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 recently had the opportunity to interview Masahiko Yamada, formerly Japan's Minister of Agriculture and now one of the country's foremost food sovereignty activists. We met at an international Economics of Happiness Conference in Prato, Italy, where Yamada delivered a keynote speech about the birth of a new citizens’ movement to protect Japan's food-crop heritage from corporate take-over.

Keen to learn more, I ask Yamada for an interview before he departs Italy. With only an hour to spare, we rush off to find a caffetteria with a spare table. Joining us as translator is Keibo Oiwa, author of Slow is Beautiful: Culture as Slowness, the book that inspired the Slow Living movement in Japan.  Over a strong cup of Italian coffee, Mr. Yamada responds to my many questions.

From traditional farming to post-war industrialization  
Yamada tells me he was born on a farm in Japan’s countrysid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t the time, Japanese farmers practiced mixed farming – the growing of crops combined with the raising of livestock, for the added benefit of both.

“Everybody in the countryside owned a few pigs and a cow or two, and grew several arable crops. The main cereals – rice, wheat and soya – were alternated on the fields throughout the year. Rice and wheat would be followed by the nitrogen-fixing soya. This was our traditional way of farming,” says Yamada.

However, this started to change after the American post-war occupation of Japan and the extensive restructuring that followed. on the one hand, conditions improved for many farmers, as land reform redistributed agricultural land from absentee landlords, via forced sales to the government, to tenant farmers who worked the land and paid a proportion of their crops in rent. To avoid a return to the concentration of land in a few hands, the government limited farm size per household to what a family could farm without outside labor – approximately 1-4 ha (2.5-10 acres) depending on the region. The reform resulted in better conditions for Japanese farmers and a legally protected landscape of small family farms that remains today.

At the same time, the US occupation – amounting to several hundred thousand soldiers – led to a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long with the emulation of the American lifestyle, including food habits. This meant a shift away from the traditional diet of rice, fish, vegetables and soya-products, towards a diet rich in meat and oils. Over a fifty-year period (1955-2005), the consumption of meat increased nine-fold and oil consumption rose five-fold; meanwhile the consumption of rice fell by half.[1] “Americanization” also led to the rapid adoption of “modern farming” – large-scale specialized and industrialized agriculture – and a growing dependence on imported foods.

From farmer to visionary politician
As a young adult, Yamada followed the new trend of specialization and became a monocultural pork producer, with 5,000 pigs. Things went well at first, he says, but his business, like that of many other “modern” Japanese farmers, failed during the 1970s oil crisis. By then, Japanese agriculture was heavily tied to a volatile global fossil-fuel based economy. The oil embargo of 1973-74 led to a rapid rise in the cost of animal feed, coupled with a drop in the price of meat, as consumers tightened their purses during the crisis. Like many Japanese farmers at the time, Yamada was caught in a fatal squeeze between high costs for inputs and low prices for his production. He tried shifting to retailing, with a butcher business, but still could not survive economically.

Yamada’s hands-on experience as a modern farmer in a volatile global economy led him to question the way agriculture was changing, and to appreciate the value of Japan's traditional small-scale diverse farms that operated without dependence on expensive inputs or big bank loans. He became convinced that the way forward was to strengthen and improve Japan's diversified and integrated farming culture, including its many family farms, rather than pursuing further industrialization and specialization.

He took a drastic step and re-schooled as a lawyer. Later on, he entered politics and was elected to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n 2003. Six years later he became Deputy Minister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and was officially appointed Minister of MAFF in 2010.
As Minister, one of the first things he did was to publicly declare: “The highly industrialized agricultural model has been a mistake and a failurewe need to strengthen small scale, family-based agriculture instead”.

Yamada took immediate steps to act on this belief by instituting a guaranteed minimum income for farming families. As is true in most places today, decades of low farm incomes had led young people to shy away from a life on the land, leaving the old to farm alone. The average age of farmers had by then reached 65 (it’s now 67), while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in farming had dropped from a steady 14 million people between 1870-1960, to a mere 2.2 million farmers by 2015.[2] Not only that, two-thirds of these relied on secondary jobs and pensions to make ends meet.

The guarantee of a basic income had the desired effect: a marked increase in the number of young people engaged in farming. It had suddenly become possible for younger generations to return to their family farms without risking everything.

Out in the cold
Yamada's agricultural vision – a more localized model based on diversified family farms – was not in line with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LDP) government, led by Prime Minister Shinzō Abe. This was not the only thing they differed on. Yamada was also highly critical of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 the “free trade” agreemen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was seeking to join at the time.[3] As Agriculture Minister, Yamada warned that the TPP would undermine Japan's food sovereignty and further squeeze small farmers. Not surprisingly, Yamada was pushed out of office at the end of 2011, after only two years as Minister.

I ask Yamada what happened to the guaranteed basic income after he left office. He gives me a small smile and says, “It was abolished, or rather phased out, ending in 2018… But there is good news: the main opposition party [the Constitutional Democrat Party] plans to bring it back this year. The guaranteed minimum income for farming families is their number one goal”.

Japan’s crop seed heritage under threat
Yamada is one of those people who doesn’t give up. With his background in farming, law and politics, he was the perfect person to kick-start a bottom-up citizen-led movement to protect Japanese crop seed production. This had come under threat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moved in 2013 to abolish the Main Crop Seeds Law – a 67-year-old law protecting native seed production. According to Yamada, this move (along with other deregulatory steps), was an “admission fee” for joining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and a goodwill gesture to lobbyists for transnational agribusinesses.

The Main Crop Seeds Law, created in 1952, requires each of Japan’s 47 prefectures to maintain good quality seeds of the main staple crops: soya, rice, wheat, barley and oats. To this end, the prefectures run agricultural experimental stations that reproduce a wide range of varieties adapted to different locations and growing conditions. The agricultural stations, supported by the federal government, have for the past seven decades sold locally adapted high-quality open-pollinated seeds at an affordable price. The law is an example of visionary policy-making: it recognizes a key fundament of the long-term health of any society – its ability to feed itself. For that purpose, there is hardly anything more important than maintaining the production of native crop-seeds, rather than relying on a narrow range of commercial one-size-fits-all seeds.

On April 1, 2018, the Main Crop Seeds Law was revoked. The abolition went hand in hand with a recently enacted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and Support Law”, which mandates the “sharing” of information on seed production – or more accurately, the no-cost transfer of know-how from public-sector institutions to the private sector.[4] This essentially amounts to the expropriation of an intellectual commons for the benefit of private, for-profit interests. The opposite situation would have been considered an infringement of agribusinesse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armers, food cooperatives, NGOs and other citizens’ groups are extremely worried about the consequences for farmers and for the country’s food security. With the seed protection law gone, many experimental stations will likely cease to exist, as will support for the production of native seeds, something that will hit the country's small producers particularly hard. Meanwhile, transnational seed giants are waiting to take over seed production and marketing. In all likelihood, farmers will come to depend on big agribusiness for their seeds. As the corporate-commercial seeds tend to be hybrids (i.e. their attributes are not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and many are designed to be sterile), farmers will have no choice but to buy new seeds year after year.

Yamada’s greatest concern, though, is for Japan's rich seed diversity – in particular its chief crop, rice, which has been grown in Japan for over 2,500 years. There are over 300 varieties that vary in terms of taste, fragrance, and texture, and in their adaptability to the wide range of bio-climatic conditions that exist in Japan.
While local seed production inevitably leads to high diversity, seed production at the hands of a few transnational agribusinesses leads to the polar opposite – a small range of commercial breeds. Japan therefore is at risk of losing its crop diversity for good.

This is a very real threat. According to FAO, 75% of crop seeds disappeared between 1900 and 2000.[5] In the US, where agribusiness and large-scale specialized farms have long dominated, the loss is estimated at 93% in only 80 years.[6]

After the recent-mega mergers of the world's largest agricultural agribusinesses, only three conglomerates now control half of all seed sales in the world: DowDuPont, Bayer-Monsanto, and Syngenta-ChemChina, which will mean a further decrease in seed diversity. The biggest revenue source for these companies, however, is not from the sale of seeds but from the agricultural chemicals that go with them. As investigative journalist Mark Schapiro puts it, “The combina­tion of chemical and seed companies is giving rise to seeds that are born addicted to chemicals for their survival – entire generations full of crack-baby seeds.”[7]

Fighting back
Yamada tells me that after he was pushed out of government, he joined forces with an impressive group of 150 lawyers that has challenged as unconstitutional both the TPP agreement and the government’s decision to abolish the seed protection law. Challenging the TPP in court is a hefty job. Like all “free trade” treaties, the written agreements are over-complicated and designed to confuse. Yamada explains that the 30 chapters of the most recent version of the TPP agreement contain more than 8,000 pages.  When asked about the outcome of the court case, he says:

“First we took them to the local court and then to the national court. We lost both times. But the court did acknowledge that the TPP is behind the abolishing of the Main Crop Seeds Law. We are not giving up: we are now taking the case to the Supreme Court, as TPP violates articles 25 and 13 of our constitution. It is not only our seeds that are at risk, but our water, which is now in the process of being privatized and sold to foreign companies.”

Yamada is employing a two-prong strategy. Along with the fight at the very top of the legal system, he is mobilizing a grassroots movement to initiate change from the bottom. For a year he has traveled across the country, from one small rural town to the next, to encourage and organize local and regional groups to resist the transnationals and to pressure local government (on a prefecture level) to issue ordinances that protect Japan’s native seeds, in the absence of adequate national laws.

In Japan, any citizen may submit a suggestion to their local government. By law, the local government is obliged to discuss and consider suggestions submitted to them by citizens. Thanks to this direct democracy practice, it has been possible for individuals and groups to propose local laws to protect their seeds.

The bottom-up strategy has been hugely successful. In less than a year, hundreds of requests have been sent to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hree prefectures (Niigata, Hyogo and Saitama) have now passed seed-protection laws, while Nagano, Toyama, Hokkaido and Yamagata – prefectures with large farming communities – are in the process of doing the same. Reports from across the country indicate that another twelve will follow suit before long. Yamada's aim is for all 47 prefectures to take legal protective action.

In support of the campaign, a broad “Coalition to Protect Japanese Seeds” has been formed by food coops, citizens’ groups, NGOs and farmers. The national Agricultural Association, which previously supported the Liberal Democrat Party's free trade policies, has now joined the campaign to protect Japan's seed heritage.

Is water next?
Yamada points out that it is not only agriculture and seeds that are threatened under the “free trade” agenda: water is the next “commons in line to be privatized and commercialized. Until recently, water in Japan was managed by the prefectures, but both the TPP and the revised CCTPP agreement are opening up the privatization of water on a massive scale.

In July 2018, a new law allowing water privatization was passed in the lower house of Parliament. Whether it will pass the upper house remains to be seen, but the present government has been urging cities to privatize their water-works for some time, to avoid the fiscal burden of replacing aging water and sewage systems.

The transfer of water rights into the hands of foreign corporations, Yamada believes, is a short-sighted solution to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purse. Citizens, local businesses and even public institutions will henceforth have to pay more for their water, in order to provide distant share-holders with a steady profit in a speculative market.

The Asian Development Bank is already helping to privatize water in many Japanese cities. So far Matsuyama City has sold its water to a French company. “Water is now five times more expensive,” Yamada tells me. “Before, poor people could get water in the public parks, but even that has now become illegal”.

Yamada is ready to kickstart another citizen’s movement to protect water, using the same bottom-up strategy as the one being used to protect Japan's seeds. “If we can do this here, then it can be done in other countries as well,” Yamada concludes, before he rushes off to his next destination.

Japan's situation is not unique: the corporatization of the commons is happening everywhere, as the result of heavy corporate lobbying and the direct involvement of big business in the drafting of trade treaties. The TPP is a good example of this skewed process: 600 official corporate “trade advisors” took part in closed-door negotiations from the very beginning, while civil society was left to depend on leaked documents for information. Yet, most governments are willing participants in this rigged “trade game” as part of an endless quest for further economic growth.

Despite the limitations of a finite planet, there is still an almost-religious belief in the growth model, both as a recipe for “economic health” and as a broad-spectrum cure for all ailments, from poverty to climate change. So far, the results have been the opposite – an economy that primarily benefits the 1% and environmental breakdown on all levels, including soaring CO2 emissions.

The privatization of the commons is part of the same story. Clearly, the biggest beneficiaries aren't people or even nation-states, but global business enterprises and their shareholders.

It’s time for us to wake up and practice direct democracy – to join with others to stop further corporatization and regain control over our commons, our communities, our cultures and our economies. Because if we don't, who will? Masahiko Yamada and the new citizens’ movement in Japan have come up with a few tricks we can learn from.

NOTES:
[1] Nagata, Kazuaki, “Japan needs imports to keep itself fed“, Japan Times, February 26, 2008.
[2] Yutaka, Harada, Japan’s Agriculture and the TPP, The Tokyo Foundation for Policy Research, November 21, 2013; “Japan’s Farming Population Rapidly Aging and Decreasing”, Nippon.com, July 3, 2018; Kasahara, Shigehisa, “The Role of Agriculture in the Early Phase of Industrialization: Policy implications of Japan’s experience“, UNCTAD, February, 1996; Statistical Handbook of Japan 2018.
[3] The TPP was revised after the USA pulled out, and is now named the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 It is also known as TPP11, as 11 countries remain: Australia, Brunei, Canada, Chile, Japan, Malaysia, Mexico, New Zealand, Peru, Singapore, Vietnam. It is the third-largest free trade treaty in the world, calculated by the countries’ combined GDP, after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and Europe´s Single Market.
[4] “Abolition of Main Crops Seeds Law puts nation at risk“, Japan Times, March 20, 2018.

--

AUTHOR BIO: Anja Lyngbaek is Associate Programs Director for Local Futures. She is also co-founder and Programs Director of “Microcuenca del Rio Citlalapa” – a local NGO in Veracruz, Mexico focused on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Anja gives talks, holds workshops and teaches on a variety of subjects related to food and farming, localization and eco-technologies to children and adults. She currently lives on a small-holding in Mexico with her family.




https://www.grain.org/en/article/6169-saving-japan-s-seed-heritage-from-free-trade?fbclid=IwAR3JXP58nv4tfrbr-16cqSpWaRi6W5wsfCKjsKLBGbek-E3tcDIqB-faVSI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생명은 씨앗에서 시작된다  (0) 2019.03.18
씨앗은 누구의 것인가?  (0) 2019.03.18
Kamala Pujari 씨를 만나다  (0) 2019.03.18
곡성 토란  (0) 2019.03.18
주황 당근의 기원  (0) 2019.03.10
728x90

When Odisha Chief Minister Naveen Patnaik recently announced the names of the five new members of the state planning board, no one was surprised after seeing Kamala Pujari's name on the list.

Pujari, a tribal woman from Koraput district had become famous by preserving hundreds of local varieties of paddy and promoting organic farming.


She is also known for having persuaded villagers in her area to shun chemical fertilisers and adopt organic farming for better harvest and soil fertility.

"I had never dreamt of getting such a prestigious Government post. I came to know about the announcement from media. I would give priority to provide drinking water supply in the villages,” she said. 


After getting trained at M S Swaminathan Research Foundation at Jeypore, she organised group meetings, interacted with the villagers and convinced them to take up organic farming. She had also joined a workshop on organic farming organised by the Foundation at Johannesburg in 2002 where her efforts were lauded by the participants across the globe. 

She had also won the ‘Equator Initiative Award’ in South Africa in the same year. 


https://www.indiatimes.com/news/india/meet-kamala-pujari-a-tribal-agricultural-activist-and-now-a-member-of-odisha-planning-board-342098.html?fbclid=IwAR20NnjQKS_fwfrZsRR34B_jHpGgwhyNLaKNX98W9bHrgl0mST-aPdAidBg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앗은 누구의 것인가?  (0) 2019.03.18
자유무역으로부터 일본의 씨앗 유산을 구하기  (0) 2019.03.18
곡성 토란  (0) 2019.03.18
주황 당근의 기원  (0) 2019.03.10
식물의 세 종류  (0) 2019.03.10
728x90

 

 

 

어제 용산역에서 보고 눈길을 사로잡아 버렸던 곡성 토란.

곡성군에서 만든 캐릭터인가 보다.

 

누가 아이디어를 내고 누가 디자인 했을까? 너무 귀엽다. 잘했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무역으로부터 일본의 씨앗 유산을 구하기  (0) 2019.03.18
Kamala Pujari 씨를 만나다  (0) 2019.03.18
주황 당근의 기원  (0) 2019.03.10
식물의 세 종류  (0) 2019.03.10
커피 나뭇잎의 다양성  (0) 2019.03.08
728x90

 

원래 당근은 흰색이나 자주색뿐이었는데, 17세기 네덜란드의 한 육종가가 독립 영웅 빌럼 1세를 기리며 주황색 당근을 개발하여 지금은 당근의 대명사가 되었단다.

 

오렌지 군단 네덜란드의 기원이 스페인에게 대항한 빌럼 1세의 가문에 닿아서 지금의 당근을 낳았내.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mala Pujari 씨를 만나다  (0) 2019.03.18
곡성 토란  (0) 2019.03.18
식물의 세 종류  (0) 2019.03.10
커피 나뭇잎의 다양성  (0) 2019.03.08
작물 변형 기술  (0) 2019.03.04
728x90

 

 

 

속씨식물 겉씨식물 양치식물에 대한 정보도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성 토란  (0) 2019.03.18
주황 당근의 기원  (0) 2019.03.10
커피 나뭇잎의 다양성  (0) 2019.03.08
작물 변형 기술  (0) 2019.03.04
아프리카 노예의 농업 유산을 드러내는 쌀  (0) 2019.02.17
728x90

 

커피콩만큼이나 다양하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황 당근의 기원  (0) 2019.03.10
식물의 세 종류  (0) 2019.03.10
작물 변형 기술  (0) 2019.03.04
아프리카 노예의 농업 유산을 드러내는 쌀  (0) 2019.02.17
작물 확대왕  (0) 2019.02.16
728x90



여섯 가지 작물 변형 기술


  1. 전통적 교잡 육종
    몇 천 년 동안, 전통적 교잡 육종은 작물의 유전학을 개선하는 중추가 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한 식물의 꽃가루는 다른 식물의 꽃에 있는 암술에 놓여져 두 부모의 잡종인 씨앗이 생산된다. 그런 다음 식물 육종가는 다음 세대에서 나오는 자신이 찾고 있는 유익한 특성을 지닌 식물을 선별한다. 허니크리습Honeycrisp 사과 같은 품종은 이런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수천 그루의 잡종 나무가 만들어져 재배되며, 결코 이전에는 존재한 적 없는 유전자의 조합을 가진 단 하나의 새로운 품종을 찾기 위해 시험되었다. 현대의 식물 육종은 선별 과정을 빠르게 진행하고자 유전자 표식을 사용하고, 야생 품종과 밀접히 관련된 종에서 얻은 유전자를 통합시킬 수 도 있다. 여기 몇 개의 영상은 식물 육종가가 활용하는 다양한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교잡 육종은 동일한 종이거나 밀접히 관련된 종에 속하는 경우에만 바라는 특성을 사용할 수 있기에, 식물 육종가가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특성을 생성하기 위한 추가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2. 돌연변이 유발 육종
    자연에서는 자발적인 돌연변이를 통해 새로운 특성이 생기곤 한다. 지난 세기에 이 과정은 식물에서 무작위로 돌연변이를 생성한 다음 새롭거나 바라는 특성을 심사하려고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에틴메탄설포네이트 같은)이나 방사선을 사용하는 과학자들이 모방해 왔다. 돌연변이 유발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이 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루비 레드와 스타 루비 같은 포도 품종의 개발에는 전리 방사선이 사용되었다. 그것이 일으킨 돌연변이는 이들 과일에 특징적인 진한 붉은색을 띠게 했다. 뉴욕타임즈의 이 기사는 이 기술을 이용해 개발된 많은 작물에 대한 사례를 제공한다. 
  3. 배수성(Polyploidy) 육종
    대부분의 종에는 2세트의 염색체가 있다. 하나씩 각 부모에게서 물려받는다. 이것이 이배성(diploidy)으로 알려져 있다. 배수성은 2세트 이상의 염색체가 발생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배수성도 화학물질을 사용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물 변형 기술은 보통 과일의 크기를 키우거나 그 생식력을 수정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씨 없는 수박은 3세트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4세트의 염색체를 가진 수박과 2세트를 가진 수박을 교잡하여 3세트의 염색체를 가진 불임 수박을 만들어 전 세계의 야유회 애호가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감자의 종도 염색체 복사 수가 매우 많으며, 감자 육종가들은 보통 그에 새로운 특성을 육종하기 위해 해당 품종의 복사 수를 변화시켜야 한다(이 과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여기).
  4. 원형질 융합 육종
    꽃가루에 있는 정자 세포가 꽃의 난소에 있는 난자와 결합될 때, 이는 두 개의 세포가 하나로 융합되는 것이다. 원형질 융합은 이과정의 인위적인 유형이다. 유익한 특성은 원형질(식물에게 구조를 제공하는 세포벽이 없는 '노출된' 세포)을 함께 융합시켜 새롭게 융합된 세포로부터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한 종에서 다른 종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으로 개발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특성 가운데 하나는 종 사이에 웅성불임의 전이이다. 웅성불임 식물을 가지고 있다면, 특히 꽃이 작아서 교잡하기 어려운 경우에 더 쉽게 잡종 종자를 만들 수 있다. 무에서 붉은 양배추로 웅성불임이 도입되어 이 작물의 잡종 종자를 생산하는 게 더 쉬워졌다. 
  5. 형질 변형 육종(Transgenesis)
    형질 변형은 다른 유기체에서 온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어느 유기체에 도입하는 과정이다. 이는 보통 시험관에서 DNA 자체를 조작하고 변형시키는 일을 수반한 다음, 그걸 포장하여 새로운 유기체에 삽입한다.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거나 아그로박테리움을 활용하는 유전자총  같은 식물을 변형시키는 여러 방법이 있다. 식물에 DNA를 삽입하려고 자연발생적인 유기체나 전기 천공법이라 부르는 과정인 전기를 활용한다. 형질 변형 식물은 여러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생성되어 왔고, 그 가운데 일부는 상업화되었다. 예를 들어, 파파야는 바이러스에 저항성을 갖도록 식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에서 온 유전자로 변형되었다.  또 다른 특성으로 곤충 저항성, 제초제 저항성 및 가뭄 저항성 등이 있다. 이들 '형질 변형' 작물의 생성은 유전학의 언어가 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보편적이기 때문에, 다른 어떤 종에서 온 유전자라도 작동하게 된다. 똑같은 종에서 기원하는 유전자는 ‘cisgenic’ 또는 ‘intragenic’이라 부를 수 있다. 더 많은 정보는 이 논문을 참조하라.
  6. 유전자 편집
    유전자 편집은 효소 체계를 사용하여 지정된 순서로 세포의 DNA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유전자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체계도 있는데, 가장 유망한 것이 CRISPR-Cas9 체계이다(유전자 편집에 대한 더 많은 정보와 작동 방법은 이 글을 참조). 설포닐유레아 제초제 저항성 유채는 농민들이 잡초를 더 잘 방제하고 돌려짓기를 가능하게 하고자 개발되었다. 이 작물은 Rapid Trait Development System (RTDS)으로 알려진 특허를 받은 유전자 편집 체계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는 일부터 작물의 조상에서 온 '자연적인' 대립 유전자를 복원하는 일까지, 우리가 원하는 어떠한 유전자라도 변형시키기 위해 작물의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다. 

이 방법들 각각은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일부 방법은 다른 것보다 어떤 특성에 대해 더 잘 작동한다. 그들 각각은 유용한 특성을 결합하여 농업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물의 유전자 구성을 변경한다. 그들 모두는 농장에서 재배되며 이익을 생산하고 있고, 모두 한 가지 또는 다른 방식으로 특허를 받을 수 있으며, 그들 모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이 방법으로 만든 산물은 매우 다르게 취급된다. 이러한 기술들이 도입한 변화는  건강과 환경의 안전성에 관한 논의가 있을 때 그것이 처리된 방법과 일렬로 세워지지 않으며, 표시제와 관련된 정치적 논의는  “프랑켄슈타인 먹을거리 역설”로 알려지게 된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형질 변형 육종은 돌연변이 유발 육종보다 훨씬 적은 변화와 비의도성 결과를 가져오는 데(이 기사를 참조), 돌연변이 유발 육종은 일반적으로 정치적 논의에서 받아들여지고 무시된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의 세 종류  (0) 2019.03.10
커피 나뭇잎의 다양성  (0) 2019.03.08
아프리카 노예의 농업 유산을 드러내는 쌀  (0) 2019.02.17
작물 확대왕  (0) 2019.02.16
앉은뱅이 밀에 대한 기억  (0) 2019.01.29
728x90


Tinde van Andel 씨가 수리남의 Paramaribo에 있는 시장에서 도정하지 않은 쌀 한 봉지를 구매했을 때만 해도 그녀는 노예제의 가거를 새롭게 검토하게 될지 전혀 알지 못했다. 현재 네덜란드 Leiden에 있는 Naturalis Biodiversity Center의 민족학자는 2006년 수리남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약용 및 제례용 식물을 조사했다. 그녀는 쌀을 포함한 약초와 제례용 식물을 판매하는 수백 명의 마룬Maroon 여성들로 붐비는 수도의 시장을 발견했다.

수리남의 마룬은 그 국가의 내륙에 있는 열대우림을 피난처로 정하며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던 도주 노예들의 후손이다. 이질적인 경관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초기의 투쟁에도 불구하고, 마룬들은 살아남아 그 문화를 지속해 올 수 있었다. 오늘날 20만 이상의 마룬들이 있고, 대부분은 수리남과 프랑스령 기아나에 살고 있으며 네덜란드에도 적은 수가 있다.  

역사가들은 350년이란 대서양 횡단 무역 기간 동안 1200만 명 이상의 아프리카 대륙의 사람들이 강제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해야 했다고 추정한다. 이 항해에서 살아남은 1070만 명 가운데 약 30만 명의 노예들이 1668년부터 1823년 사이에 라틴아메리카 북동부에 있는 수리남의 네덜란드 식민지로 이송되었다. 거기에서 그들은 급증하는 커피와 설탕 플랜테이션에서 강제로 노동해야 했다.  

수리남에서 van Andel 씨는 노예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이론 -쌀을 포함하여- 이 논의되고 있는 걸 알지 못했다. 아프리카인 노예가 북미의 수익성 좋은 쌀 플랜테이션을 도왔던 벼와 농사법을 가져왔는가? 기존 이론의 대부분은 노예는 주인이 시킨 일을 수행한 무지한 노동자일 뿐이라고 했다.  


아프리카 대륙의 "벼 해안"에 있는 국가에서 잡혀온 노예들은 아메리카 대륙으로 작물에 대한 지식을 가져왔다. Wageningen University


그 논쟁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번서아는 벼 경제를 책임지고 있던 아프리카인 노예의 사례를 제시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벼 역사학자이지 지리학 교수인 Judith Carney 씨가 2002년 저술한 책 Black Rice에 의해 촉발되었다. 벼는 식민지 시대 초기의 아메리카 지역에서 가장 수익성 높은 작물의 하나였으며, 최대 25%의 수익을 올렸다. 아프리카의 쌀은 짙은색의 겉껍질이고,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3개월의 항해 동안 배에 가득 실린 노예들을 먹이기 위해 사용된 단단한 곡물로 제공되었다. 다수확의 아시아의 벼가 결국 플랜테이션을 장악하였지만, 아프리카의 쌀 가장 열악한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재배되었다. 그리고 아프리카인들은 신세계에서 탄탄히 뿌리내리기 위해 필요한 경작술을 가지고 있었다. 

여성들이 오랫동안 활용하던 전통적 벼 농사법을 문서화하며 서아프리카에서 시간을 보낸 Carney 씨는 신세계에서 벼농사의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이 있음을 깨달았다. 아메리카 대륙의 노예들이 파종, 도정, 요리하던 방법만이 아니라 벼를 경작한 미소환경을 아프리카 여성들의 그것과 비교함으로써, 그녀는 노예 소유주들의희소하고 편향된 역사적 기록에 의존하지 않고서 신세계와 구세계 사이의 흥미로운 유사점을 공들여 짜맞추었다."미국 혁명까지 노예들은 아프리카의 농촌 지역처럼 절구와 절구공이로 도정을 했다."고 그녀는 지적했다.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온 전설에서는, 배를 타기 전에 여성들이 머리카락 속에 아직 도정하지 않아 씨앗으로 쓸 수 있던 볍씨를 어떻게 숨겼는지 알려준다. 그녀의 연구는 "아프리카 대리인(African agency)"이라는 개념 -노예들이 적어도 그들의 행동에 대한 언어 구사력을 가졌다는 개념- 을 뒷받침했다. 

Carney 씨의 조사는 최초로 노예들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농업의 성공을 위해 더 많은 인정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주장한 듀크 대학의 노예사학자 Peter Wood 씨의 연구에 기초한다. "1974년에 그것은 진보적 개념이었고, 수십 년 동안 열띤 반응이 나타났다."고 Carney 씨는 이야기한다.

Carney 씨 역시 학술적 비판에 시달렸다. "움직일 수 없는 명백한 증거가 없었다"고 그녀는 말한다. "노예 소유주는 아무도 자신의 노예가 벼를 재배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인정하는 사람이 없었다."라고 그녀는 덧붙인다.

그러다 van Andel 씨의 연구에 관한 말이 나왔다. 2006년 그녀의 수리남 여행에 관한 강연을 한 이후에 van Andel 씨는 Black Rice를 읽은 대학원생 청중에게 그곳에서 벼를 수집했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그녀가 잠시 생각해 보니, 사실 어딘가에서 제례용 쌀 봉지를 가지고 온 것이 있었다. "여기 무엇이 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그는 그 샘플이 아프리카의 쌀이라고 결정되었을 때 나중에 외쳤다. 명백한 증거가 아니더라도, 적어도 추적이 가능한 총알이었다. 


마론으로 알려진 도주 노예들은 수리남의 열대우림에 숨어서 독립을 유지하고,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공동체와 문화를 확립했다. Tinde van Andel


van Andel 씨를 비롯한 학자들은 북아메리카 사람들에게 친숙한 흰쌀인 아시아의 벼가 미국의 플랜테이션에서 재배되고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널리 믿었다.  Van Andel 씨는 아프리카의 벼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녀는 그 식물 자체가 수리남에서 재배되었으며 쌀이 수입되지 않았다는 걸 문서화해야 했다. 그러나 이때까지 그녀는 수리남의 약용식물에 대한 현지조사를 끝마쳤다. 

운이 좋았는지, 그녀는 2008년 Paramaribo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석할 계획이었다. 표본을 찾기 위해 하루 만에 그녀는 약용식물 목록을 조사한 마을인 Mundje Kreek에 사는 친구 Berto Poeketie 씨에게 연락을 했다. 그는 지역에서 검은쌀을 재배한다고 알려진 여성인 Emelina Koese 씨와 연결해 주었다. Koese 씨는 —그 지방에서 가장 널리 믿는 Winti 같은 종교를 지닌 여러 마을 주민들처럼— 외부인을 의심했고, 따라서 그녀의 지식을 낯선 이와공유하길 주저했다. 숲에서 오랫동안 산책하면서 Koese 씨의 신뢰를 얻으려고 노력했다고 van Andel 씨는 이야기한다. 

농지로 가는 길에“나무에 걸어 놓고 도난 방지용으로 쓰이는 약초, 뼈, 천조각 같은 것들이 있었다."고 van Andel 씨는 이야기한다. 그리고 논 밖에서 큰삼각머리독사와 맞닥뜨리면 백인은 들여보내서는 안 된다는 신호라고 Koese 씨는 해석했다. 결국 van Andel 씨는 식물체 하나와 사진 한 장만 원하며 댓가를 지불하겠다고 하면서 그녀를 안심시켰다. 

"그곳은 내가 모든 중요한 제례용 식물이 뿌리째 뽑혔다고 생각했던 똑같은 마을의 바깥에 있었다."고 van Andel 씨는 회상한다. 하지만 아무도 그 쌀의 활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녀는 소량의 아프리카 쌀이 조상에게 제물로 쓰였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것이 '마법' 식물과 어떻게 작용하는지. 당신이 특별하게 하나에 관해 묻는다면 사람들이 자신의 지식을 기꺼이 나누고 싶어한다."고 그녀는 설명한다. "그들이 당신도 무언가 알고 싶어 한다고 생각하면 당신과 대화하는 걸 가치 있다고 결정한다." 

van Andel 씨가 수리남에서 현재 아프리카 벼를 재배한다는 걸 확인했을 때, 아프리카의 벼가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했고 그와 관련된 쌀 농사법이 아프리카인에 의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한 Carney 씨의 이론이 지지를 받았다고 2010년 그 발견에 대해 발표한 Economic Botany의 편집장 Robert Voeks 씨는말한다. 

그러나 그 발견은 시작에 불과했다. 벼가 어떻게 수리남에 이르렀는지 탐험하고자 했던 van Andel 씨는 언어학과 벼 유전학에 관심을 기울였고,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노예들의 이동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창이 열렸다.

van Andel 씨가 수리남에 있으면서 떨칠 수 없던 한 가지 질문이 있었다. 왜 마룬들은 인근의 토착민들과 비교하여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식물을 이용했을까? 그녀는 다른 이름과 응용법 및 준비는 아프리카의 유산과 혼합되었을 가능성으로만 설명될 수 있다고 추측했다. 2010-2012년, 그녀는 가나와 베냉, 가봉을 방문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았다. 수백 만 명의 노예가 강제 이주된 350년 동안 식물학적 이해에는 무엇이 일어났는가? 그들은 무엇을 잊었으며, 무엇을 기억했고, 어떤 적응이 필요했는가?


Tinde van Ande 씨의 수리남의 벼에 대한 연구는 그녀를 서아프리카의 해안으로 데리고 갔고, 수리남에서 아직도 사용되는 식물의 이름과 비슷한 이름들을 발견하게 만들었다. Christiaan van der Hoeven


서아프리카의 국가들을 다니면서 van Andel 씨는 수리남의 식물 이름을 일상적으로 들었다. "수리남의 수많은 식물명은 아프리카에 기반하고 있다."고 그녀는 말한다. 전체적으로 그녀는 수리남의 식물명 2350개를 서아프리카의 그것과 비교했다. 마룬의 토착어 가운데 40% 이상이 소리, 구조, 의미에서 아프리카의 식물명과 닮았다. Van Andel 씨는 "아프리카인의 눈을 통해" 식물군을 보았다고 한다. 학술 문헌을 활용해 그녀는 다른 나라의 식물명과도 비교했다. 가장 이목을 끄는 유사함은 네덜란드가 노예를 구매한 주요 지역인 가봉과 앙골라의 식물명에서 발견되었다. 2014년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된 그녀의 논문은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이 아메리카 식물군의 상당 부분을 인지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노예가 신세계에 왔고 아무 역사가 없으며 텅빈 석판이었다는 건 구식의 사고방식이다. 그건 사실이 아니다."라고 van Andel 씨는 말한다. 당신이 기억 이외에 다른 아무것도 가져올 수 없다면, 그것이 당신의 정체성이 된다. 열대의 아프리카와 아메리카는 매우 다르지만, 식물 군집에는 겹치는 부분이 조금 있다. "열대우림의 종에 대한 아프리카인의 지식이 마룬이 생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van Andel 씨는 말한다. Voeks 씨도 동의한다. "아프리카 노예들은 그들 자신의 전통을 가져와서 남아 있는 종이나 속과 유사한 것들을 이에 겹치게 했다."고 그는 말한다. "그들은 생태학적 변화의 중요한 대리인이었다."

Van Andel 씨는 마룬의 벼가 유전자만 얻을 수 있다면 아프리카에서 기원했다는 걸 추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2015년 남아프리카 Western Cape에서 열린 회이에서 van Andel 씨는 뉴욕대학의 박사후 연구원 Rachel Meyer 씨를 만나 마룬과 아프리카의 토종 벼의 게놈의 염기서열이 일치하는지 함께 확인하기로 약속했다. 2016년 10월,  Carney 씨를 포함한 연구진은 마룬 벼의 기원이 기니아 고원의 국가들, 특히 코트디부아르 서부에 있다고 제시하는 연구결과를  Nature Plants에 발표했다. 네덜란드는 가나와 베냉, 중앙 아프리카에서 노예의 대부분을 잡아들였다. 그리고 노예선의 기록에 의하면, 서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항해하면서 식료품을 확보했다고 나온다.

"우리의 연구는 인구 이동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식물의 염기서열을 이용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고 그녀는말한다.

마룬 벼의 기원에 대한 발견은 싹트기 시작한 새로운 분야 -역사학에 빛을 비추기 위해 식물을 활용- 의 흥미로운 사례이다. 영국 맨체스터 대학의 생물분자 고고학자 Terry Brown 씨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노예의 작물의 기원을 정확히 찾아내고자 유전학이 사용된 건 이번이 처음이지만, 인간 이주에 대한 대용물로 식물이 사용된 건 처음은 아니라고 한다. 


마룬이 재배하는 수리남의 여러 벼 품종은 서아프리카에 유전적 뿌리를 두고 있다. Tinde van Andel


인간의 이주를 추적하고자 식물의 유전학을 활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식물의 재생산은 인간의 그것보다 덜 복잡하며, 경작의 흔적은 인간에게 식물의 가치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인간은 '토요일 밤의 효과'가 있다. 수컷은 짧은 거리를 가서 이주하지 않고도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릴 수 있다."고 그는 덧붙인다. 그러나 식물은 땅에 붙어 있어 식물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보여준다. 

노예가 경작한 신세계의 벼와 아프리카에 있는 그 기원 사이의 연결고리를 밝히는 일 외에도, 새로운 유전적 기술들은 비옥한 초생달 지역에서 농업의 기원이 갑자기 발명도었다는 개념을 뒤집었다. "우리는 이제 농업의 기원이 초기의 수렵채집민이 야생 식물을 더 생산적으로 만들기 위해 다루기 시작하면서 농업이 확립되기까지 8000-9000년이 걸린 오래 계속된 과정이라고 믿는다."고  Brown 씨는 말한다. 그와 다른 사람들은 작물화된 보리와 밀의 게놈을 이용하여 그것이 단일한 근원의 개체군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그 지방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교잡된 것임을 증명한다. 

van Andel 씨에게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노예제의 이야기가 더 많이 있다. 그녀는 오크라부터 얌과 바나나에 이르기까지 더 노력하여 다른 작물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수리남의 마룬들은) 자신의 조상에 대하여 정말로 알고있다."고 그녀는 말한다. "이제 우리는 그들에게 더 많이 물어봐야 할 때이다." 그리고 그 보답으로 그녀는 마룬이 자신의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일을 돕길 희망한다. 

이를 위하여 van Andel 씨는 최근 프랑스 국립 자연사박물관의 민족식물학자 Marie Fleury 씨와 함께 수리남 동부에 이웃한 프랑스령 기아나의 마룬 공동체를 탐사하기 위한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과학 및 탐사 프로그램 기금을 지원받았다. 이 연구진은 올해 여름 벼가 익었을 때 현지조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마룬의 문화는 그녀가 연구를 시작할 무렵에는 익숙하지 않았다. 수리남 마룬의 작은 집단이 네덜란드에서 그녀 근처에 살고 있다. 사실, 제례에 사용된 신성한 식물은 두 나라 사이에서 활발히 교역되었다. 예를 들어 Winti가 1971년까지 금지되었기 때문에 그 관습이 살아 있는 건 놀라운 일이라고 그녀는 말한다. 

"수리남의 마룬들은 차별을 당했고, 때로는 숲에 살고 있는 퇴보된 사람으로 취급되었다."고 van Andel 씨는 이야기한다. 그녀의 노력이 한 가지 사실을 명확히 밝혀준다면, 마룬은 식물에 대해 세대를 뛰어넘는 특별한 지식을 유지하고 있다는 데에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더구나 이들 간과된 작물 품종은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그녀는 말한다. 마룬의 경우, 벼 재배는 전통 종교 뿐만 아니라 역사도 살아 있어 사람들이 역사가 없다고 생각하는 노예 국가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그녀는 말한다.  


https://www.sapiens.org/culture/african-rice-new-world/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나뭇잎의 다양성  (0) 2019.03.08
작물 변형 기술  (0) 2019.03.04
작물 확대왕  (0) 2019.02.16
앉은뱅이 밀에 대한 기억  (0) 2019.01.29
잎 표면 세포의 다양성  (0) 2019.01.25
728x90

진정한 확대왕은 영국에 사는 Peter Glazebrook 씨라고 단언하겠다.





728x90
728x90
'앉은뱅이 밀'이라는 것이 있다. 지금이야 워낙 유명해져서 전국 방방곡곡 모르는 사람이 별로 없고, 여기저기 널리 재배될 뿐만 아니라 상품으로도 꽤 많이 팔리고 있다. 밀의 존재에 대해서는 문헌이나 이야기만 듣다가 2012년 여름, <토종 곡식>을 저술하면서 조사하다가 처음 만나게 되었다. 자료를 뒤지고, 인터넷을 검색하고 어떻게 찾을 수 없을까 알아보다가 진주 금곡 정미소에서 이 밀을 취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바로 전화를 하고 약속을 잡아 대표인 백관실 선생을 만나러 갔다.

이 이야기를 꺼내면서 또 한 명을 기억하지 않을 수 없다. 바로 지금은 고인이 되신 서석태 선생이다. 그 더운 여름에, 가는 길에 서석태 선생을 태우고 금곡 정미소까지 함께 가서 취재를 한 기억이 난다. 가면서 계속 속이 안 좋다며 체했는지 어떤지 안색이 좋지 않으셨다. 결국 그날, 내가 한창 조사하고 있는 와중에 앉아서 쉬시다가 피를 토하며 정신을 잃고 쓰러지셨다. 놀라고 당황하여 경황이 없었지만 먼 길을 왔기에 인터뷰는 마쳐야겠고, 사람은 쓰러졌고, 어떻게 할 바를 몰라 함께 간 주소영 님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저는 자리를 비우기가 어려우니 대신 좀 부탁드린다고. 그리고는 응급차가 와서 함께 경상대병원으로 가서 바로 입원하시고 이후 위암이란 사실이 밝혀졌다. 덕분에 살았다고, 혼자 거창 집에 있었으면 아무도 모르게 쓰러져서 큰일날 뻔했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날의 기억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6년 하고도 7-8개월이나 지났다. 저 세상에서도 주변에 사람들 모아서 재미나게 지내고 계신지 모르겠다. 다시 한번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그를 기억한다.

이야기가 잠시 다른 데로 흘렀다.

앉은뱅이 밀이 아직 살아 있다는 걸 발견하고는 안완식 박사에게도 이 사실을 알려서 지금처럼 전국적으로 퍼지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다. 아무 소리도 안 하고 있었지만 다들 안완식 박사가 앉은뱅이 밀을 다시 찾았다고만 이야기하고 나의 일은 쏙 빠져 있으니 좀 서운한 감정이 드는 것도 인지상정이다. 아무튼 그런 사실 관계는 차치하고, 나는 그런데 왜 앉은뱅이 밀은 그렇게 키가 작아졌을지 궁금했다. 도대체 왜일까? 안완식 박사의 자료에 의하면, 앉은뱅이 밀은 남해안 일대에서 주로 재배되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의 품종명을 기록해 놓은 자료를 보아도 앉은뱅이 밀의 품종명이 나타나는 곳의 분포가 그와 일치하는 걸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면 왜 남해안일까? 여기서부터는 상상력이 필요하다. 나는 바람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했다. 남해안은 보리가 한창 성숙하여 자라고 있을 때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강해지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바다와 인접해 있는지라 더더욱 바람의 변동과 세기가 심했을지 모른다. 이른 자연 조건에서 살아남으려면 키가 큰 것보다 키가 작은 쪽이 더 살아남기에 유리했을 터이다. 그러니 자연히 농민들도 이런 특성을 보이는 밀을 선택하여 재배해 오지 않았을까? 이런 내용은 이미 <토종 곡식>에서 다룬 바 있다.

오랜만에 기사를 검색하다 보니 앉은뱅이 밀에 대한 내용이 참 많아졌다. 그런데 동아일보 김유영 기자는 '앉은뱅이 밀'이 기원전 300년부터 재배되었다는 걸 어떻게 저렇게 자신 있게 작성할 수 있는 것이지? 내가 참 알다가도 모르겠다. http://news.donga.com/BestClick/3/all/20161102/81119377/1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 노예의 농업 유산을 드러내는 쌀  (0) 2019.02.17
작물 확대왕  (0) 2019.02.16
잎 표면 세포의 다양성  (0) 2019.01.25
<일본 재래 벼 품종군의 맛 평가>   (0) 2019.01.25
작물의 왕, 옥수수  (0) 2019.0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