옛날 사과를 찾고 있다는 기사를 썼다. 79세의 클라렌스 설로(Clarence Thurlow)라는 사람이 그 신문을 읽고 "플레처에 대해 들어본 적은 없지만, 플레처 스위트가 있던 곳은 알아요"라고 전화했다. 

이것은 사과의 마법이다. 클라렌스 설로와 접목하지 못하면 새로운 걸 기를 수 없없는데, 그의 나무는 쉽게 복제되어 메인 주로 반환되었다. 현재 난 플레처 스위트를 한 입 베어 물고 설로가 80년 전 소년이었을 때 경험한 바를 그대로 알 수 있다. 나는 뉴타운 피핀(Newtown Pippin)을 씹을 수 있고, 토마스 제퍼슨이 파리에서 친구에게 편지를 쓰며 "여기는 우리의 뉴타운 피핀과 비교할 만한 사과가 없다"고 아쉬워한 바를 이해할 수 있다.  

"그건 사과에 관한 것이면서 사과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라고 벙커 씨는 자신의 작업에 대해 말한다. "나는 사과의 역사에 관하여 이야기했는데, 그거 압니까? 이건 농업 유산에 대한 내용이기에 매우 정치적인 이야기입니다."

그 유산이 위험에 처해 있다. 산업화된 식량체계가 우리를 극소수의 사과 품종에 제한할 뿐만 아니라, 스위탱고(SweeTango) 같은 새로 출시되는 사과의 대부분이 그걸 육종한 사람에게 지적재산권이 있는 "클럽 애플(club apples)"이다. 재배자들은 특정한 그 나무를 재배하고 판매하려면 계약서에 서명해야 하고, 모든 사과에 대해 로열티를 지불해야 한다. 자신의 사과를 통제하는 농민들의 시간이 숫자로 세어질 수 있게 되고, 지식의 사슬을 끊는 일에 대한 생각으로 벙커 씨는 고심하고 있다. 그는 "우리가 상호작용할 때, 지구에서 함께하는 우리의 능력은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이 하던 모든 물건으로 함축된다"고 한다. "우린 언어를 발명하지 않았다. 우린 옷을, 길을, 농업을 발명하지 않았다. 우린 우리에게 주어진 것을 단지 받았을 뿐이고, 다음에 올 사람에게 줄 뿐이다."


COMMON GROUND Country Fair의 말미에, 나는 다시 찾으려는 그 이상의 사과가 있는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괴상한 봄 날씨에 최근 사과의 생산이 최악이었다. 많은 나무에서 과실이 달리지 않았고, 평소보다 적은 사람들이 벙커 씨에게 자신들의 수수께끼를 가져왔다. 어느 멋진 젊은 부부가 우리에게 다가왔다. 그들은 어쩐지 아미쉬 같아 보였다. 남자는 조끼와 밀집모자를 쓰고, 여자는 손으로 짠 리넨을 입었다. "이름 중에 '유령(ghost)'이라는 게 있나요?" 남자가 물었다. "우린 최근 가디너(Gardiner)에 오래된 나무가 좀 있는 땅을 샀어요. 95세인 이전 소유자가 그 이름을 알려줬습니다. 하나는 '유령'처럼 생겼어요."

벙커 씨는 "유령"에 가까운 이름을 가진 어떤 토종 사과도 생각할 수 없었다. 한 달 뒤, 그는 고스트 사과를 조사하려고 여행을 떠났다. 그는 가디너의 집을 보자마자 희망이 샘솟았다. 그곳에는 전형적인 옛날식 헛간이 있었고, 앞마당에는 수령이 많은 배나무가 몇 그루 보였다. 50그루의 크랩(crab) 사과나무들이 집에 그늘을 드리웠다. 

단풍나무들이 집 뒤편을 장악했지만, 그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질서정연하게 서 있는 오래된 유령들을 볼 수 있었다. 약 30그루의 옛 과수원이었다. 대부분은 죽었으며, 일부는 차츰 죽어가고 있었다.

유령은 스노우(Snow)의 틀린 이름임이 판명되었다. 1600년대 프랑스 정착민들이 재배하던 밝고 붉은 캐나다의 사과인 스노우는 매우 일반적이었다. 이 사과는 매킨토시에 가장 좋은 어미나무로 알려져 있다. 그 이름은 눈처럼 흰 과육에서 왔다. 벙커 씨는 "또는 유령처럼 흰"이라고 생각에 잠기며 말했다. 그는 흔히 보기 어려운 미국의 오래된 사과 품종인 갈색에 솜털이 있는 락스베리 러시트(Roxbury Russet)를 확인했다. 어디서나 그랬기에 그는 특별히 실망하지는 않았다.

그런 다음 옛 과수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수령이 150년은 된 비틀린 나무에 다가갔다. 과실이 달리지는 않았지만, 땅 위에 이십여 개의 황금빛 사과가 떨어져 있었다. 벙커 씨는 하나를 주워서 손에 들고 살펴보았다. 그 사과는 황갈색 점에 자루 부분에는 황갈색 무늬가 있었으며 둥글고 단단했다. 그는 전에 이런 사과를 본 적이 없음을 즉시 알아채고, 전율과 함께 혹시 블레이크를 발견한 것은 아닌지 궁금했다. 매우 적은 수의 샛노란 사과들이 150년 전 메인 주에서 재배되었다. 그런데 그 과육이 "질 좋고, 아삭하며, 파삭파삭하고, 약간 신맛"인가? 그는 사과를 한 입 베어 물었다. 사각, 사각, 사각, 사각. 이것이 블레이크임을 밝히려면 더 오랜 수사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그는 더 나은 상태의 과실을 얻기 위해 내년 가을에 돌아올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 위대한 미국의 농업혁명이란 유령이 더 이상 유령이 아님을 강하게 직감했다.



전국의 사과 탐정 모임(아래 지도를 클릭하시오) 

위의 사과 그림은 <Apples of New York>, Volume 1 Volume 2, 그리고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Pomological Watercolor Collection에서 가져옴. 



http://goo.gl/RJIE1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