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ustainable Tillage - Beech Grove Farm, Trout Run, PA - University of Vermont Extension 2007 - - University of Vermont Center for Sustainable Agriculture. http://uvm.edu/~susagctr/ Uploaded with permission. Noncommercial use only. Eric and Anne Nordell, Beech Grove Farm, Trout Run PA *Ridge Till and Cover Crops. Vegetable Farmers and their Sustainable Tillage Practices. A 45-minute educational video featuring 9 farms in 4 northeastern states. Produced by: Vern Grubinger, University of Vermont Extension. With funding from: Northeast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Education (SARE) Program, U.S.D.A.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 감추어진 자원  (0) 2012.12.07
유기농업을 위한 풀 관리법  (0) 2012.12.02
농업과 녹색경제  (0) 2012.12.01
공장형 축산을 멈춰요  (0) 2012.11.29
다양성의 씨앗  (0) 2012.11.29
728x90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량투기  (0) 2012.08.07
식량계획 세대  (0) 2012.08.07
말라위에서 확산되는 보존농업  (0) 2012.08.07
햄버거에 감추어진 비용  (0) 2012.08.03
2012년 미국 농업법과 GMO  (0) 2012.07.25
728x90


Even though local traditional knowledge is the basis for many local-level decisions in rural communities, it is rarely considered in the design of modern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Photo: N. Palmer (CIAT)


By Marta Rivera-Ferre, Di Masso, Mailhos, López-i-Gelats, Gallar, Vara, and Cuellar



Local traditional knowledge (LTK) refers to institutionalized local knowledge, the know-how accumulated across generations, guiding human societies in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environment. LTK is the basis for local-level decision-making in many rural communities and ensures the well-being of people through its multipurpose functions, including food security. However, LTK is rarely considered in the design of modern climate change (CC) adapta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Adaptation is about changing policies, behaviour or infrastructures, and thus, depends on cultural factors, institutions or social networks. Incorporating LTK can be of great interest to develop such strategies in conjunction with local people. A study was performed focused on the most common LTK strategies for agriculture (LTKA) found in the IGP region and its potential capacity to CC adaptation and food security.





Farmer's fields with tree boundaries in Orissa, India (photo credit: Pade and Akkerman)







The study shows that LTKA is efficient at enhancing food security in climate variable conditions, due to: (i) its enormous ability to provide high-quality information of the reality as a complex socio-ecological system in which all components are interrelated; (ii) its high capacity to enhance resilience in the long-term and under changing conditions, since it is the product of centuries of coevolution of the community with their environment, it has been largely tested, and has demonstrated its capacity of guaranteeing the livelihood of the community; and (iii) its enormous aptitude for learning, due to a horizontal distribution of knowledge among all members, which makes it more effective and guarantees larger social justice. Adaptation strategies based on LTKA are fundamentally based on three principles: risk aversion, shared risk, and resilience. In many occasions farmers consider reducing risk from droughts and floods to be more important than maximizing production to ensure food security. Flexibility, diversity and solidarity are three common characteristics of most of the practices revised.

The strategies found in the IGP to ensure food security and adapt to CC allow addressing situations such as water scarcity, decreased crop productivity, desertification or increased livestock diseases and mortality. They aim at minimizing crop/animal failures and include strategies related to water management (sophisticated forms of water harvesting and recycling, local irrigation systems), soil fertility (application of manures and compost, cropping patterns), soil erosion (terraces, agroforestry), livestock management (mobility, diversity of breeds/species, social collaboration), pest and disease control (weeding, biological or mechanical control), as well as food security (food storage or changes in crops and varieties) or weather forecasting. These practices are not used in isolation; they are part of a community strategy of survival in which the role played by traditional institutions is crucial. For instance, in Jharkhand, indigenous cultivation practices identified included 10 for soil management, 3 for weed management, 2 as plant protection measures, 6 for management of seed, and 5 for post harvest activities. However, there is increasing threat of erosion of this knowledge. Some socio-economic drivers identified included processes of modernization (replacement of knowledge, resources and people); the operationalization of top-down policy-making that neglects traditional institutions and customary practices; breaking knowledge transfer; land conversion for non-agricultural uses; and social changes (migrations, rising population, urbanisation, increasing integration in the market econom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valuation of traditional systems and recovery of LTKA can become an effective tool to keep resilient agricultural systems which have been designed by rural communities. Efforts to study, research, document and promote LTKA should consider local strategies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groecosystem management as well as social processes. In addition, a deliberation between LTKA and formal/scientific knowledge is needed to establish partnerships on climate change.



Nirwalu in Mulkhow to divide water in equal portions for two downstream users (photo credit: ICIMOD)




More information

Read more about Climate Change,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work in South Asia.

Sign up to receive the e-newsletter from the Climate-Smart Agriculture Learning Platform for South Asia.


This blog post was written by Marta G. Rivera-Ferre, Di Masso, M., Mailhos, M. López-i-Gelats from the Center for Agro-food Economy and Development-CREDA-UPC-IRTA (Spain), and F., Gallar, D., Vara, I., Cuellar, M., from the Institute of Sociology and Peasant Studies. University of Cordoba (Spain).


728x90
728x90


Farmer in Nicaragua sprays crops during the dry season

In our RIO+20 Call-to-action, CGIAR called for "adopting cross-sectoral approaches which facilitate broader partnerships, coordinated regulatory frameworks and appropriate economic incentives. We need the vision and courage to transcend conventional sectoral approaches and apply integrated thinking to the management of agriculture, aquaculture, livestock, forests and water."

We wanted to find out more, and talked to Stephen Hall (Director General,WorldFish Center), Papa Seck (Director General, Africa Rice Center), Tony Simons (Director General, World Agroforestry Centre), Alain Vidal (Director, Challenge Program on Water and Food – CPWF), Amy Duchelle (Research Fellow, Center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 CIFOR) and from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 IITA), we have Peter Neuenschwander (Scientist Emeritus) and Piet van Asten (Systems Agronomist)

Can you give me examples why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can’t be approached as a single sector?

Papa Seck: Sound sustainable agriculture policies can help move agriculture toward a more environment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sustainable future.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strengthening Africa’s overall policy development capacity.

Stephen Hall: A good example is Lake Chilwa in Malawi, where fisheries production is highly dependent on changes in the surrounding watershed. Because of this, work to improve livelihoods in fishing communities also requires addressing land use changes sparked by agriculture and forestry upstream, as well as urban wastewater management.

Tony Simons: Agriculture continues to clear land and plant huge swathes of food crops. About 140 million hectares of forest and woodland have been lost worldwide since 1990 alone. If you only look within the agricultural sector, you will not see that trees play a fundamental role in almost all the earth’s ecosystems and provide a range of benefits to rural and urban people. Landscapes without trees can quickly erode. As natural vegetation is cleared for agriculture and other types of development, trees need to be integrated into agriculturally productive landscapes.

Piet van Asten: Even within agriculture itself, we can have individual, isolated sectoral approaches. In Burundi, for instance, coffee trade, production, and research are all focused on single or mono-crop production units. “Coffee is all that matters”. Until recently, there was no research to develop robust and productive intercrop systems.

Peter Neuenschwander: Often agriculture, economy and ecology are interlinked. For example, reducing the pressure of exotic floating water weeds benefits the traffic of goods to markets, patients to hospitals and access to agricultural land, improves water flow, and helps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level of control is influenced by eutrophization caused by run-off of nutrients from agricultural land and sewage from cities, which can both be reduced by the preservation of fringing forests, which also allow punctual access to water for cattle.

Alain Vidal: The Mekong basin is a good example illustrating the need for cross-sectoral approaches on a macro scale. In the Mekong, hydropower dams are also supposed to provide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Often, reservoirs levels are kept high to ensure electricity can be delivered at a moment's notice during peak periods. Flushing can occur quite quickly, often causing floods. 
When this happened on the Mekong last year, more than half a million people in ten countries were affected. The floods damaged over 64,000 hectares of farmland. Much of this was caused by a lack of planning and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of different users other than electricity. So better inter-sectoral planning is needed. But water is not only used for hydropower, agriculture and fisheries, but also for drinking and sanitation. These sectors have different ministries, rarely linked or coordinated.

Stephen Hall: The Mekong is actually an excellent example to illustrate the need for cross-sectoral approaches: In Vietnam’s Mekong delta, coastal shrimp farms expanded rapidly in response to global market demand and policy incentives from national government aimed at increasing export revenue. But many operations proved environmentally destructive, removing mangroves that provided critical fish habitat and buffered against storm waters. Without adequate measures to protect water quality and control disease, these intensive operations are subject to a cycle of boom and bust.

Alain Vidal: And particularly in Vietnam, there is a fear that the Laotian dam building efforts would reduce the sediment flows in the river. In the Mekong Delta, this could bring more saltwater into farmlands, which would be devastating for the agriculture in that region.

How do you try to break the isolated sectoral approaches?

Stephen Hall: In the Mekong example: by providing tools for a more integrated, landscape-level approach that considers the multiple benefits of, interdependencies between and risks to fisheries, aquaculture and agriculture production systems. A partnership under the Challenge Program for Water and Food -involving IWMI, IRRI and WorldFish- is a good example of how such an approach can help decision makers to manage these issues more effectively.

Alain Vidal: We try to influence policies to manage water resources at the basin scale, rather than by country or by sector. Fragmentation can cause conflict and unfair policies, while at the basin scale, policies can be oriented to accommodate competing interests.

Peter Neuenschwander: In IITA, biological control needs close collaboration among the government ministries concerning agriculture,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For inter-ministerial links to work well, we often created country-wide committees responsible for biological control.

Piet van Asten: And just like many CGIAR centers and research programs, IITA works with national research partners for local science activities, local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partners for scaling out to farmers, and local authorities to influence policies.

Amy Duchelle: Indeed, we saw the same in CIFOR's Global Comparative Study on REDD: our main partners are sub-national REDD+ project developers; including government agencies, NGOs, foundations, and private companies. NGOs may be more efficient in terms of project design and implementation, but they rely on collaborations with government agencies to be able to implement REDD+ intervention mechanisms that include land tenure regularization for instance.

Papa Seck: AfricaRice is rather unique in this: As an intergovernmental association of African States, we facilitate more effective policy dialogue in the continent through our Council of Ministers and the National Experts Committee. These are excellent mechanisms to influence agricultural policy and create a more conducive environme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frica’s rice sector.

Tony Simons: Picking up on what Amy said: there is a role as well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the area of agroforestry, companies have seen that adding trees to agriculture can be highly profitable, producing valuable fruit, rubber, oil, medicinal and energy products, and even commodities such as coffee, rubber and coco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provide increased yields and greater returns for both the farmers and corporate actors. Enlightened multinational, national and local companies have realized the new opportunities.

Where have you seen practical, measurable impact of cross-sectoral work?

Tony Simons: Continuing in the area of agroforestry? Let’s take Niger: Following reforms to the forest code in Niger, farmers have again been cultivating trees and the country has seen a tremendous increase in tree cover on over 5 million hectares in the past 20 years. 
In Senegal, in the Niayes coastal stretch north of Dakar, planting strips of Casuarina stopped the movement of sand dunes and allowed market gardening to thrive. Fertilizer trees that capture nitrogen from the atmosphere and transfer it to the soil provide a low cost way for farmers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boosts crop yields.
In Malawi, Zambia, Kenya, Tanzania, Niger, Burkina Faso and other countries in sub-Saharan Africa, fertilizer trees are doubling and tripling average maize yields.

Peter NeuenschwanderBiological control programs against cassava mealybug, mango mealybug, water hyacinth and water lettuce, water fern, several cowpea pests, maize stemborers all involved several sections in the administrational and educational structure of the concerned countries in collaboration with different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s. 
These programs were generally seen as having been successful, providing a reduction in the overall infestation level and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local collaborators for the benefit of future programs. 
IITA’s biocontrol program against cassava mealybug, for instance, has greatly increased farmers’ productivity and generated savings valued at between US$15.6 and $27.8 billion in 2004. The institute’s biocontrol of another pest, green mite, that had destroyed 30 to 40% of the cassava crop, has saved the ECOWAS region an estimated $1.7 billion over the last 18 years.

Papa Seck: For the government policies recommended by AfricaRice, the domestic rice production responses were remarkable in several countries in Africa, particularly in West Africa where paddy production increased consecutively by 26.9% in 2008, 5.3% in 2009 and 9.7% in 2010.

Alain Vidal: In the area of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an example of the Machángara river basin, one of Ecuador’s most important watersheds. 
Before 1998, there were considerable problems with natural resource management. Each sector planned according to its own needs and not that of the basin overall. More than thirty-two conflicts were recorded. A Basin Council was established in 1998 to improve coordination. one key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increase the measured improved access to the water source in urban areas: from 82% in 1990 to 97% in 2004. In the same urban areas, access to sanitation went up from 77% in 1990 to 94% in 2004. In addition, upstream communities, among the poorest and most marginalized in the Andes, have been provided with incentives and support in managing the upper paramos or grasslands.

Tony, what would be your concluding recommendations?

Tony Simons: A new way of doing business that integrates agriculture, livestock, forests, trees and water, and the sectors connected to each, is essential if we are going to meet the demands for food and energy tomorrow. And in 2030 when urban populations become the majority in developing countries or by 2050 when we expect 10 billion mouths to feed...
Governments can play a key role in guaranteeing food security by making use of evidence-based knowledge that spans across individual sectors. Governments need to be aware of the scientific knowledge that exists and they also need to understand it. They need to know how the knowledge applies in terms of national and regional priorities.

CGIAR is a global partnership that unites organizations engaged in research for a food secure future. CGIAR research is dedicated to reducing rural poverty, improving human health and nutrition, and ensuring more sustainabl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t is carried out by the 15 centers who are members of the CGIAR Consortium in close collaboration with hundreds of partner organizations, academia and the private sector.

Read more about CGIAR’s participation at RIO+20

With thanks to Fiona Chandler, Katherine Lopez, Savitri Mohapatra, Michael Victor, Paul Stapleton and Dan Cooney. 
Picture courtesy Neil Palmer (CIAT)

728x90
728x90

그린피스에서 강조하는 바가 나의 생각과 같네. 그린피스, 좋아하지 않을 수가 없단 말이여. 





‘그가 좋아하는 음식을 해주는 것이 사랑을 받는 지름길이다’라는 반어적인 옛 속담이 있다. 그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적 진실이 있다: 사람들은 잘 먹고 영양이 풍부하게 해주면 생활에 더욱 만족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형 농기업에게 이러한 오래된 격언이 근본적으로 뒤집히고 있다. 이들 기업은 현재 자사의 제품이 세계를 먹여살린다고 -또는 적어도 그들을 살 수 있게 한다고 사람들을 설득하고자 대규모 홍보 전쟁을 치르고 있다. 농기업은 사람의 위를 만족시켜서 전 세계의 정치인과 소비자들을 사로잡고자 한다. 

현재 이런 위선적인 홍보가 아프리카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이 없다.  

2007~2008년의 식량위기 이후, 세게적 농기업들은 아프리카의 기아를 끝내는 해결책으로 자신의 생산기술을 선전하는 데에 더 힘을 쏟았다. 기본 전제는 '지속가능성의 강화'라는 가면을 쓰고 구체적으로 소규모 식량 생산자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정책과 투자 프로그램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들이 지속가능성의 강화와 함께 조장하고 있는 건 실제로는 그들의 제품을 대륙 전체에 판매하려는 것이다: 그건 특허받은 종자 품종(유전자조작 작물을 포함하여)과 농화학제품.

아프리카의 소농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신젠타 재단의 보고서에서 이를 살펴보자: “아프리카의 생산성 성장의 낮은 수준과 침체는 관개, 화학비료, 개량종 작물의 사용이 제한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아프리카 ‘녹색혁명’의 부재.”

흠. 게다가 종자회사 Pioneer에서는 이런다: “세계 농민의 약 1/3인 4억5000만 명이 새로운 녹색혁명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수동 농기구와 화학비료나 현대의 투입재를 적게 또는 전혀 쓸 수 없는 어떤 지역에서는 선진국에서 농민들이 생산하는 양의 단 20%만 수확하고 있다.”

그래서 무엇이 문제인가? 아프리카의 소농이 낮은 생산성과 개선된 기술과 생산방법에 제대로 접근할 수 없어 고통을 받고 있다는 건 의심할 나위 없는 사실이다. 문제는 그들이 조장하는 게 첨단기술, 고투입, 고비용 모델이라 아프리카의 대부분에게, 그리고 전 세계의 소농에게는 사실 그리 적절한 방법이 아니라는 점이다. 농업의 강화를 추진하고 수십 년 뒤, 더 많은 사람들이 예전보다 굶주리게 되었다. 국제 NGO 단체인 GRAIN에서 지적했다: “식량체계에 대한 농기업의 통제가 확대되고 20년 이후 더 많은 기아가 발생했다r –20년 전보다 2억 명이 더 굶주리게 되었다. 그들은 생계를 파괴했다 –오늘날 8억의 소농과 농업노동자가 충분한 음식을 먹지 못한다.”

우린 특허받은 개량종과 결합된 화학비료와 농약의 집약적 사용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비싸며 사회적 불평등을 악화시킨다고 믿는다.

걱정스럽게도 수십억 달러에 이르는 농기업의 로비가 작용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의 강화는 현재 주요한 기부기관, 다자적 개발은행, 대형 자선재단만이 아니라 국제적 공공 작물연구기관 등 모든 범위에 뻗쳐 있다. 지속가능성의 강화란 용어는 6월에 열릴  리오 +20 Earth Summit협정 초안에도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의 농업은 앞으로 심각해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 악화될 것이다. 의심의 여지 없이 소농은 그에 적응해야 하지만, 농기업의 해결책은 황금 조리법보다 오히려 실패했음이 입증되었다. 해결책은 지역에 적응된 농법과 훈련 및 생태적 농법의 개선에 달려 있다. 그래서 만약 지속가능성의 강화가 거짓된 해결책을 표현한다면, 여전히 질문이 남아 있다: 어떻게 아프리카 농업이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

이번 주 잠비아에서 고무적인 회담이 열려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 걸친 공동체의 생계와 식량안보, 지속가능성이란 과제를 충족시키는 유기농업과 생태농업의 다양한 성공 사례를 강조했다. 우린 이 회담에서 강조한 사례와 국가의 농림부, 국제기관, 기부자, 재단, 사적 부문의 투자를 늘려 지원을 해 나아가야 한다고 지적한 그와 비슷한 사례들 을 믿는다.

지속가능성의 증대란 용어는 근본적으로 녹색이란 가면 아래에서 해결책으로 자신들의 제품을 시판하고, 예전과 똑같은 화학물질 재포장하려는 농기업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 문제의 대부분은 그들의 책임 때문이었다.

하지만 아프리카와 세계 여러 곳의 많은 농민단체와 농촌개발조직이 깨달은 바는 농생태학적 강화를 지원하는 투자로 거대한 전환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우리가 지원하고 있는 활동을 계속하려고 하는 것이 전망이다.

그린피스가 제안하는 생태적 해결책에 관해 더 알고 싶다면.

Julian Oram 박사: 그린피스 인터내셔날의 지속가능한 농업 수석 정치고문


728x90
728x90

Farmers in Mozambique provide a viable alternative to the Green Revolution.


Earlier this month as the U.N.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osting one of the last meetings to bring out a final draft for the negotiations in Rio de Janeiro, I came across a flurry of reports issued by various entities, including the one by U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UNDESA), entitle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SD21) Report for Rio+20, which will serve as a roadmap during the Rio+20 conference this June. (In all fairness, I should mention that IATP contributed to the component of this report entitled, “Food and Agriculture: The future of sustainability.”) While all of these reports focus on sustainability, the call for sustainability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worth our attention for the simple reason that it is where one of the most crucial fights for world’s resources is taking place.

The call for suppor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has traditionally been raised by small farmers, peasants, pastoralists and fisher folks. For them it has implicitly been a way of life for generations. Now they articulate the demand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context of food sovereignty, a concept that was brought by civil society groups to the World Food Summit in 1996. Many of those organizations have come to define that intersection as agroecology, which respects the rights of communities, as well as integrates the roles of different elements of nature in the system. Defined thus, it has since been taken up by NGOs working for the protection of biodiversity, those working for right to water, climate justice, and even those working for animal welfare.

On the other hand, "sustainable agriculture" has increasingly come to be used also in a far more limited, and even contradictory sense, by the World Bank and other organizations focused more narrowly on increasing agricultural production. This is especially so as the negative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s of the late-twentieth century Green Revolution in agriculture became evident. More generally, Issues around sustainability and resource use efficiency have also become ever more pressing as the world’s natural resources— the base on which world economic growth depends — gets depleted and/or deteriorated.

The renewed efforts by the World Bank to increase investments in agriculture, as well as initiatives such as Alliance for a New Green Revolution for Africa (AGRA) [which was launched by Gates Foundation along with Rockefeller Foundation, which funded the initial green revolution] to support small farmers to achieve food security through modernization of their agricultural practices is a response to these concerns around sustainability that stem from a growth perspective.

These two distinct calls for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are thus informed by two very differing worldviews.

One stems from people’s desire to control their destiny, and protect the natural resource base that is their home. The other is informed by the desire to ensure continued access to natural resources so that those in authority can minimally take care of the basic needs of the poor as they make sure that they can make a profit in the process. At stake here are two different visions of control over the commons.

Several recent reports published in the context of Rio+20 seem to take different routes to deal with these two very different ways of calling for sustainability. Many seem keen to minim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Montpellier Panel Report brought out by Agriculture for Impact, an independent advocacy initiative supported by 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 is an example of this. Published in March 2012 with an eye to influencing the debates in G-8, G-20 and Rio+20, the report is portrayed by media as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a complex range of issues facing agricultural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 In their recommendations on how to combine growth with resilience in sub-Saharan African agriculture, the report advocates strategies such as sustainable intensification and climate smart agriculture. These approaches in agriculture are considered sustainable by international agricultural initiatives such as AGRA, and by the World Bank and other advocates, but it also includes modern bio-technology (such as genetic engineering) as one of the technological options, considered unsustainable many civil society groups working with small farmers, and identified as problematic by the IAASTDreport. 

In suggesting that “agro-ecology and modern breeding methods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e authors of the report end up robbing agroecology of its history and its purpose. If used in this manner, the term agroecology (like sustainable agriculture) will be rendered meaningless, divorced from the politics of food, farmers and the environment. Global summits like Rio+20 matter in large part because they set the terms of the discourse at the international level. While the UN agencies leading the official talks may push for inclusive approaches that start to blur those lines, the People’s Summit—which I'll be attending—includes strong voices from farmers and social movements around the world who will defend the rich use of the term agroecology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at flow from it. 


728x90
728x90

런던— 농부의 석유 의존도를 줄이기는 기후변화와 연료 가격 상승에 직면하여 세계의 팽창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는 데에 핵심이 될 것이라고 유엔 특별보고관이 말했다. 

21세기 세계를 먹여 살리는 것에 대한 그의 보고서를 발표하는 데 맞추어 행한 인터뷰에서 올리비에 드 슈터Olivier De Schutter 씨는 자연적인 생산기술을 촉진하는 것이 미래의 위기를 지키고 석유와 직결되는 식량 가격의 상승을 멈추는 유일하게 지속가능한 방식이라고 말한다.

"우린 값싼 석유의 공급이 끊기지 않을 것이란 가정에 따라 1920년대에 우리의 농법을 설정했다"고 그는 말한다. "현재 우린 비싼 석유와 가스 및 수확량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이 우리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 직면했다."

"화석 에너지에 덜 의존적인 농업을 개발하는 것이 훨씬 더 유망하다. 개발도상국에서 우린 공업형 농업의 단계를 뛰어넘어 화석연료에 덜 의존하며 생산하는 방식을 찾아야만 한다."

세계은행의 추정에 따르면, 세계를 먹여 살리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개발하는 것은 지난해 세계의 식량가격이 사상 최고를 기록하여 추가로 4400만 명을 빈곤하게 만든 만큼 점점 더 긴급해지고 있다. 

2007~2008년의 광범위한 불안정과 유사한 위기에 대한 공포가 중동의 폭력사태로 29개월 전 석유 가격이 폭등한 것과 맞물려 커지고 있다. 

"이번 시기에 추동하는 요인이 아니었던 석유라는 요인이 2008년에 있었던 것과 같은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식량농업기구의 수석 경제학자 Abdolreza Abbassian 씨는 말한다.

Associated Press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member Abdolreza Abbassian.

4년 만의 두 번째 가격 폭등이 국제 의제의 정점에 식량안보를 추진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당면한 원인이 2010년 세계의 수확이 빈약하다는 데로 돌릴 수 있는 반면,  관찰자들은 앞으로 40년에 걸쳐 90억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하여 생산자들이 세계의 생산량을 70%까지 증가시키기 위해 싸워야 하는 광범위한 구조적 변화가 진행중이라고 경고한다.

전문가들은 아프리카의 8000만 소농의 생산량을 높이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핵심임에 동의한다. 그들이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은 어떻게라는 부분이다.

대부분이 유전자조작 작물과 더 강력한 기술 —지난 세기 "녹색혁명"의 방법을 지속시키는— 이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De Schutter 씨는 동의하지 않는다. 대신 그는 토양 생산성을 강화하고 작물을 나무와 식물, 동물과 곤충과의 관계를 통하여 병해충에서 보호하는 생태적인 방법이 긴급한 국가에서 생산량을 높이는 데 지속가능하면서도 효율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다. 

"요즘 새로운 농업혁명에 착수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그 방법은 정말로 농민에게 재정적으로 매우 지속불가능한 것이다"라고 말한다. "오늘날 굶주리는 사람들은 매우 소규모의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다. 우린 그들이 값비싼 농업 투입재 없이 농사지어 수확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도와야 한다."

화요일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발표된 그 보고서는 57개 개발도상국에서 80%까지, 그리고 모든 아프리카의 계획에서 평균 2배 이상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킨 "농생태학"의 기술을 보여주는 증거를 인용한다. 20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행한 사업에서, 생산량이 3~10년 안에 2배가 되었다.

그와 함께 연구는 농민이 더 적은 투입재에 돈을 쓴다는 것을 밝혔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방글라데시의 사업에서는 벼농사에서 사용하는 농약의 양이 35~92% 감소한 반면, 중국과 인도, 파키스탄의 목화 생산에서는 수확량이 4~14% 증가하면서 농약 사용은 34~66% 정도 줄었다. 


728x90
728x90


climate_food_commission-spm-nov2011.pdf



http://ccafs.cgiar.org/news/commission-sustainable-agriculture-and-climate-change/world-scientists-define-united-approach



농업 생산물에 대한 세계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생산된 식량의 거의 1/3이 손실되거나 버려진다. 새로운 위원회의 보고서는 기후변화의 시대에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7가지 핵심 권고사항을 설명한다. 사진: N. Palmer (CIAT)



보고서는 지속가능한 농업 체계를 창출하기 위한 세계 지도자들의 행동을 위하여 지침을 제안한다


런던(2012년 3월 28일) — 세계의 약 10억 명이 영양부족 상태인 반면, 수백만 명은 지나친 식량 소비로 인한 만성적 질병에 고통받고 있다. 농업 생산물에 대한 세계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려 식량가격은 높아지고 있지만, 인간의 소비를 위해 생산된 식량의 약 1/3은 손실되거나 버려진다. 기후변화는 더욱 빈번한 가뭄, 홍수, 해충 발생으로 위협하고, 세계는 해마다 토양 악화로 1200만 헥타르의 농지를 잃고 있다. 토지 개간과 비효율적 농법은 농업이 이 행성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원이 되도록 만든다. 

이러한 놀라운 형태를 해결하기 위하여 13개국의 과학 지도자로 구성된 독립적 위원회는 오늘 정책입안자에게 어떻게 기후변화에 직면한 오늘날 식량안보를 이룩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상세한 권고사항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 보고서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과 기후변화에 대한 위원회는 기후변화, 인구성장, 빈곤, 식량 가격 급등, 생태계 악화에 직면한 세계를 먹여 살리는 지구적 과제에 대한 구체적 정책대응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Rio+20 지구회의,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G20 국가의 권한 부여에 따른 구체적 기회를 강조한다.

“식량불안과 기후변화는 이미 전 세계 인간의 참살이와 경제성장을 억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위원회의 위원장 John Beddington 경은 말한다. “우리가 미래에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는 지구의 능력을 보존하려면 단호한 정책적 행동이 필요하다.” 보고서는 브라질에서 6월 20~22일 개최될 리오회의를 목표로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지구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해결책을 연마하고 있는 Planet Under Pressure 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세계적 식량안보를 이루고 기후 안정화를 실현


위원회는 정부, 국제기관, 투자자, 농업생산자, 소비자, 식량운동가, 연구자들이 함께 실행하도록 설계된 7가지 권고사항을 이야기한다. 그들은 정책, 금융, 농업, 개발원조, 먹거리 선택, 음식물 쓰레기의 변화만이 아니라 이러한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지식체계에 대한 투자를 활기차게 하라고 요청한다. 

기술연구를 위한 아프리카센터(ACTS)의 전무 이사 Judi Wakhungu 교수는 “위원회처럼, 우린 최근의 식량안보와 기후변화에 대한 평가보고서에 의해 축적된 과학지식의 풍요와 실천적 해결책을 모을 책임이 있다. 이와 함께 세계적 식량안보와 기후 안정화의 실현을 이룰 수 있도록 정책입안자에게 가장 중요한 7가지 방법에 대해 신중하게 정수를 뽑아야 한다.” 

위원회의 권고사항은 앞으로 10년 안에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량체계에 대한 세계적 투자를 상당히 높이기를 권장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면서 기존의 토지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하게 농업 생산을 강화하기; 그리고 식량 체계에서 손실과 쓰레기를 줄이기. 미국 위원인 위스콘신매디슨대학의 Molly Jahn 교수에 따르면 “전 세계 모든 규모의 농장이 인간의 영양과 경제적 참살이에 필수라는 것을 깨닫는 과거의 시간이었지만, 또한 장기적으로 자급하기 위하여 우리가 지구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중대한 영향을 지닌 중요한 선택에 직면해 있다.”



지속가능한 농법을 위한 과학과 정책을 동원


대안적인 농법은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완화시키는 혜택을 지니는 잠재력이 있고 위원회는 과학기술적 조언을 위한 부차적 단체(SBSTA)와 함께 이러한 쟁점을 해결하는 작업프로그램을 설립하도록 UNFCCC에 촉구했다. “농업을 위한 통합된 SBSTA 작업프로그램 없이 우린 단편적인 지구적 기후정책을 정교히 할 위험이 있다”고 위원회의 부위원장 방글라데시의 Mohammed Asaduzzaman 박사는 말한다. “방글라데시와 같은 국가는 명백히 기후 회복력의 농업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하지만, 또한 농업 부문을 포함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심각한 세계적 노력도 필요로 한다. 해수면 상승이 방글라데시의 주요한 지역을 위협하여 이미 상당한 환경에 의한 이주를 겪고 있다.

위원회의 보고서는 16가지 주요 작물의 생산성을 50% 이상까지 증가시킬 수 있어 잠재성과 실제 수확량 사이의 차이를 줄이고 있다는 최근의 증거를 인용한다. “급속히 성장하는 인구를 위한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훨씬 큰 투자가 현재와 장기적으로 농업 수확량을 극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위원인 베트남 농학회의 대표 Nguyen Van Bo 박사는 말한다. “베트남에서 우린 벼 생산성과 질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완화시키며 농민의 수입을 증대하기 위한 모델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농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면서 기존 토지에서 지속가능하게 농업 생산을 강화하는 것은 위원회의 7가지 권고사항의 하나이다. “지속가능하게 농업 생산을 증대시킨 몇몇 인상적인 성공 사례가 있지만, 할 일이 더 많이 있다”고 위원인 브라질 과학기술혁신부의 Carlos Nobre 박사는 말한다. “브라질은 7년 동안 열대우림을 보호하면서 빈곤을 줄이는 행보를 했다. 하지만 우리가 지속가능한 강화의 과학과 실천을 진전시키지 않는다면, 우리의 숲과 농업경제는 위기에 빠질 것이다.”

중국에서는 농지 3000평당 약 400kg의 화학비료가 사용된다. “우린 비효율적인 농법으로부터 배출되는 불필요한 온실가스를 멈추기 위한 기회와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중국 농학회에서 농업과 기후변화 연구센터의 연구 책임자 Lin Erda 위원은 말한다. "우린 저배출 작물 육종과 토지와 물, 에너지의 보존을 향하여 공공정책과 예산을 동원하고 있다.”

멕시코에서 농업은 관개를 위한 물과 전기세에 적용되는 상당한 보조금 덕분에 국내 물 사용의 77%를 차지한다.  “우린 유한한 자연자원을 보존하며 경제적, 환경적으로 건전한 농법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 보조금을 다시 정리해야 한다”고 멕시코 메트로폴리탄대학의 Adrian Fernández 박사는 말한다. 



식량 체계를 재편하기 위한 종합적 접근법


농업에 천착하는 외에 위원회의 권고사항은 식량 불안의 "수요 측면"을 솔직히 인정한다. “만약 우리가 우리의 처리에서 사람들과 지구를 위해 좋은 먹거리 선택권을 장려하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우린 먹거리 관련 질병의 부담이 늘어나는 일을 감수해야 한다”고 프랑스 농업연구 국립연구소(INRA)의 Marion Guillou 박사는 경고한다.

또한 위원회는 명시적으로 취약한 인구를 강화하기 위해 설계된 정책과 프로그램을 요청한다. “자기 토지의 생산력에 투자하는 소농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경제적, 환경적 회복력을 창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에티오피아 농업부의 자문이자 주의 장관인 Tekalign Mamo 교수는 보고한다. “우린 그러한 프로그램을 확장함으로써 배운 것을 발판으로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역사회는 여전히 생산성 손실과 빈곤, 식량불안의 하향 나선에 빠진 취약한 상태로 남을 것이다.”

“인도의 최근 입법은 빈곤완화프로그램이 또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목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인도의 국립자문위원회의 서기관 Rita Sharma 박사는 말한다. “2006년 마하트마 간디 전국농촌고용보장법은 지하수를 충전하고, 토양비옥도를 강화하고 바이오매스를 높이는 프로젝트를 통하여 기후변화 회복력과 완화를 제공하면서 농촌의 농민과 농가가 위험을 관리하는 걸 돕는다.”

개선된 자료와 토지 관리자와 정책입안자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위원회에 의해 강조된다. “현명한,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은 물, 토양, 에너지, 기상학, 배출, 농업 생산과 숲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이러한 요소들이 체계로서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것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오스트레일리아의 위원이자 연방과학산업기관(CSIRO)의 기관장 Megan Clark 박사는 말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연구자, 농민과 자료관리자는 우리의 의사결정에 내재된 필연적인 모순을 다루기 위한 통합능력을 세우기 위하여 함께 일하고 있다.”



현재와 미래세대를 위한 안전한 운영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결정적 행동


위원회의 보고서는 앞에 과제의 완전한 사진을 제시하고 앞으로 10년 동안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량체계에 세계적 투자의 수준을 상당히 높여야 한다고 요청한다. 예를 들어 빈곤국의 농업개발을 위한 미화 200억 달러를 제공하기 위한 2009년 G8의 라퀼라 공약과 UNFCCC의 "Fast Start" 기금에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프로그램을 통합시키는 것에 대한 더 강한 실행을 주장한다. 그러나 또한 교토의정서의 적응자금과 유엔 식량농업기구와 유럽위원회가 530만 유로의 자금을 제공하여 말라위와 베트남, 잠비아에서 행해진 기후에 영리한 농업프로젝트와 같은 중요한 진행 사례를 제공한다.

보고서는 환경과 맨 아래행을 보호하기 위한 전체 식량공급 유통망에 걸친 기회에 대해 지적한다. “많은 공적, 사적 부문의 지도자들이 이미 지속가능한 식량체계를 위하여 기술적, 사회적, 재정적, 정치적 장벽을 극복하고자 단계를 밟고 있다"고 2011년 2월에 위원회를 소집한 자리에서 기후변화와 농업, 식량안보에 대한 CGIAR 연구프로그램의 대표 Bruce Campbell 박사는 말했다. “위원회의 작업은 이러한 초기의 노력을 다음 단계로 가져가기 위해 필요한 것을 설명한다.”

보고서는 상승하는 식량가격이나 빈약한 수확만이 아니라 새로운 농업과 에너지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개선된 시장 투명성으로부터 극빈층을 보호하기 위한 신속한 대응과 보험전략의 설계를 포함하여 2011년 합의된 G20에 따른 지속적인 진행을 장려한다. 리오+20 지구회의에서, 위원들은 지역에 기반한 연구, 실행, 능력증대, 농업과 식량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관찰을 위한 재정적 위탁을 만들라고 정부들에게 촉구했다. 또한 보고서는 세계무역기구의 무역조약, 그리고 세계 식량안보 위기에 대한 유엔의 고위급 대책본부와 같은 협회의 세계적 협정을 지적하고, 또한 농민과 농기업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한다.  

위원회는 왜, 어떻게 인류가 기후변화, 인구성장, 식생활 양식, 환경에 반응하여 식량을 생산하고 분배하고 소비하는 방법을 개혁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사람들과 지구를 위한 ‘안전한 공간’에서 작동하기 위하여 우린 얼마나 우리의 먹거리를 생산할지, 얼마나 소비하고 버릴지, 기후변화에 앞으로 농업이 얼마나 기여할지에 대한 균형이 필요하다”고 남아프리카 위원회의 Bob Scholes 교수는 말한다. 위원회는 Planet Under Pressure 회의에서 이러한 한계의 교차점을 설명하는 비디오를 내보내고 있다: http://bit.ly/SafeSpaceClimateFood






Download translations of the press release (PDF)

Français: Des scientifiques internationaux définissent une approche unifiée de lutte contre l'insécurité alimentaire

Español: Comunidad científica internacional define enfoque integral para enfrentarse a la inseguridad alimentaria

Português (BR): Cientistas do mundo definem ação conjunta para atacar a insegurança alimentar

More information

The full list of Commissioners, the final report document, and additional background, facts, images, and other materials can be found athttp://ccafs.cgiar.org/commission 

The Commission 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Climate Change is an initiative of the CGIAR Research Program on Climate Change,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www.ccafs.cgiar.org), with additional support from the Global Donor Platform for Rural Development. The Commission brings together senior natural and social scientists working in agriculture, climate, food and nutrition, economics, and natural resources from Australia, Brazil, Bangladesh, China, Ethiopia, France, Kenya, India, Mexico, South Africa,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Viet Nam to identify the policy changes and actions needed now to help the world achieve sustainable agriculture that contributes to food security and poverty reduction, and helps respond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goals.


climate_food_commission-spm-nov2011.pdf
1.27MB
728x90
728x90

지속가능한 농업과 관련된 새로운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그 내용이 궁금...




By Richard Black


African women in field농지는 한결같은 사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또 다른 장소이다

Related Stories

주요 보고서는 미래세대가 충분히 먹고 살려면 전 세계의 농업과 식량소비에서 주요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경고한다. 

농업은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고, 음식물 쓰레기 줄이고 농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지속가능한 농업과 기후변화에 대한 위원회는 과학자와 정책입안자로부터 1년 이상 증거를 평가하는 데 썼다. 

그 최종 보고서가  압박 받는 행성(Planet Under Pressure) 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위원회는 영국 정부의 수석 과학고문 John Beddington 경이 위원장이 되었다. 

Start Quote

우린 '기후에 영리한' 농업을 개발해야 한다. -더 많은 생산물을 온실가스 배출 없이 생산하도록”

위원회의 위원장 John Beddington 경

"만약 당신이 13년의 시간 안에 (세계 인구의) 또 다른 10억 명과 함께 식량이 충분하지 않은 10억 명의 빈곤을 해결하고자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려면, 대규모로 농업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John 경은 BBC 뉴스에 말했다. 

"우리가 전부터 사용하던 똑같은 농법을 쓸 수는 없다. 그 방법으로는 온실가스 배출이 심하여 기후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농업은 배출량을 측정하는 데 어려운 토지 개간에서 오는 비율이 커서 제대로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아마도 세계 온실가스 배출에 약 1/3의 책임이 있을 것이다.

지역적 편차는 있지만 기후변화는 전반적으로 작물 수확량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남아시아의 경우 극적으로 줄어들 테고, 밀 수확량이 50년 안에 절반으로 떨어진다고 제시하는 연구도 있다. 

"우린 기본적인 농법이나 초원을 경운하거나 열대우림을 줄이는 것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동반하지 않고 더 많은 생산물을 생산하는 '기후에 영리한' 농업을 개발해야 한다"고 John 경은 말한다.

서로 다른 지역에 적합한 기술은 그 지역에 따라 다르다고 위원회 작업의 협력자 Christine Negra 박사는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떠한 곳에서 사용하는 유기농법은 적합하거나 경제적으로 이득이고 좋은 사회경제 및 생태적 결과를 생산하면, 그것이 좋은 접근법이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어떠한 곳에서는 GMO를 사용하여 식량안보의 과제와 사회경제적 쟁점을 해결한다면, 그것들이 안전이 입증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올바른 접근법이다."


쓰레기 문제

그러나 위원회의 권고사항은 농법 너머 훨씬 멀리로 나아간다.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로 하면서 생산물을 늘리는 지속가능성을 북돋기 위하여 식량 생산과 소비를 둘러싼 경제적, 정책적 틀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Man carrying rice in warehouse현재 제정된 정책들은 성장하는 인구의 요구를 지탱하기 위한 미래의 농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농민은 더 많은 투자와 더 나은 정보를 필요로 한다; 정부는 국가 정책의 핵심에 지속가능한 농업을 놓아야 한다. 

에티오피아 농업부의 고문 Tekalign Mamo 교수는 이미 변화가 필요한 많은 모델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보고서에서 강조하는 하나는 에티오피아 정부와 국제 협력자들의 협력으로 2003년 시작된 Productive Safety Net 프로그램이다. 

"하나(그것의 측면)는 가구의 자산 형성이고, 따라서 사람들이 만성적인 식량부족의 시기에 자신의 자원을 고갈시키지 않는다"고 Mamo 교수는 BBC 뉴스에 말한다.

"다른 하나는 소규모 관개시설 구축이나 유역 개발과 같은 지역사회의 자산에 노력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스스로 그러한 활동과 또한 무료로 노동을 할당하고, 정부는 그들의 참여에 대하여 식량이나 현금과 같은 유인책을 제공한다.

"그것이 약 130만 명이 빈곤에서 벗어나고 식량안보 상태가 되도록 하였고, 그와 함께 또한 환경을 보존하고 회복시켰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인도의 농촌 지역에서 고용의 보증, 베트남의 무경운 벼농사(흙으로부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그리고 아프리카 남부의 다섯 국가에서 여성의 토지소유권을 주는 운동을 강조한다.

그러나 선진국의 변화도 권고한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면 우리가 생산해야 식량이 줄고, 온실가스가 덜 배출된다"고 Negra 박사는 지적한다.

지난 12월 남아프리카에서 열린 UN 기후회의의 위원은 유엔 기후협약 논의에 지속가능한 농업을 결합시키는 것을 지지했다.

"work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최종 결정은 그렇게 되었을지보다 더 약하게 위원회에서 고려되었다. 

위원회는 식량과 빈곤 문제에 대해 노력하는 협회의 세계적 네트워크인 국제농업연구에 대한 고문모임(CGIAR)에 의해 설립되었다. 



728x90
728x90

녹색혁명을 채용한 국가의 농업 생산성은 일정 정도 상승한 이후 그대로이거나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남.

예) 멕시코: 옥수수 수확량 3000평에 0.9톤에서 녹색혁명 이후 4.4톤으로 증가, 하지만 이후 이러한 상승률이 주춤함.


세계 곡물 비축량은 6억 3500만 톤에서 해마다 급격히 줄어들어 2000년대 들어와서는 3억 8200만 톤으로 감소.

녹색혁명으로 인해 농업에서는 여러 가지 '외적 비용'이 상승했지만, 이러한 외적 비용은 생산성 계산에서 무시되고 비용-이익 계산만 실시하여 여전히 생산적이라는 허구에 사로잡혀 있다.



관행농업이 지속가능하지 않은 까닭


1. 토양 악화

1년에 150만~210만 평씩 농지가 사라지고 있다. 토양침식으로 1년에 250억 톤의 겉흙이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겉흙이 생성되는 속도는 3000평에 1톤 정도.

이러한 현상은 집중적 경운, 대규모 단작, 짧은 경작주기, 대량 관개 등으로 인한 염류화로 발생한다.


2. 물의 남용과 수문 체계의 손상

빗물이 지하의 대수층을 다시 채우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지하수를 퍼서 사용.

농업이 사용하는 세계 담수의 양은 2/3를 차지함.

생산을 최대화하는 게 아니라, 물을 보전하는 농법이 필요하다.

육식 문제; 곡물사료를 재배하려고 지나치게 많은 물을 사용. 축산물 그 자체로 농산물보다 2배의 물을 사용.

예) 감자 500칼로리 생산에 물 89리터가 필요하나, 곡물사료를 먹인 소고기 500칼로리 생산에 4902리터의 물이 필요.

     1kg의 동물성단백질 생산에는 1kg의 식물성단백질 생산보다 100배 이상의 물이 필요.

이러한 지나친 물 사용으로 수문 체계가 변화하고, 이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며 미기후를 바꾸어 놓는다.


3. 환경오염

. 농약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받음.

9282명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13가지 성분의 농약이 검출. 이러한 농약 성분은 식품과 식수를 통해서 오염된 것.

1995년 미국 29개 도시의 수돗물을 검사, 무려 28곳에서 제초제 성분이 검출됨. 

. 화학비료 또한 지나친 사용으로 지하수와 강물 등으로 흘러든 질산염 등의 성분이 부영양화를 일으켜 '죽음의 구역'을 만듦으로써 생태계를 파괴.

. 공장식 축산에서 나오는 막대한 양의 가축분뇨를 '인공 못' 방식으로 처리. 인공 못에서 스며든 가축분뇨로 지하수가 오염되고 강과 바다로 흘러들어감. 또한 인공 못에서 발생하는 암모늄 이온으로 대기오염 문제까지 일어남.


4. 외부 투입재에 대한 의존

관개용수, 화학비료, 살충제, 가공사료, 항생제 등의 생산과 운영에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관개 펌프, 축사의 기후조절장치, 유전자조작, 농기계, 농화학물질 제조 등으로 재생불가능한 자원을 낭비.

농민의 수익이 줄어들고 그들이 생산한 농산물이 외부자들에 의해 통제됨.


5. 유전적 다양성 손실

지난 100년 동안 엄청나게 많은 종이 멸종. 1900년에서 현재까지 75%의 종이 멸종. 

세계에서 생산되는 옥수수의 70%가 단 6가지 품종의 옥수수. 미국에서 사육하는 칠면조는 단 1가지 품종뿐.

이러한 일로 벌어지는 유전적 획일성으로 인해 질병과 해충의 공격에 작물과 가축은 취약해진다. 그에 대한 저항성을 지닌 작물과 가축을 찾는 일도 그것들이 풍부할 때 가능한 일.


6. 농업 생산에 대한 지역의 관리력 상실

농업의 현대화로 농민의 수는 급감. 미국의 경우 1920년~현재 650만 개의 농장이 20만 개로 줄었다. 또한 농촌에 거주하는 인구는 전체 인구의 2%, 농부나 목동은 0.4%

이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2030년이면 세계 인구의 60%가 도시 지역에 살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일은 대규모 상품지향형 농업 때문에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저개발국의 경우 선진국에서 수입하는 식량이 점점 늘어나게 되는데, 1970~1990년 이러한 농산물은 5배가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으로 소농의 기반이 파괴되고, 고투입 고에너지를 사용하는 기술과 투입재에 의존하게 된다. 그로 인해  푸드 달러에서 소비자의 몫은 38%에서 8% 이하로 감소.

도시의 확장 같은 경우, 캘리포니아는 1988~1998년 사이 사라진 농지의 비율이 2만 헥타르에 달한다.


7. 지구적 불평등 

농업 생산성 향상에도 세계에서는 여전히 기아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식량 분배의 불평등 때문이다.

농업에서 얻는 이윤이 소수에게 집중되는 관행농업의 구조가 이를 가속화. 

농민과 농업정책은 생태적 지혜나 장기적 예측보다 경제적 고려에 추동되는 경향을 보임.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웨덴의 식물공장  (0) 2012.02.17
노동력이 많이 드는 작물과 기계화  (0) 2012.02.17
농업생태학이란?  (0) 2011.12.08
인도의 나브단야Navdanya 유기농 교육  (0) 2011.09.22
질소비료의 대량생산  (0) 2011.09.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