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엔의 식량 전문가가 식량부족과 비만 모두와 싸우고 있는 멕시코에서 "긴급사태"라 정의하고
,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정부의 농업정책을 바꾸라고 제안했다.

유엔 식량권에 대한 특별보고서를 쓴 올리비에 드 슈터Olivier De Schutter는 약 1900만 명의 멕시코인이 식량 불안에 처해 있는 동시에 “멕시코는 미국 다음으로 과체중과 비만으로 가장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는 나라 가운데 하나이다”라고 말했다.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OHCHR)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그는 일주일 동안 멕시코를 방문한 마지막 날 “긴급사태를 선포해야 한다”고 말했다.  


드 슈터 씨는 영양부족과 과잉영양 모두는 건강하고 다양한 먹을거리를 훼손시키며 대규모 단작과 수출지향 농업에 몰두하고, 정책은 소농보다 부농 쪽으로 왜곡되어 있으며, 기업은 고칼로리 음식을 마케팅하는 등과 같은  몇 가지 요인의 결과라고 한다.


그는 “소비자를 원조하고 있는 농업정책과 사회정책은 소비자와 소농 모두에게 가장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상호 지원과 지역 먹을거리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식량 원조 프로그램은 소농이 더 많은 식량을 공급하도록 하여, 지역 생산자의 소득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신선한 음식을 공급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드 슈터 씨는 또한 유전자조작 옥수수의 실지 시험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고 정부는 유전자조작 옥수수의 도입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지적재산권으로 보호를 받는 종자가 엄두도 못낼 만큼 비용이 많이 드는 농업 구조를 만들어 점차 거기에 의존하게 되는 농민에게는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멕시코의 유전자조작 옥수수 도입은 기후변화가 가져올 미래의 위협과 예측할 수 없는 변화에 가장 중요한 자산인 농업생물다양성에 심각한 위협을 제기할 것이다”라고 했다.


특별보고서는 "소농과 생태농업 기술의 확대에 초점을 맞춰서" 농업을 개혁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것은 빈곤 지원(pro-poor) 농업정책을 개발하는 것으로 시작될 것이다: 현재의 정책은 가장 부유한 국가, 가장 부유한 지자체, 가장 부유한 생산자에게 호의적이다.”


독립적으로 무보수로 일하는 드 슈터 씨는 제네바에서 인권위원회에게 보고한다.




728x90
728x90

Alfredo Acedo

Americas Program, 2011년 3월 28일
http://www.cipamericas.org/archives/4244

몬산토는 국제 옥수수 비축량이 떨어지고 예상치 못한 한파로 멕시코의 옥수수 생산량에 큰 피해를 입는 틈을 타 멕시코에서 유전자조작 옥수수의 상업적 재배를 더 빨리 해야 한다는 논쟁으로 이끌었다. 그 초국적 기업은 물량 부족과 오르고 있는 곡물 가격의 유일한 해결책은 조작된 씨앗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자회견에서, 그 초국적 기업의 라틴아메리카 대표 José Manuel Maduro는 주요 품목의 post-NAFTA의 높은 수준에 대한 국가의 유전자조작 옥수수 생산 제한을 비난함으로써 더욱 진전시켰다. "(유전자조작) 쪽으로 가지 않는다는 멕시코의 결정은 1000만 톤의 옥수수 수입, 신속한 반응을 요구하는 상황으로 이끌 것이다."

그러한 몬산토는 유전자조작을 허용하도록 멕시코를 겁주려고 식량 의존성이란 귀신을 활용하려는 것이고, 옥수수는 회사의 엄청난 냉소를 나타낸다. 현재 몬산토에 따르면, 멕시코가 옥수수 자급을 잃고 해마다 수만 톤을 수입하는 까닭은 초국적 기업을 지원하는 농업정책이나 국가의 생산자 대다수를 포기하고 수입을 선호하는 불공평한 자유무역 모델을 하지 않아서가 아니다. 대신 그것은 국가가 유전자조작 옥수수의 상업적 활용을 받아들이지 않아서이다.

식량위기가 흐릿하게 나타날 때, 진정한 위험은 –영양, 건강, 국가의 문화에 대해– 국가의 농업을 강화한다고 몬산토의 의제를 선택하는 데에 있다. 유전자조작 작물의 경작은 멕시코의 식량주권 상실을 가속화하고 필수적인 토종 옥수수를 오염시킬 것이다. 


압력 캠페인Pressure Campaign

몬산토의 부지런한 홍보 노력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 본래 지난해 Sinaloa에서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경작하는 시범사업에 대한 허가가 부인되었는데, 농업 가축 개발 수산업 식품부(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Development, Fisheries and Food)는 회사에게 Tamaulipas의 현행 농업주기에 시범사업의 일부로 유전자조작 노란 옥수수를 심도록 녹색 신호를 켜주었다..

생물다양성의 사용과 이해(CONABIO)에 대한 국가위원회에 따르면, Tamaulipas는 남아 있는 토종 옥수수 59종 가운데 16종의 고향이다. CONABIO에서 행한 최근의 연구는 유전자조작 옥수수의 경작은 "오직 공공기관에서 적절히 보안 훈련을 받고 위험도가 낮은 지역에서만" 다루어져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 연구는 SAGARPA의 후원으로 이루어졌고, Tamaulipas 시범 프로젝트에 대한 허가와 동시에 발표되었다. 북쪽 지역의 나머지와 멕시코의 모든 곳처럼 Tamaulipas는 옥수수 원산지의 중심이다.

There is an intense PR campaign to open the door to transgenics in Mexico: industrial farmers in the north are pushing the government to ease the establishment of commercial transgenic corn operations and the national press is not short on people willing to echo Monsanto’s sound bites.

This year’s International Book Fair in Mexico City was invaded by the campaign’s propaganda, cloaked in scientific jargon. The fair, sponsored by the National Autonomous University of Mexico, included a series of conferences designed to convince the public about the benefits of GMOs, led by all-star biotech cheerleader, Luis Herrera-Estrella. The Mexican scientist, hailed as a co-inventor of transgenics, has become a defender of Monsanto’s efforts in spite of the fact that, as he tells it, the company commandeered his patent for the technology.

Herrera-Estrella has been accused of doing Monsanto’s dirty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CINVESTAV, where the researcher works, and the transnational is public knowledge. After Berkeley Professor Ignacio Chapela revealed GM contamination in corn crops in Calpulapan, Oaxaca in the fall of 2001, Monsanto launched a smear campaign against him. After years of persecution and when two international Berkeley reviewers had recommended tenure, Chapela’s contract was suspended after the university received a letter against him from an expert. The author was Luis Herrera-Estrella.

The conferences at the book fair only presented a favorable view of transgenics, leading to complaints from some members of the public. The president of the Union of Socially Concerned Scientists Elena Álvarez-Buylla presented a brief critical perspective on transgenic biotechnology,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French scientist recognized for his independent research into the risks of GMOs, who recently won a suit against biotech groups that carried out a smear campaign to discredit him. Álvarez-Buylla was cut off by Herrera-Estrella, who was clearly annoyed by the criticisms and insisted that as the conference organizer he should be the sole presenter. Another attendee challenged the failure to mention the proven health risks posed by glyphosate, a Monsanto herbicide associated with one of its transgenic corn strains.

The aggressive PR operation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GM corn in Mexico comes after the company reported declining profits last year and a drop in its share price due to shrinking sales of Roundup and GM soy and corn seeds in South America and Europe.

The Mexican market represents potential earnings of $400 million annually for Monsanto and for some government officials that’s enough to turn a blind eye toward any risk to native corn species, the economy or Mexican health.

Meanwhile in the European Union, according to a report from Friends of the Earth International released several weeks ago, transgenic crops are plummeting at the same time that more and more countries are prohibiting them.

Seven EU member states prohibit the planting of Monsanto’s transgenic corn due to mounting evidence about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and to apply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hat stipulates that when impact on human health is unknown precaution is warranted. Polls show that public opposition to transgenics is as high as 61 percent.

Unexpectedly, and not without contradictions, the Mexican federal government denied Monsanto’s permit for a pilot project of 100 acres of GM corn in the northeastern state of Sinaloa. Pilot projects are the second regulatory phase, following the experimental phase and preceding commercial production, of the three phases established by the Law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Biosecurity.

Beginning in October of 2009, a few months after a meeting between Felipe Calderón and Monsanto President Hugh Grant, the federal government approved 29 applications for experimental transgenic corn plots, breaking a decade-long moratorium. Most of the licenses were issued to Monsanto and Dow Agro Science to test corn strains resistant to herbicides and blight on more than a dozen hectares.

Last year, after keeping the sites secret and without adequately disclos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plantings in violation of the Biosecurity Law, the government accepted 20 more applications from the aforementioned transnationals, plus Syngenta. If all these permits are authorized, there would be more than 1,000 hectares planted with transgenic corn.

The contradictions and waffling in the government’s original position to at first deny permits for pilot projects in Sinaloa and then approve the quarter-hectare project in Tamaulipas are probably due to the fast-approaching electoral season – crucial for the ruling party, which will try to avoid the political costs of its decisions. The actions of peasant farmer organizations and the important work of expert groups like the UCC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olding back the mass cultivation of GMOs in Mexico.

Since the end of 2009, The National Union of Regional Autonomous Campesino Organizations (UNORCA) started a campaign with the slogan “No to transgenic corn! Monsanto out of Mexico!” that includes the use of forums, mass media and public spaces to inform debate on GMOs in Mexico. Public forums were held in Navojoa (a few miles from one of the centers of transgenic experimentation), Chilpancingo y Zacatecas. Last year in Guadalajara and Morelia, the forums condemned transgenic corn experimentation as a crime against humanity.

There are now many voices speaking out against the imposition of GMOs: from the UCCS to the city council of Tepoztlán in the southern state of Morelos, which filed a constitutional challenge against the planting of transgenic corn in the country.


Food Sovereignty or Food Dependency?

The national head of UNORCA, Olegario Carrillo, asserts that Mexico doesn’t need to embrace Monsanto to regain corn self-sufficiency. Giving in to the transnational’s pressure to gain control over Mexico’s agro-genetic wealth would mean deepening the debilitating food dependence brought on by NAFTA; food imports already constitute more than 40 percent of what Mexico consumes, according to data from the Chief Auditor of the Federation.

The fundamental problem is not technological, but that the Mexican government lacks policies to promote rural development or goals in domestic food production. The neoliberal regime has chosen to promote imports and support the transnationals that have been taking over the production process.

Monsanto is lying when it implies that its biotechnology can resolve Mexico’s food crisis: it is amply documented that transgenics don’t increase yields. Transgenic corn strains weren’t designed to increase yield. The vast majority of transgenic crops are designed to resist the application of herbicides also manufactured by Monsanto. They actually create more dependency due to the need to buy seed and the contamination of native varieties. They also damage the environment, the economy and human health.

On the other hand, annual corn harvests in Mexico could be doubled if agricultural policy were reformed to support small farmers and to encourage cultivation of more acres in the south and southeast where there is sufficient water. The genetic wealth of Mexican corn could raise production, with farmers saving seed and not required to pay royalties to Monsanto, because the 60 native species and thousands of varieties are adapted to local soils and climates.

Monsanto denies the risk of transgenic contamination of native species, despite evidence that the coexistence of transgenics and biodiversity is impossible. Hiding the truth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Monsanto’s corporate strategies throughout its history, as the company seeks to protect profits at the expense of human health, the environment and general well-being.

The UCCS, based on FAO and UNESCO reports, affirms that transgenics not only do not increase yields, they have the negative impacts of raising agrochemical levels and destroying the soil. These studies also show few or no benefits to poor farmers or consumers. Additionally, GM crops contribute to the climate crisis because they reinforce an oil-dependent agricultural model. Peasant farmer organizations and committed scientists propose an alternative sustainable model, based on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nutrient recycling, crop synergy, conservation of soil and strategic resources (such as water), and incorporating new biotechnologies compatible with sustainable systems.

Scientists have concluded that the Mexican countryside has the resources necessary to guarantee food sovereignty without adopting transgenic technology. According to researcher Antonio Turrent Fernández, small-scale producers, ejido members and communal landowners can play a key role in the production of basic foods and the management of Mexico’s diverse genetic resources. But this requires public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research, technology transfer and services – that is to say a radical change in the dominant model and budget priorities. It also requires the reinstatement of the moratorium on transgenic corn.

Alfredo Acedo is communications director and advisor to the National Union of Regional Autonomous Campesino Organizations (Unión Nacional de Organizaciones Regionales Campesinas Autónomas, UNORCA) Mexico.




728x90
728x90

http://www.guardian.co.uk/commentisfree/2011/feb/14/mexico-back-to-the-land-peasant-farmers



영어 실력이 달리니 더듬더듬 이해한 바를 풀자면 이렇습니다. 영어 실력 좋으신 분의 첨삭을 바라며...



'멕시코' 하면 먼저 경제난, 미국에 종속된 경제, 심각한 범죄율이 떠오릅니다. 그런 나라에서 땅으로 돌아가 소농이 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소식이네요.

 

현재 멕시코는 식량의 절반 이상을 수입하는 처지입니다. 그 배경에는 바로 소농에 대한 지원 철폐가 있지요. 그에 대한 기사의 내용에 나오는 1991년 카를로스 행크Carlos Hank라는 농업장관의 말이 무척 인상적이네요. 그는 "농업장관으로서의 내 의무는 1000만 명의 소농을 처리하는 것이다"라고 선언했답니다. 또한 전 코카콜라의 대표와 2000~2006년 재임한 멕시코 대통령 빈센트 팍스는 "멕시코의 소농들이 텍사스에서 정원사가 될 수 있다"고도 했다지요. 과연 멕시코의 지도층은 국민의 다수를 차지하는 소농을 없애고, 자신들의 모델인 미국처럼 전체 노동력의 2.5%만으로 식량수출국이 되려고 꿈꾼 것일까요? 그 결과는 누구나 알고 있는 지금의 멕시코의 모습입니다. 우리도 한미 FTA를 맺었지요. 아직 실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그것이 우리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상상하기도 싫습니다. 물론 멕시코와 똑같은 일이 일어나지는 않겠지요. 지경학적 요건도 다르고 하니까요.

아무튼 멕시코는 그렇게 꾸준히 소농을 줄이고 그들에 대한 지원을 끊으면서 1992년에 1910년의 혁명을 통해 소녿들이 관리하던 토지를 민간시장에 개방해 버렸습니다. 또한 1994년에 시행된 나프타(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를 통해서는 자유시장이란 이름으로 소농을 죽이는 정책을 강화했지요.  그러한 정책으로 값싼 미국산 식품이 들어오고 정작 자신들의 기반인 소농이 감소하면서 자국의 식량 생산이 엄청나게 감소한 결과, 현재 멕시코는 필요한 곡물의 절반 이상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 대목이 참 남의 이야기 같지 않습니다. 우리도 쌀 빼고는 전부, 싸그리, 모조리 다 수입해서 먹고 있는 실정인 것은 다들 잘 아실 겁니다. 그리고 멕시코인들의 대다수는 일을 찾아, 먹을거리를 찾아 어쩔 수 없이 이민을 떠나 멕시코인의 1/5이 현재 미국에 살고 있다네요.

 

이러한 일이 벌어진 배경에는 식량과 관련한 산업 이야기가 빠질 수 없습니다. 그전까지 자국의 사람들을 먹이는 데 치중하던 농업이 언젠가부터 세계를 무대로 하는 다국적 기업의 주무대가 되었습니다. 그러한 배경에는 이런 일을 생각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1974년 미국 농업장관 얼 버츠Earl Butz는 식량을 실용적인 정치 무기로 쓴다는 의미로 "식량 권력food power"이란 표현을 만들었답니다. 식량에 대한 인식을 그대로 보여주는 표현이네요. 이렇듯 20세기에 들어와 굶주림은 가장 수익성 높은 사업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어마어마한 농업보조금 이야기도 언급이 됩니다.그 보조금이 식량을 수출하던 미국과 유럽의 식량공급자들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고 지적하는데, 오늘날 OECD 국가는 에탄올 보조금이란 목적으로 3650억 달러를 할당하고 있다네요. 현재 무려 1억 2000만 톤의 곡물이 자동차를 굴리는 데 쓰인답니다. 

 

그러한 암울한 상황에서 멕시코의 소농들이 정부 정책에 저항하며 스스로 대안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정부의 지원 없이 농경지와 생산량을 늘리고, 이민자들은 자기 수입의 일부를 농업에 투자하고 있답니다. 또 그러한 계획이 자체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는 쿠바의 도시농업의 사례를 실천해 보완되고 있다는 이야기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그와 함께 멕시코 소농의 비율은 전체 인구로 비교하면 과거보다 떨어진 것이 사실이지만, 지속불가능하고 폭력적인 도시의 삶에서 탈출해 농촌으로 돌아온 도시민들 때문에 전체 숫자는 더 높아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땅으로 돌아가는 계획의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듯합니다. 그들은 자신이 도시에서 쓰던 현대 기술을 이용해 농촌에 새로운 생활방식을 만들고 있답니다. 이러한 경향이 '비아 깜페시나'와 같은 세계적 소농 조직에 의해 점점 자리를 잡아 간다고 강조하며 글을 마치고 있네요.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을거리 싸움  (0) 2011.02.17
<흙>과 관련한 의문 2  (0) 2011.02.16
90억 인구를 먹일 수 있는가?  (0) 2011.02.14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매장량은???  (0) 2011.02.11
쌀을 위한 경쟁  (0) 2011.02.10
728x90

전통농업의 방법 - 잡초 관리

 

 

 

 

 

 

풀 투성이 옥수수밭

 

 

멕시코 푸에블라주Puebla州의 농민들은 7000년이나 옥수수를 재배하며 다양한 경험을 축적해 왔다. 그들이 재배하는 옥수수는 토종인데, 국제 옥수수·밀 개선 센터와 정부에서 제공하는 품종보다 뛰어나 남아 있다. 호박과 콩을 섞어짓기하여 대규모 단작보다 수확량이나 영양도 좋으며, 반 리넨Van Rheenen(l981) 등에 따르면 옥수수와 섞어짓기하여 콩에 병해가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토종 옥수수는 이삭이 아래로 구부러지며(doblando la mazorca) 늘어진다. 웨더왁스Weatherwax(1954)는 이 품종을 썼던 16세기 아즈텍 농업의 기록을 찾아냈다. 1529년 멕시코를 방문한 수사 사하곤Sahagun은 아즈텍족 농민들의 모습을 이렇게 기록했다.

 

 

“옥수수를 심은 구멍에 흙을 덮고, 어린 싹의 둘레에 북을 주며 풀을 뽑거나 솎는다. 잘 자라도록 작은 이삭은 따 버린다. 그리고 줄기가 성숙하여 말랐을 때 옥수수를 수확하여, 이삭을 묶든지 줄기와 이삭을 함께 모아 집으로 가지고 돌아와 보존한다. 그리고 이삭이 없는 줄기는 부수어 바람으로 말끔히 한다.”

 

아래를 향한 옥수수는 기묘하게 생각된다. 아래를 향하여 옥수수의 알곡은 비에 젖지 않고, 이삭에 붙은 채 햇빛에 말리는 것이 격납하는 쪽보다 쥐나 새에 먹히는 일이 적으며, 수분의 양도 줄이기에 보관하면서 질이 나빠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몬토야Montoya와 쉬버Schieber(1970)는 과테말라에서 아래로 구부러지는 옥수수를 견본·추출하여, 보통 옥수수의 균류 피해가 평균 14.5%인 데 비해 알곡의 피해가 1.0%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그런데 이 농민들이 일하는 옥수수밭의 수확철의 모습은 온대의 옥수수 산지와는 좀 다르다. 밭이 잡초 투성이다. 멕시코의 과학자들에 따르면, 농민들은 약 90일 동안이나 밭에 풀이 자라게 놔두는데, 김을 매도 수확량 차이가 별로 없고 또 풀을 건기에 가축의 먹이로 쓰기에 그렇다고 한다. 농민들은 “밭에 풀이 있으면 바람과 물로 토양이 침식되는 것도 줄어든다”고도 한다. 그뿐만 아니라 에프라임 에르난데스Efraim Hernandez X.는 멕시코의 옥수수밭에 있는 약 40종의 풀은 약향초(Herb)로 농민들이 먹기도 한다고도 지적한다. 사실 그 가운데에는 일부러 씨를 뿌린 풀조차 있다.

 

 

 

 

섞어짓기로 생긴 그늘로 풀을 막는다

 

 

물론 전통적인 농민들도 풀을 관리하고 있다. 쓰는 방법은 갈아엎기와 불지르기, 덮기 등이다(Altieri and Whitcomb 1978). 예를 들면 태국 동부에서는 건기의 끝자락에 몇 번이나 밭을 갈아엎어서 땅콩의 잡초를 줄이고 있다. 표면이 마르면 풀의 발아와 성장이 멈춘다. 마늘의 잡초는 볏짚으로 덮어서 막고 있다. 농사짓기 전에 불을 지르는 곳도 있다. 예를 들면 태국 북동부에서는 밭의 풀을 볏짚을 태워서 관리하고 있다. 코스타리카의 부대밭 농업에서도 겉흙의 풀 씨앗을 50% 이상 줄인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Ewel et al. 1981).

 

 

손으로 김을 매는 것도 전통농법에서는 일반적인데, 노동력과 조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태국 북동부의 카사바 재배에서는 건기가 시작될 때 괭이(호미)로 풀을 뽑고서 덮개식물로서 그대로 놔둔다. 같은 시기에 벼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하기에 카사바의 김을 매는 데 많은 노동력을 투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건기에는 물이 적기 때문에 풀이 늦게 자란다. 그리고 풀이 자라는 우기에는 카사바가 자라서 생긴 그늘이 풀이 자라는 것을 억제해 버린다.

 

 

섞어짓기에서는 연속하여 작물을 기르기 때문에 풀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옥수수, 콩, 카사바를 섞어짓기하는 전통적인 라틴아메리카의 농법도 풀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Hart 1975). 섞어짓기로 인해 빛이 닿지 않으면 풀은 자라지 않는다. 차폐 실험을 통해 빛을 50%로 하면 풀의 양이 75% 줄고, 20%로 하면 96%나 줄어든다고 한다(Bantilan et al. 1974).

 

 

나이지리아에서도 동부를 수수나 조와 섞어짓기하여 풀이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Summerfield et al. 1974). 콩고에서는 오이를 옥수수와 섞어짓기하는데, 이것도 풀을 억제하려고 해서이다(Miracle 1967). 탄자니아의 우삼바라Usambara 산지의 농민들도 묵히기, 섞어짓기, 그리고 특정한 김만 내는 방법으로 복합농업 체계를 개발해 왔다. 작물이 작을 때는 풀을 덮지 못한다. 그러나 풀이 늘어나도록 놔두면 지표를 덮어서 땅거죽이 뜨거워져 마르는 것을 막는다. 비가 올 때에는 토양침식을 줄이고, 작물과 경합하여 작물도 잘 자란다. 농민들은 그것을 잘 이해하여 작물이 자라는 데 방해가 된다고 판단될 때에만 살짝 갈아버린다. 양분이 순환하고, 박테리아가 질소 동화할 수 있도록 덮개식물로 흙 표면에 풀을 놔둔다. 건기가 되면 밭은 많은 풀로 덮이는데, 흙은 부식으로 기름지게 되고 수분도 많고 부드러워 다음 농사철에도 좋다.

 

그러나 그 뒤 풀 없는 농지라는 원칙이 도입되면서 이전에 잡초를 남기는 작부체계가 무너지고, 풋거름이 되는 풀을 대체하려고 화학비료가 필요해졌다(Egger 1987).

 

탄자니아의 우삼바라 지역.

 

 

 

 

잡초 따위라고 하는 풀은 없다

 

 

서양의 개념에서는 들풀, 작물, 잡초로 명쾌하게 식물을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멕시코 타바스코주의 전통적인 농민들에게는 ‘잡초’라는 말이 없다. ‘좋은 식물’ ‘나쁜 식물’이라는 개념은 있지만, 언제 그리고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서 똑같은 식물이 잡초가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Chacon and Gliessman 1982).

 

 

멕시코 북동부의 바닷가 지역에 살고 있는 와스텍Huastec 인디언의 개념도 똑같다. 와스텍족은 자급 농업·수렵채집과 함께 환금작물의 생산과 임금노동으로 번 돈으로 필요한 것을 사면서 생활하고 있다(Alcorn1981). 부대밭 농업의 밀파Milpa와 채소 텃밭으로 재배하는 옥수수와 타피오카 등이 주식인데, 주어진 상황이나 계절에 따라서 똑같은 식물이 ‘잡초’가 되거나 그렇지 않거나 한다. 더욱이 지역의 숲 생태계와 오랜 세월 밀접하게 연관되어 온 와스텍족은 식물을 그 자체의 단독으로 인식하지 않고, 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하나로 인식한다. 당연히 식물에 대한 태도도 달라진다. 그리고 몇 세기에 걸쳐 생태계 전체에 손을 대면서 열대림의 식생을 바꾸어 왔다. 람보Rambo(1982)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숲에 사는 선주민이나 동남아시아의 숲에 사는 농민들도 일반적으로 그들과 비슷하게 식생을 관리해 왔다고 한다.

 

전통적인 농민의 세계에 잡초라는 이름의 풀은 없다.

 

옛 와즈텍족의 생활을 담은 그림.

 

 

 

written by 吉田太郞, translated by 김서방.

 

 

 

 

인용문헌

(1) Gerald G. Marten, Traditional Agriculture in Southeast Asia: Peter Brosius, George W Lovelace, and Gerald G. Marten,Ethnoecology: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Traditional Agricultural Knowledge, Westview Press, 1986.

(2) Gerald G. Marten, Traditional Agriculture in Southeast Asia: Becky. Brown and Gerald G. Marten, The Ecology of Traditional Pest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Westview Press, 1986.

(3) Thurston, H. David, Plant disease management practices oftraditional farmers, Plant Disease 74:96-102, 1990.

(4) Reijntjes, C., B. Haverkort, and A. Waters-Bayer. Farming for the future: An introduction to low-external input and sustainable agriculture, 3.2 Indigenous farming systems, practices and knowledge: some examples, London: Macmillan, 1992.

728x90
728x90

멕시코의 전통농업 - 카헤테

 

 

 

2000년 전의 고대 농법

 

지난 글에서 멕시코의 농민들은 빗물로 옥수수, 콩, 호박을 기르는 밀파 농법을 시도해 왔다고 기술한 바 있다. 그런데 이 농법을 성공시킨 데에는 극복해야 할 조건이 몇 가지 있었다. 그 하나가 토양침식이다. 멕시코시티에서 동쪽으로 200㎞ 떨어진 곳에 있는 틀라츠칼라주Tlaxcala州의 평균 고도는 2230m. 이곳의 대부분은 깊은 골짜기인 황량한 대지이다. 5~9월의 우기에 약 400㎜의 비가 오는데 겨울에는 30㎜밖에 내리지 않는다. 게다가 복잡한 지형 때문에 집중호우도 자주 발생한다. 가파른 비탈에서 작물을 재배하면 토양침식이 일어나 버린다. 하지만 이 과제를 해결하고자 멕시코의 선주민은 카헤테Cajete라고 하는 혁식적인 농법을 써 왔다.

 

 틀라츠칼라 지역 지도.

 

이 농법은 계단밭, 운하, 그리고 카헤테라고 부르는 흙구덩이로 구성된다. 호우가 내려도 물의 속도는 계단밭에 의해서 우선 약해진다. 그리고 완만하게 경사진 계단밭을 흘러 내려오던 물이 카헤테에 고인다. 비가 다 내리면 카헤테에 고였던 물이 천천히 주변 토양으로 스며든다. 이리하여 수자원의 보전과 함께 효율적인 관개가 가능해진다. 카헤테에는 밭에서 쓸려 내려온 흙과 밭에 심었던 식물에서 나온 영양도 모인다. 양분으로 기름진 흙은 다시 모아서 밭으로 돌려준다. 아래쪽에서 흙이 쓸려가는 것을 막는다. 카헤테에는 흐르는 물이 실어온 유기물도 쌓인다. 카헤테는 두엄을 만드는 구멍으로도 기능하여, 정기적으로 잘 만들어진 두엄으로 양분도 밭에 돌려주었다.

 

흙구덩이 카헤테. 

 

 

계단밭에서는 사이짓기·돌려짓기, 그리고 땅을 묵혀서 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농법이 행해졌다. 묵히는 땅은 땅심 회복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밭의 경계에는 약용 식물, 과수, 연료나 사료용 나무가 자라 계단밭을 안정시키는 동시에 방풍림으로 기능했다. 틀라츠칼라 지역에서는 정부의 근대화 프로젝트로 트렉터가 도입되어 곧바로 토양침식이 증가하고, 카헤테나 복잡한 수로망도 묻혀 버렸다. 한편 고고학 자료를 통해 카헤테는 기원전 1000년 전부터 쓰던 방식임을 밝혔다. 이로부터도 선주민이 완성한 전통농법이 물과 토양을 관리하는 데에 참으로 교묘하고 지속가능한 것이었음을 잘 알 수 있다.

 

카헤테를 포함해 전통농법을 특징짓는 기본 원칙은 화석연료와 화학비료 등 외부에서 투입되는 자원에 의존하는 않는 것, 생물다양성, 유기물과 양분의 순환, 그리고 인력을 활용하여 내부 자원을 유지해 왔다는 점에 있다. 어느 유역 안에서 농업을 행하는 농민 모두는 비가 밭에서 수로로 흘러 들어가도록 수로와 카헤테를 유지하고, 고인 토사를 계단밭의 흙과 바꾸는 일에 참가하도록 요구되었다. 그런데 카헤테는 사회경제학적인 요인에 의해서 유지할 수 없게 되면서 서서히 사라졌다. 농민의 아이들 대부분이 많은 돈을 버는 일자리를 구하러 도시로 나가 카헤테를 유지할 노동력을 확보할 수 없었다. 카헤테에서 가장 중대한 것은 공학도 농법도 아닌 바로 그 체계를 유지할 사회제도였던 것이다.

 

 

written by 吉田太郞, translated by 김서방

 

 

인용문헌

 (1) International Ag-Sieve, Elevating Agriculture to Old Heights, Rodale Institute, Ancient Farming, Volume V, Number 3, 1993.

 (2) Cajete Terracing Systems in Tlaxcala, Mexico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미의 전통농업 2   (0) 2010.09.15
북미의 전통농업 1   (0) 2010.09.13
인도의 전통 축산업 - 코란가두  (0) 2010.09.03
스리랑카의 전통농업 - 저수지 관개  (0) 2010.08.31
사헬Sahel의 전통농업 - 자이Zai  (0) 2010.08.25
728x90

멕시코의 전통농법 2 - 밀파·솔라




황폐해졌던 멕시코


멕시코의 믹스테카Mixteca 지역은 강우량이 부족하고 토양침식도 심각한 산악 지대이다. 1980년대 그곳에서 멕시코의 캠퍼시노들은 수확을 늘리고자 화학 집약 농법을 도입하여 화학비료와 농약을 주며 옥수수를 재배해 높은 수확량을 올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 결과, 수확이 확 떨어지고 토양도 피폐해졌다. 게다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실시되어 옥수수 값이 떨어져, 가난한 캠퍼시노는 화학 자재를 조달할 수 없게 되었다.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기계, 종자. 비료, 농약에 투자할 돈도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토지는 농약과 화학비료, 토양침식 또는 사막화로 쓸모없어졌다.


국제연합의 연구에 따르면, 고대 멕시코 문화의 선조가 거주하던 오악사카Oaxaca주州는 세계에서도 토양침식율이 가장 높아 토지의 83%가 농사지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낮은 생산성과 나빠진 토양 때문에 수천 명이나 멕시코와 미국의 대도시로 좋은 생활을 구하여 그 토지를 버리고 갔다.


“캠퍼시노가 다른 일을 구하여 땅을 버리고 가는 일은 큰 변화입니다. 농촌에는 이미 늙은이밖에 없고, 세대를 이어서 선주민의 지역사회에 계승되어 오던 지식의 후계자는 사라져 버렸습니다. 멕시코 농촌 전체의 전통과 지식을 잃어버리는 상황은 정말로 걱정입니다.”


그 말을 한 사람은 오악사카 티란통고Tilantongo에서 캠퍼시노의 우두머리인, 자연보호 활동가 헤수수 레온 산토스Jesús León Santos 씨이다. 그리고 그는 근대농업과는 정반대의 길을 걸어, 소농과 협동하는 고대의 전통농법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황폐한 토지를 비옥한 토지로 바꾸려고 애쓰고 있다.



과테말라에서 도입된 유기농법


헤수수 씨는 당시를 떠올린다.


“멕시코 농촌의 지역사회 대부분은 땔감, 목재, 물 등의 자원이 부족했습니다. 제가 자란 곳도 그렇고, 저도 가족과 지역사회가 직면한 온갖 고난을 겪었습니다. 이런 자원 부족에 더하여 농촌 주민의 생활을 괴롭힌 것은 토양침식으로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메마른 땅이 되는 일이었습니다. 이것이 낮은 수확과 가난한 경제에 원인이었습니다. 그래서 1950년대부터 근대농업에 거스르는 움직임이 도입되었습니다.”


1980년대 사회·정치가 어지럽던 과테말라에서 오악사카주로 과테말라의 농민들이 난민이 되어 도망을 왔다. 그들은 10년 전부터 유기농법과 현지의 지식에 뿌리를 둔 농업 생산 체계를 개발한 상태였다.


“토양을 보전하며 수확량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던 농민들이 국내의 위기 때문에 과테말라를 떠났습니다. 그리고 1983년 멕시코에 있는 조직이 그들을 초대하여 그 무리가 우리를 찾아왔습니다. 그들이 우리의 문제를 지적해 주었지요. 심각한 토양침식을 줄이고자 도랑을 파고 나무를 심었습니다. 그들은 과테말라에서 개발된 농법으로 사람들을 훈련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도 그 훈련을 받은 한 사람입니다. 저는 무엇을 해야 할지 이해하고 처음으로 그들의 조언을 받아들인 농민의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1984년 부모님의 토지에서 이 방법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 뒤 우리는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농업에 흥미를 가진 농민들과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믹스테카 농민 종합개발센터(CEDICAM= Centro de Desarrollo Integral Campesino de la Mixteca)를 세웠습니다.”



농민을 구한 고대 농법


종합개발센터의 목적은 토양침식이 된 상태를 회복하여 풍부하고 생산적인 토양으로 변화시키는 것이었는데, 헤수수 씨는 그 일을 도운 것이 바로 고대의 기술인 밀파였다고 한다. 헤수수 씨와 센터는 ‘밀파 체계(milpa system)’라고 불리는 종합적 농업 체계의 개발을 중시했다.


“우리를 구한 하나는 옥수수, 콩, 호박, 허브 등의 다양한 작물을 섞어짓기하는 ‘밀파’였습니다. 모든 작물이 같은 밭에서 자랍니다. 이는 우리의 선조가 쓰던 고대의 체계로, 메소아메리카 사람들이 당시 가장 고도의 농업을 육성하던 체계입니다. 그리고 지금도 멕시코와 중미의 많은 토착 지역사회에서 계속 쓰이고 있습니다. 양분을 다 써 버리는 일도 없고, 병해충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몇 년이나 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는 그 방법이 거의 잊혀져, 밭에 단 하나의 작물밖에 없는 단작 체계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선주민과 캠퍼시노의 지식이 근대 기술로 대체되어 화학비료와 외부의 지식에 크게 의존하도록 만들었고, 그것이 농촌 지역사회를 더욱 약하게 만들었습니다.”


헤수수 씨는 전통농법의 수확량이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멕시코 북부의 시나로아Sinaloa의 단작을 하는 밭에서는 기계와 화학 자재에 많은 돈을 투자하여 8t/㏊의 옥수수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밀파는 이것만큼 생살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요. 그렇지만 캠퍼시노의 가족과 그 가축에게 1.8t/㏊의 옥수수를 줍니다. 별로 투자하지도 않는데 풋거름과 토종만을 써서, 콩, 호박과 그 토지에 심은 것 무엇이든 얻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판매할 수 있는 여분도 있을 것입니다.

토종은 몇 세대나 식량을 제공하며 현지의 기후에 적응한 것입니다. 그런데도 그것을 재배하는 데 반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는 충분히 잘 알지 못하는 유전자조작 종자를 대체하고 싶습니다. 이는 농민만이 아니라 소비자도 불안하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는 이러한 토종을 생산하고 사용하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좋은 맛을 주는 것 말고도 문화, 전통, 고대의 선주민과 캠퍼시노의 지식을 살려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고대의 수로 농법을 부활시키다


멕시코에서는 내린 빗물의 약 80%가 지하로 스며들지 않고 그대로 흘러가 버린다. 이 과제를 해결하고자 헤수수 씨가 쓴 방법도 스페인 사람들이 오기 이전부터 관개용으로 쓰던 고대의 기술이었다.


60×60㎝의 비탈 수로는 잠재적으로 360ℓ/m의 물을 잡을 수 있다. 실제로 5㎞에서는 80만 ℓ의 집중 호우를 잡을 수 있는 것이 증명되었다. 도랑은 빗물의 80%를 잡고 수로의 물은 토양에 스며들어, 그 결과 지하수가 다시 풍부해졌다. 이 지식도 이미 사라졌던 것인데, 지금은 현지 기관과 환경자연자원청(SEMARNAT= Secretaría del Medio Ambiente y Recursos Naturales) 등의 정부 기관에 널리 받아들여져 추진되고 있다. 헤수수 씨와 종합개발센터는 지역에서 몇 백 개의 비탈 수로를 만들려고 지금 현지의 캠퍼시노들과 협동하고 있다.


“멕시코의 선주민에게는 지속가능한 체계를 개발하는 지식과 능력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함께 조직적으로 일하는 단체를 꾸린 테퀴오Tequio라고 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지역사회는 공익을 위하여 일했습니다. 이 방식으로 그들은 몇 천 그루의 나무를 심고, 몇 백 킬로미터의 관개용 수로를 건설하며, 환경을 개선해 왔습니다. 근대농법을 실시한 대다수는 선주민의 방식이 케케묵었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천은 자원을 조금만 쓰고 오염도 시키지 않는 농업을 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백 마디 말보다 한 번의 실천으로 사람들을 설득하다


하지만 헤수수 씨가 이 전통농법을 쓰도록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화학 자재에 바탕한 체계에서 자연의 체계로 전환하는 일은 복잡합니다. 우리는 비료를 쓰던 것을 단번에 멈출 수는 없습니다. 화학비료를 줄이고, 풋거름을 늘리며, 조금씩 그 일을 해 나아가야 합니다. 이는 단번에 생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토지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어떤 체계에서 다른 것으로 뿌리부터 개혁하라고 강요한다면, 생산량이 심각하게 떨어져 의기소침해질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개혁은 느긋하게 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나무가 자라는 데에는 몇 년이나 걸립니다. 예전에 누군가 ‘왜 곧바로 이용할 수 없는 것을 심는가?’라고 질문했습니다. 그래서 우리와 동료는 ‘우리가 오랜 세월 이용하는 자원의 대개는 성장하는 데 몇 년이나 걸리고, 미래세대를 위하여 그것을 심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멕시코와 세계 대부분의 마을은 우리와 비슷한 과제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파괴되어 버린 것을 재건하기 위한 시간은 아직 있지만, 지구온난화는 숲이 사라지는 것이 한 원인입니다. 그것이 지금 곧바로 시작해야 하는 까닭입니다. 우리는 다시 나무를 심어 숲을 되찾아야 합니다.

그렇지만 농민들을 설득하는 데에 정말로 도움이 된 것은,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를 포함해 몇 가족의 토지가 개선되는지를 눈으로 볼 때, 그들은 우리가 한 것을 흉내 내기 시작합니다. 경험이 퍼지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는 ‘천 마디 말보다 한 번의 사례가 설득한다’라는 구호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런 반은 사막 상태였던 땅을 주민과 미래세대가 오랫동안 함께할 수 있는 곳으로 조금씩 바꾸는 것입니다.”



미래로 넘길 유산


믹스테카 농민종합센터는 1989년 이래 아홉 군데의 지역사회에서 몇 백의 농민을 조직했다. 소나무와 다른 토종 나무를 다시 심기 시작하여, 엘 프로그레소El Progreso에서는 모든 지역사회의 80%가 참가하여 100㏊의 나빠진 토지를 회복하고, 엘 카르멘El Carmen에서는 11년 전부터 나무를 심기 시작하여 2003년 4만 그루, 2004년 7만 그루를 심었다. 과거 5년 동안 100만 그루 이상의 토종 나무를 심어 1000㏊가 숲으로 돌아왔다.


토양을 보전하고, 지하수를 다시 풍부하게 만들고자 언덕땅에는 등고선을 따라 도랑을 파고, 빗물로 파인 골짜기가 생기는 지역에는 흙을 막는 댐이 건설되었다. 또 몇 세대에서는 집에다 빗물을 모으기 위한 통도 마련했다. 통에는 건기에 쓰는 수량의 6배인 1,5000ℓ나 물을 모을 수 있다.


옥수수, 콩, 호박을 다시 옛날 방식으로 섞어짓기하여 옥수수를 단작하던 것이 다양화되고, 토종 옥수수가 보전·개량되며, 땅심을 좋게 하고자 현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부산물을 써서 지렁이똥을 포함해 유기 퇴비의 생산도 시작했다.


25년 이상에 걸친 헤수수 씨의 노력은 성공했다. 믿을 수 없는 사실인데, 지금 이 황폐했던 믹스테카의 현실은 크게 변했다. 지역의 25~30%밖에 경작할 수 없던 곳에서 지금은 토지의 80%를 경작하고 있다. 지역의 농업 생산은 50%나 올랐다. 이러한 개량의 모든 것이 믹스테카의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어 이주도 줄고 있다.


“지역사회의 환경을 개선하려고 싸운 것은 우리만이 아닙니다. 대다수의 사람이 여기에 참가했습니다. 지금 우리 믹스테카족은 의지, 기술, 지식이 있으면 파손된 천연자원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세계에 보였습니다.”


라틴아메리카 대부분의 지역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전망도 없는 채로 높은 수확을 올리려고 하여 대부분의 토지가 피폐해져 있다. 이 현상에 헤수수 씨는 이렇게 주장한다.


“우리는 자신의 일만 생각하지 말고 몇 세대 앞의 일을 생각해야 합니다. 미래세대에게는 이 혹성의 자원을 누릴 권리가 있습니다. 지구와 지구에 있는 것 모두를 파괴할 때, 우리는 우리의 아이와 자손들의 미래를 파괴하고 있는 것입니다. 경제적인 돈벌이는 좋은 것입니다만, 새로운 인생으로 이어지는 자연의 재산을 유산으로 남기는 편이 더 좋습니다.”


헤수수 씨는 2008년에 그 환경보호의 노력이 평가되어 골드만 환경보호상(Goldman Environmental Award)을 수상했다.

 

 

written by 吉田太郞, translated by 김서방

 

 

인용문헌

(1) Miguel A Altieri and Parviz Koohafkan, Enduring Farms: Climate Change, Smallholders and Traditional Farming Communities, Third World Network, 2008.

  (2) Paula Alvarado, 2008 Goldman Prize Winner Jesus Leon Santos on Bringing Desert Lands Back to Life, 26may.2008.

 (3) Jesús Ibarra, Ancient Farming Techniques to Save the Campo,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14Aug, 2009.

728x90
728x90

멕시코의 전통농업  ― 치남파Chinampa1)




도시를 먹이는 물위의 채소밭


인구 2000만의 거대도시 멕시코시티는 고대 아즈텍제국의 수도 테노크치틀란Tenochtitlan과 주변에 세워져 있다.) 테스코코Texcoco 호수의 섬 위에 테노치틀란이 세워진 것은 1325년인데, 그곳은 인구 20만이 사는 기술적으로 고도의 도시였다.


1521년 스페인 사람들이 멕시코에 건너왔는데, 그 나라의 탐험가 베르날 디아즈 델 카스티요Bernal Diaz del Castillo는 도시의 시장인 틀라텔로코Tlatelolco가 세비야의 2배나 되고, 6만 명 이상의 소비자와 상인이 흘러넘쳤다고 기록했다. 게다가 스페인 사람들이 건너왔던 시점에 대부분의 도시민은 농민이 아니었다. 그뿐만 아니라 멕시코 분지는 강우도 불규칙하고, 서리 피해도 발생하며, 땅심도 부족하여 농사짓는 데에는 제약도 많다. 고대 아즈텍제국은 어떻게 늘어나는 도시민을 먹여 이만큼 번영할 수 있었을까?

그 비밀은 치남파라고 불리는 인공의 ‘물위 채소밭’에 있다. 미시간대학의 제프리 파슨스Jeffrey Parsons에 따르면, 이 복잡하고 효율적으로 물을 대는 ‘도시농업’이 1년에 3모작으로 작물을 생산하여 도시가 소비하는 식량의 절반에서 2/3를 생산했다고 한다.


치남파는 멕시코 분지 안의 강을 수원으로 하는 남쪽의 담수호 소치밀코Xochimilco와 찰코Chalco 호수, 중앙부에 있는 테스코코 호수, 염분을 함유한 북쪽의 줌판고Zumpango와 살토칸Xaltocan 호수 등의 얕은 소택지에서 행해지던 고대 농법이다. 치남파의 생산성 수준은 아즈텍족이 소부족에서 강대한 부족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요인이다. 아르밀라Armillas(1971)는 치남파가 10만 명을 부양했다고 평가한다.

 

  

현재 이러한 호수나 소택지는 거의 물을 빼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치남파는 인기 있는 관광 명소 ‘소치밀코의 물위 채소밭’ 등 약 2300ha밖에 남지 않았다. 하지만 고고학 조사를 통해 스페인 사람들이 아즈텍을 찾았을 당시에는 멕시코 분지 안에 얕은 호수가 드넓게 있어, 그 광대한 2곳의 남쪽 호수 둘레의 2만ha가 치남파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밝혔다.


치남파 농업이 언제 탄생하여 어떻게 발전했는지는 거의 알 수 없다. 아즈텍 전기(1150~1350) 이전에는 확실하게 존재하지 않았지만, 아즈텍의 농업이 기원전 1400년 무렵에 시작되었다고 하는 연구자도 있다. 1세기의 고대 도시 테오티우아칸Teotihuacan은 25만 명의 인구를 품고 있었는데 그 식량을 제공한 것이 치남파였고, 똑같은 농법이 유카탄반도의 저지대, 수리남의 습지대, 페루와 볼리비아의 티티카카 호수에서도 발견되고 있기에 그 기원이 아즈텍족이 아닌 것만은 확실하다.


그러나 어쨌든 스페인 사람들이 건너오기 이전까지 멕시코에서는 소농들이 지속가능한 농업을 널리 행하고 있었다.



지속가능한 고등 집약농업으로 도시가 필요한 물자를 제공


치남파는 둘레의 습지와 얕은 호수에서 진흙을 퍼서 둘레의 물높이보다 0.5~0.7m 높이고, 너비 2.5~10m, 길이 20~40m, 가장 길게는 100m의 ‘인공 섬’을 쌓아 올려, 그 위에 섞어짓기를 행한 농법이다. 그리고 토루의 옆쪽에는 나뭇가지와 버드나무(아후에조테스)를 심어서 강하게 만들었다. 고고학과 민족지학의 자료를 통해, 치남파에서 어떠한 건설 기술이 쓰이고, 어떠한 농법이 이루어지며, 어떤 작물이 재배되었는지도 안다. 그럼 치남파 농법은 생태농업의 관점으로 보아 어떤 우수한 점이 있을까?

 

 

 

 

첫째는 높은 생산성이다. 평지에서 감자 수확량은 1~4t/ha, 옥수수는 2.6~4.0t/ha인데, 치남파에서는 8~14t/ha, 3.5~6.0t/ha로 수확량이 많아 15~20명/ha을 먹일 수 있었다. 높은 두둑 위에서는 옥수수·콩·호박·고추와 카사바·옥수수·콩·색비름을 섞어서 재배하는 동시에, 다양한 지피작물이나 과실나무(파파야, 멕시코 체리, 선인장)도 심고, 그린 토마토, 치아chia, 색비름, 차요티chayote, 칠라카요티chilacayote, 식용 허브(uauhzontli、quiltonil、quelite cenizo) 등 다양한 식물도 심었다. 소쿠리나 직물용으로 다양한 풀도 재배했다.


이러한 집약 재배를 가능하게 한 체계의 하나는 모판에 있었다. 농민은 미리 준비한 모판에 씨를 뿌리고, 그 뒤에 모종을 다른 밭으로 옮겨 심었다. 차피네스chapines라고 불린 뿌리내림이 좋아 선택된 건강한 모종을 아주심기하여, 앞그루 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다음 작물을 준비하여 한 해 동안 경작할 수 있었다.


둘째는 연속하여 농업을 행했지만 많은 양의 유기비료를 주어 땅심이 유지되었다는 점이다. 농민들은 둘레의 얕은 호수와 습지대의 수면보다 농지를 높이려고 식물이나 진흙층을 쌓아 올려 두터운 겉흙의 높은 두둑(amellones)을 구축했는데, 그 농지 위에서 생산된 농산물과 부산물을 먹이로 돼지, 닭, 집오리 등의 가축을 울타리 안에서 기르고, 그 외양간두엄으로는 높은 두둑에 거름으로 주었다. 그리고 유출된 가축 폐기물도 운하에서 붙들어 놓았다. 잔하스zanjas라고 불리는 운하와 둘레의 호수는 거대한 양분의 저수지로 기능하며, 호수에서 자란 수생 식물이 물속의 양분을 흡수·농축했다. 예를 들면, 물옥잠은 말린 것으로 최대 900㎏/ha·日이나 자랐다. 이러한 식물에 더해 운하나 호수 바닥에 고인 양분으로 비옥한 토양, 동식물의 분해물, 유기 부산물을 양분으로 하여, 정기적으로 순환시키거나 흙탕물을 관개용수로 써서 비교적 소량의 외양간두엄만으로도 땅심을 유지할 수 있었다.


현재 트락스칼라Tlaxcala주州에서 치남파로 조직된 농민들은 1~4년마다 1m 깊이의 운하를 파내고 있는데, 대략 질소가 1000㎏/ha, 인이 10㎏/ha, 칼륨이 120㎏/ha인 양분을 얻는다. 또 현재는 스페인 사람들이 가져온 자주개자리를 2~5년 재배하고 그 뒤에 옥수수를 재배하는데, 자주개자리는 1년에 30~300㎏/ha의 질소를 고정한다. 또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섬의 둘레에는 버드나무와 오리나무 등의 질소 고정 방사균과 Actinorhizae와 공생하는 나무도 심어서 그것까지 양분을 공급한다.


나무는 그늘을 만들고, 물고기와 물새의 생식 환경도 제공한다. 운하에는 양식(물고기, 아홀로틀)도 하고, 물새도 사육했다.


또한 아즈텍 시대에는 사람의 똥오줌도 활용했다. 도시에서 발생한 똥오줌을 순환시켜 테노크티틀란은 건강한 도시환경을 유지해 나아가고, 농민은 기본적인 식량을 끊임없이 자급할 수 있었다(Gliessman, 1998).


셋째는 병해가 적은 점이다. Lumsden et al.(1987)은 치남파의 토양과 차핑고Chapingo 근교에서 근대농업을 행하는 토양에서 기른 모종으로, 피시움속Pythium屬 균의 뿌리썩음병 발생 정도를 비교했다. 그런데 피시움 부패균(Pythium aphanidermatum <Edson> Fitzpatrick)을 접종했어도 치남파의 토양에서는 피해가 억제되었다. 유기물과 칼슘, 칼륨 외에 미네랄을 많이 함유한 치남파의 토양에서는 트리코델마균Trichoderma spp, 슈더머너스균Pseudomonas spp, 푸사리움균Fusarium spp 등의 저항균이 활발히 활동하여, 청경채 입고병균 등, 피시움속 균의 토양 전염성 병균이 억제된다.


치남파 토양의 기생 선충을 조사한 멕시코와 미국의 협동 연구도 있다(Zuckerman et al.). 치남파에서는 선충 피해가 적기 때문에 온실과 생육 상자에서 시험(growth chamber trials)해 차핑고의 토양과 비교한 바 역시 피해가 적었다. 그리고 선충 대항성이 있는 9종류의 유기체가 분리되었다. 높은 두둑의 병해 방제 효과를 보고한 사례는 적지만, 치남파는 병을 막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넷째는 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물이 넉넉하단 점이다. 치남파의 높은 두둑은 너비가 좁다. 또 지하수의 높이와 표층이 그다지 떨어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운하의 물이 모세관 현상으로 확실하게 침투되고, 뿌리 근처의 수분이 늘 유지된다. 또 가령 갈수기에 뿌리의 훨씬 밑으로 물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카누로 수로를 이동하여 운하에서 물을 댈 수 있다.


다섯째는 운하가 지표 부근의 미세한 기후를 조정하여, 밤에 기온이 떨어지고 서리가 발생하는 가능성을 낮춘다.


여섯째는 운하가 교통기관으로도 기능했다는 점이다. 생산물의 대부분을 운하를 통해 시장으로 쉽게 낼 수 있다.


이러한 치남파는 태양력의 계절과 아즈텍의 물의 신인 틀랄록Tlaloc이 결합된 양식으로 유지되었다.



근대농업에서 위기에 직면한 치남파 농법


지금도 치남파 농법은 멕시코시티 관엽식물의 45%를 생산하고 있다. 전통농법은 생산만이 아니라 관광산업의 기회도 창출하고 있다. 그렇지만 치남파 농법은 근대화에 따라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소농들은 교육을 받지 않아 질이 낮다는 좋지 않은 인식이 퍼져, 소농들이 신기술이나 기계화를 바라고, 전통농업을 계속해야 할 요인이 부족한 점, 그 복잡한 영농 방식이 시장 논리에서는 평가되지 않으며, 농업 정책과 보조금이 대규모·자본집약적인 단작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농법의 부활과 지역 재생


하지만 치남파 농법은 위험 요인을 줄이고, 높은 생산성으로 지속가능하게 많은 인구를 먹이는 소농들의 식량과 삶을 보장하며, 그 결과 빈곤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최근은 최소량의 투입 자재로 생산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치남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멕시코시티는 치남파 농법에서 활용된 것과 같은 방식의 배수 처리 체계를 구축하려고 한다. 침수지와 호수에 인접한 소택지를 활용한 치남파와 같은 방식의 높은 두둑 농업은 중국과 타이, 자바, 인도와 그밖에 온 세계의 전통농법에서도 볼 수 있는데, 기후 변동과 관련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고 농업 생물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면에서도 그 생태적 가치를 경제적으로 정확히 다시 평가할 필요가 있다.

 

 

 

 

written by 吉田太郞, translated by 김서방 

 


1) 치남파는 고대 중앙아메리카 농업의 소농이 쓰던 방법으로, 멕시코 벨리(Valley of Mexico)에서 작물을 기를 수 있는 얕은 호수 바닥 위 긴네모꼴 지역의 비옥한 농지이다.

 

 

인용문헌

 (1) Chinampa Agricultural System (Mexico), GIAHS, FAO.

 (2) Virginia Popper, Investigating Chinampa Farming, Cotsen Institute of Archaeology, Fall/Winter 2000.

 (3) Chinampas of Tenochtitlan,History of Urban Agriculture

 (4) Miguel A Altieri and Parviz Koohafkan, Enduring Farms: Climate Change, Smallholders and Traditional Farming Communities, Third World Network, 2008.

 (5) Thurston, H. David, Plant disease management practices of traditional farmers, Plant Disease 74:96-102, 1990.

 (6) International Ag-Sieve, Elevating Agriculture to Old Heights, Rodale Institute, Ancient Farming, Volume V, Number 3, 1993.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리비아의 전통농법  (0) 2010.07.19
온두라스의 전통농법 - 퀘숭얼Quesungual   (0) 2010.07.17
괴산 하산 지역 텃밭  (0) 2010.07.14
멕시코의 전통농법 1  (0) 2010.07.12
전통농업의 효율성  (0) 2010.07.12
728x90

멕시코의 전통농법 밀파Milpa1)·솔라solar 농법




세계에서 가장 앞선 농업 체계


‘세계에서 가장 발전한 농업 체계’라고 FAO가 절찬한 것이 바로 밀파Milpa라는 농법이다. 아마도 밀파는 지금까지 인류가 창조한 것 가운데에서도 가장 성공한 발명품의 하나일 것이다.2)


스페인 사람이 라틴아메리카에 새로운 식물이나 닭고기, 돼지, 양, 소 등의 가축을 들여왔는데, 밀파는 그 이전부터 멕시코나 중앙아메리카에서 행하던 전통농법이다. 캠퍼시노Campesino란 라틴아메리카의 자원이 모자란 농민을 표현하는 단어인데, 그 문화나 농업의 특성은 다양한 가축과 채소를 솔라solar라 불리는 텃밭과 함께 유지해 왔다는 점이다.3)


지금도 마야족의 농민은 좁은 밭에서 부대밭 농업을 행하면서, 이 밀파 농법으로 필요한 식량을 자급한다.4) 높은이랑이나 둑 위에서 사이짓기하는 작물의 김매기나 수확을 손으로 하기에 그런 면만 보면 원시적이다. 하지만 농약과 화학비료 없이도 수확량이 높다. 밀파의 옥수수밭에 필적할 만큼 생산적이고, 또 지속가능한 유기농업은 세계의 어느 곳에서도 거의 볼 수 없다.



지속가능한 생태계 관리로 농촌이 필요한 물자를 제공


그럼 밀파는 생태농업적으로 보아 어떤 점이 우수할까?


첫째는 옥수수의 단작 재배와 비교하여 2ha 이하의 좁은 면적으로도 다양한 식용작물을 재배하여 전체의 생산성을 높인다는 점이다. 밀파는 ‘세 자매’라고도 불리는 옥수수·리마콩·호박을 사이짓기하는 특징이 있다. 리마콩은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흰 강낭콩이다. 그리고 피망 등의 채소나 색비름(amaranth), 약초, 퀘리테스(명아주과)라고 불리는 식용 풀을 함께 기른다.


옥수수, 콩, 호박을 사이짓기하여 콩과 식물의 질소 고정 능력으로 자연히 땅심이 개선되기에 화학비료는 넣지 않는다. 게다가 부대밭 농법의 돌려짓기는 식생이 자연스레 갱신되듯이, 2년 재배에 8년을 묵히는 기간이나 식생의 2차 재생을 고려한다. 묵히는 기간을 짧게 줄이지 않고 이 돌려짓기가 이어지는 한, 이 체계는 꾸준히 지속될 수 있다.


둘째는 병충해에 강한 점이다. 다양한 작물을 사이짓기하는 것으로 병충해의 생물적 방제력을 높여, 농약은 최저한도만 쓴다.


셋째는 지구온난화의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밀파에서 생산된 옥수수의 부산물이나 풀을 가금류나 소에게 먹이는데, 이를 사료로 주기에 제초제가 쓸데없다. 그런데 근대적인 사육우에서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나 메탄가스가 발생한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Drymaria laxiflora Benth와 같은 풀은 소의 세포내강 안에서 사료의 발효 효율을 높여 이산화탄소나 메탄가스의 발생을 줄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넷째는 양질의 식재료를 자급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가축류는 싼값으로 고품질의 단백질인 달걀이나 우유를 제공하고, 밀파로 재배한 작물은 영양학으로 보아도 균형 잡힌 좋은 음식이다. 단백질이나 니아신을 합성하는 데에는 아미노산의 리신이나 트로톱판을 빠뜨릴 수 없는데, 옥수수는 이를 결핍하고 있다. 그런데 콩에는 리신이나 트로톱판이 함유되어 있고, 호박은 비타민을 제공한다.


다섯째는 밀파가 자급용 식량이나 사료작물만이 아니라, 건설자재, 땔감, 양봉용 2차 식생이나 수렵하는 동물과, 농촌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자재를 종합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이다. 밀파에서는 긴 휴한기가 있는데, 그 휴한지가 들새나 작은 포유류의 서식지가 되어 생물다양성을 보전함과 동시에 전통적인 숲 관리와 함께 자급용 수렵에 좋은 생태계를 만든다.



2만 종의 옥수수를 보전


생태계만이 아니다. 밀파 농법은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에서도 농약이나 화학비료, 개량 품종을 쓰는 근대농업의 농지와 비교하여 매우 풍부하다. 예를 들면, 대개 옥수수는 15품종, 콩은 5품종, 호박은 3품종, 그리고 피망도 6품종 이상을 재배한다.


멕시코나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옥수수의 품종이 2만 이상이며, 멕시코 남부와 중앙부에서만도 약 5000종이 특정되어 있다. 오악사카Oaxaca의 어느 마을에서 연구자들은 17개의 다른 미환경微環境을 특정했는데, 거기에서는 26종의 옥수수가 재배되고 있었다.


캠퍼시노는 그 텃밭인 밀파·솔라가 자신의 생활을 성립시키는 자원이며, 민족의 정체성의 일부이기 때문에 신에게 기원하며 감사해 왔다. 하지만 솔라는 생활의 장인 동시에 재미와 품종의 원산지, 실험의 장이었다. 캠퍼시노는 오랜 시간에 걸쳐 종자 선발이나 교환을 통해 고원의 저온 조건에서도 농업이 행해지는 품종을 포함하여, 고도나 토양 유형과 강우와 같은 환경의 차이에 대응하고자 근대적인 하이브리드 품종이나 GMO보다도 훨씬 건강하고 병충해에 강한 다양한 토종을 육종해 왔다.


옥수수의 고대 원종이라 하는 것은 멕시코부터 과테말라에 걸쳐서 자생하던 테오신트Teosinte인데, 이것도 몇 세기나 밀파를 통하여 캠퍼시노가 보전하여 왔다. 근대농업에서는 유전자원의 다양성을 잃어버렸지만, 밀파에서는 그것을 지키고 있다. 곧 멕시코는 인종에서도, 식물 유전자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보고인데, 밀파는 세계에서 귀중한 유전자원을 보존하여 온 농법임을 알 수 있다.



근대농업으로 위기에 직면한 밀파 농법


하지만 지금 밀파 농법은 위기에 방치되어 있다. 멕시코 정부는 과거 30년에 걸쳐 화학비료나 농약, 개량 품종 등 녹색혁명 기술에 따른 옥수수의 단작과 푸에블라 계획(Plan Puebla)을 추진했다. 멕시코 정부의 농업보조금(PROCAMPO)은 충분하지 않지만, 그것조차도 옥수수를 단작으로 재배하는 농민에게만 준다. 그뿐만 아니라 멕시코에 도입된 근대농업이 가져온 결과는 참담하다.


화학비료를 지나치게 주어 토양이 산성화되고, 지하수가 오염되었다. 제초제를 뿌려 콩이나 호박이 영향을 받고, 식용 풀도 말라 버렸다. 농약의 뿌려서 이전에는 풍부했던 매쿼이maguey 벌레, 물고기나 민물새우 등의 식용 곤충도 죽어 버렸다. 그리고 부시, 클린턴, 오바마 정권이 몬산토 사의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멕시코가 활용하도록 압력을 넣어, 토종 옥수수를 오염시키고 있다.


현지의 환경 조건에 맞지 않는 다수확 옥수수 품종의 단작이 진행된 결과, 작물의 수확량이 떨어져 생산비가 폭등하여 수입이 줄었다. 그리고 지구화에 따른 옥수수 값의 하락이나 보조금 삭감도 농민에게는 큰 상처가 되었다. 지금 멕시코의 농촌에 사는 1200만의 선주민들의 93%가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남성은 농가외소득을 구하러 돈을 벌러 나가야만 하여 몇 백 만의 멕시코인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농촌에 남은 사람은 여성이나 아이, 노인뿐이고, 지금은 그들이 농사짓고 있다. 하지만 노동력이 줄면 전통 기술도 유지할 수 없다. 밀파 농법과 관련한 식물 품종의 지식도 잃어 가고 있다. 지금 멕시코는 옥수수를 자급할 수 없어 때로는 대량의 옥수수를 필요 이상으로 미국에서 수입해야만 한다. 밀파의 다양함으로 풍족하면서 영양적으로도 균형 잡힌 식사를 하던 것도 수입 옥수수나 정크푸드를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 변했다.



전통농법의 부활과 지역 재생


그러나 밀파 농법을 다시 도입하여 옥수수의 단작으로 고갈된 토양을 수복하고, 더욱이 지속가능하게 환경에 우수한 농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 밀파에서는 홍수의 위험을 줄이고, 수질을 개선하며, 토양침식을 막고, 기후를 제어하는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똑같은 상황에 놓인 세계의 다른 지역의 사례도 된다. 그리고 밀파 농법으로 얻은 교훈은 현지의 입지조건에 알맞은 기술이 개발될 경우에만 캠퍼시노가 농업을 계속할 유인책을 갖고, 토종의 유전적인 다양성을 지속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지의 전통적인 지혜를 보전하고, 캠퍼시노가 자신의 유전자원을 관리하고, 지역 자급을 해 나가기 위해서도 전통적인 밀파를 부활시키는 데에 희망이 있다.

 

 

written by Yoshida Taro, translated by 김서방

 


1) 중앙아메리카에서 쓰던 작부체계. 유카탄반도 지역의 멕시코에서 가장 널리 형성되었다. 그 단어 밀파milpa는 멕시코어로 ‘들판’이란 뜻이고, 나와틀어의 ‘들판으로(milli<field>+pa<towards>)’라는 구에서 유래했다. 고대 마야인과 중앙아메리카인들의 경작 방법에 기반한 밀파 농사는 옥수수, 콩, 리마콩, 호박(squash)을 생산했다. 밀파의 주기는 농사를 짓는 2년과 묵히는 8년이다.

2)  Alexis Baden-Mayer & Ronnie Cummins, Thank Indigenous People for the Food We Eat, The Milpa Agroecosystem and Its 20,000 Varieties of Corn,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 Nov26, 2009.

3) Milpa-Solar Systems (Mexico), GIAHS, FAO.

4) "Milpa" Agroecosystems in Yucatan, Mexico, Agroecology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멕시코의 전통농업 ― 치남파Chinampa  (0) 2010.07.15
괴산 하산 지역 텃밭  (0) 2010.07.14
전통농업의 효율성  (0) 2010.07.12
정치운동이 되어 가는 생태농업  (0) 2010.07.11
논과 관련된 사진들...  (0) 2010.05.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