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충분히 아름답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물 확대왕  (0) 2019.02.16
앉은뱅이 밀에 대한 기억  (0) 2019.01.29
<일본 재래 벼 품종군의 맛 평가>   (0) 2019.01.25
작물의 왕, 옥수수  (0) 2019.01.23
바나나 꽃  (0) 2019.01.23
728x90
<일본 재래 벼 품종의 맛 평가>라는 논문

https://www.jstage.jst.go.jp/article/hokurikucs/52/0/52_6/_pdf



일본 재래벼 품종군 맛 평가.pdf


일본 재래벼 품종군 맛 평가.pdf
0.92MB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앉은뱅이 밀에 대한 기억  (0) 2019.01.29
잎 표면 세포의 다양성  (0) 2019.01.25
작물의 왕, 옥수수  (0) 2019.01.23
바나나 꽃  (0) 2019.01.23
식물 육종의 역사  (0) 2019.01.23
728x90

아메리카 대륙, 특히 미국에서는 옥수수가 작물의 왕처럼 여겨졌다. 

그래서일까? 유전자변형 작물로 가장 처음 상용화된 것이 아마 옥수수이지?

상대적으로 밀은 여왕으로 취급되는 점이 무척 재미있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잎 표면 세포의 다양성  (0) 2019.01.25
<일본 재래 벼 품종군의 맛 평가>   (0) 2019.01.25
바나나 꽃  (0) 2019.01.23
식물 육종의 역사  (0) 2019.01.23
매운 토마토를 개발한다  (0) 2019.01.10
728x90

바나나 꽃.

한국에서는 바나나라는 작물이 재배되기 어려워, 늘 바나나의 열매만 보았지 꽃은 처음 찾아보았다.

물론 최근에는 해안성 기후인 지역의 시설하우스에서 점점 재배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것 같더라. 

 

아무튼 바나나의 꽃도 상당히 예쁘다는 걸 알았다.


특히 옥수수가 수염 하나하나에서 수정이 이루어져 옥수수알이 맺히듯이, 바나나는 꽃 안의 암술 하나하나에 수정이 이루어져 바나나 하나하나가 달린다는 걸 알았다. 너무 흥미롭다. 더 자세한 건 나중에 찾아봐야겠다.






728x90
728x90

인간이 식물을 이용해 온 것은 언제부터인가? 인간이 농경을 시작한 것이 이른바 "신석기 혁명"이라 부르는 무렵이라고 보면, 식물을 이용한 것은 그보다 더 오래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더 오래된 구석기 시대의 유적에서도 식물을 이용한 여러 유적과 유물들, 그리고 식물체들이 발굴되고 있다. 당시에는 수렵과 채집이라는 생업 양식을 통하여 야생의 식물을 먹을거리로 이용했을 것이다.


그러던 것이 농경이 시작되면서는 양상이 달라진다. 야생의 식물을 이른바 작물로 길들이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야생의 동물을 가축으로 길들이는 과정을 가축화, 야생의 식물을 작물로 길들이는 과정을 작물화라고 한다. 서아시아 쪽에서는 그 지역에서 발굴되는 작물과 관련된 여러 유물을 통해 대략 1만 년 전을 전후하여 밀이 작물로 길들여졌다는 것이 정설이다. 다른 무엇보다 밀이 갖는 상징성과 중요성 때문에 그렇지 여타의 식물들도 작물로 길들여지기 시작했을 것이다. 




https://seedinginnovation.org/milestones-in-plant-breeding/




아무튼 그 이후 농민들은 여러 가지 식물을 작물로 길들이게 된다. 인간이 한 식물을 작물로 길들이고, 또 그 작물에서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일을 우리는 육종이라 부른다. 그러한 과정에서 활용하는 육종의 방법 가운데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도입 육종"이라든지, "분리 육종"이라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도입 육종은 말 그대로 한 작물이나 그 품종들을 외부의 다른 곳에서 가지고 들어와 재배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토종 씨앗을 수집하러 할머니들을 만나보면 한번쯤 듣는 이야기가 있다. 


"이거? 이거는 내가 시집올 때 가지고 온 거야. 친정 엄마가 이게 좋다고 해서 가져 왔지."


이런 이야기 아니면, 


"그거 내가 이웃 마을에 갔더니 그게 좋다고 해서 얻어다가 계속 심는 거지." 하는 식의 이야기 말이다.


이렇게 어떤 작물의 씨앗을 외부에서 새로 가져와 재배하는 방식을 분류하자면, 도입 육종이라 한다. 


그런가 하면 분리 육종은 이런 것이다. 어떤 작물을 어느 논밭에서 재배하고 있었다. 그런데 아주 우연히 자연적으로 돌연변이가 발생하든지, 아니면 자연 교잡을 통해서 요상하게 생기거나 맛이 다르거나 색이 다른, 아무튼 기존에 재배하던 작물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는 개체가 생긴다. 그럼 눈 밝고 부지런한 농민 같은 경우, 그걸 그냥허투루 넘기지 않는다. 그놈의 씨앗을 따로 받아서 잘 챙겨 놓았다고 이듬해에 다시 심는다. 그러면 거기에서 내가 원하던 특성을 지닌 놈도 나오고 아닌 놈도 나오고 제각각이다. 그럼 그중에서 또 내가 원하는 특성을 지닌 걸따로 골라내 씨앗을 받아 이듬해에 또 농사를 짓고, 다시 그 과정을 해마다 반복하다 보면 드디어 다른 특성이 아닌 내가 바라는 특성만 나타나는 품종이 생기게 된다. 이게 바로 분리 육종의 과정이다. 


과거의 농민들은 대략 이 두 가지 방식을 이용해서 새로운 품종, 이른바 신품종이라거나 개량종이라 부르는 걸 만들어 왔다. 농민이 곧 육종가인 시대였던 것이다. 


그러던 방식이 20세기에 들어오면서부터는 크게 변화하게 된다. 20세기에 일어난 변화의 뿌리는 1800년대의 인물인 멘델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렇다, 중학교 생물시간부터 배웠던 그 수도사 그레고어 멘델이다. 완두를 가지고 흰꽃 붉은꽃 골라가며 무언가 해서 시험 문제에 등장하던 그 멘델이다. 작물 육종의 역사에서는 그를 빼놓을 수 없다. 


멘델의 유전법칙으로 부르는 그의 발견이 처음에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그냥 어디 수도사가 심심풀이 땅콩처럼 행한 실험이겠거니 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다가 1900년대에 들어와 다른 식물학자들이 비슷한 연구를 통해 비슷한 결과를 얻게 되었고, 그러면서 이전에도 이런 선행연구가 있었나 찾아보다가 멘델이 발표한 논문을 발견하게 되면 재평가를 받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멘델의 법칙의 재발견"이라고도 부르더라. 아래 도표를 보면 멘델의 유전법칙이 색이 다르게 표현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그만큼 그의 발견 이전과 이후가 달라지며 그 중요성이 높아서 그렇다. 


https://www.euroseeds.eu/sites/default/files/esa_plant-breeding-evolution_ppt_final.jpeg



멘델의 실험 이후에도 아무 일이 없었던 건 아니다. 학문이란 게 다 그렇듯이, 모두 손을 놓고 있다가 어느 날 갑자기 멘델과 유사한 실험이 있었고, 그를 계기로 멘델의 법칙을 다시 발견하게 된 것은 아니란 말이다. 꾸준히 계속해서 여러 연구가 이어지고 있었다. 그중에 굵직굵직한 사건 몇 가지를 보면 1880년대에 있었던 라이밀 육종이 있다. 이는 밀과 호밀을 교잡한 신품종이다. 첫 교잡은 1875년에 있었고, 첫 타가수정은 1888년에 있었다고한다. 이게 중요한 건 예전에는 육종이란 것이 우연히,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교잡과 돌연변이의 발생에 의존했다면, 이 무렵부터는 인간이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발생시켰다는 점 때문이다. 인류는 이를 기점으로, 수많은 육종 시도를 통해 새로운 품종들이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일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한 시도와 경험이 바탕이되어 1900년대 중반에는 이른바 "녹색혁명"이라 평가하는 사건을 일으키는 것이다. 어떤 사건 하나라도 어느 날 갑자기 마른 하늘에 날벼락 치듯이 일어나는 일은 없다.


다시 위의 도표를 보자. 1900년에는 교잡 육종이란 게 시작되었다. 말 그대로 "인간이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어느 한 작물의 꽃에 있는 꽃가루를 다른 꽃에 수정시키는 것이다. 그를 통해 무엇이 탄생할지는 알 수 없다.유전자가 어떻게 조합이 되어 어떤 특성이 발현되느냐에 달린 문제니까 말이다. 그래도 예전처럼 자연적으로 그런 일이 일어나길 기다리거나 발견할 필요 없이, 내가 마음 먹으면 그걸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그리고 1920년이 되면 처음으로 "잡종강세"라는 현상을 이용한 육종이 시작된다. 이 무렵부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신품종 또는 개량종의 대명사 F1 품종이 상품화되면서부터 종자 시장을 휩쓸게 되는 것이다. 잡종강세라는 건 어느 생물에게서나 다 일어나는 일로서, 흔히 부모보다 나은 자식이 태어나는 걸 가리킨다. 작물의 경우 A라는 작물 품종과 B라는 작물 품종을 교잡시키면 그 자손의 첫 세대, 즉 F1에서는 부모들이 지닌 유전적으로 우세한 특성이 발현되게 되어 있다. 이 현상을 이용해 A와 B라는 작물의 품종에 있는 인간이 바라는 특성만 F1에서 발현되도록 종자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제 씨앗을 나누어 준다든지 함께 쓴다든지 하는 방식의 시대에서 이른바 상품성이 좋은 작물이 수확되는 종자를 사고파는 시대로 넘어가게 된다.


이후에도 육종법은 계속해서 새로운 발견과 발전을 거듭하여, 돌연변이 육종법 같은 방식도 나타난다. 이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돌연변이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X선이나 방사선, 화학약품 등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식물에게서 수많은 돌연변이가 발생하도록 한 뒤 그중에서 마음에 드는 놈을 하나의 품종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영화 X맨 같은 그런 일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또 조직 배양 같은 방식도 있었지만, 영양체로 번식하는 식물 아닌 이상 별로 각광은 받지 못했다.


그보다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일이, 바로 유전공학을 이용한 육종법이 개발되었다는 것이다. 멘델이나 그 이후의 학자들이 연구한 건 유전학(Genetics)이다. 아, 유전이란 이런 것이고, 유전자가 이런 역할을 하는구나 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학문이 유전학이라면,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은 말 그대로 유전자를 인간의 목적에 따라 이렇게 저렇게 조작하고 가공한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식물의 유전자를 이렇게 저렇게 조작하고 변경하여 인간의 입맛에 맞는 작물을 만들어내는 데까지 온 것이다. 그렇게 개발한 작물이 처음으로 상용화된 것이 다들 잘 알다시피 1996년 미국에서부터이다. 지금은 그 영토가 엄청나게 확장되어 주로 신대륙이라 부르는 남북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구대륙이라 할 수 있는 유럽과 아시아 쪽에서는 그에 대한 반대와 반발로 그다지 널리 퍼지지 않고 있다. 이들이 분포역을 보면 또 여러 가지 문제를 생각할 수 있어 흥미롭지만, 여기서는 그냥 1990년대에 처음 상용화되어 농지가 광대한 신대륙 위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는 정도만 알고 넘어가도록 하자. 유전공학 기술을 통해 탄생한 유전자변형 작물(GMO)를 파괴의 씨앗이니 악마의 작물이니 부르는 사람도 있는데, 이들은 그러니까 일종의 프랑켄슈타인 같은 입장일 뿐이다. 모두 우리 인간, 그리고 우리가 모여 살고 있는 사회와 시대가 요구하여 탄생시킨 작품일 것이다. 우리의 사회와 시대적 요구, 그리고 인간이 이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할 것인지 합의하고 조율하여 접근하는 일이 더 중요하지, 이런 걸 개발하여 재배하고 판매하는 것 자체가 옳은 일이냐 그른 일이냐 따지는 건 소모적일지도 모른다. 아무튼 쉽지 않은 문제로서 간단하게 정의를 내리기 어렵다. 


최근 들어서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육종법이 개발되었다. 중국의 허젠쿠이라는 과학자가 유전자 편집을 통해 아기를 만들어냈다는 소식은 다들 잘 알 것이다. 바로 그 방법을 식물에 활용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유전자 편집 작물이 상용화되어 등장할 날도 그다지 멀지 않은 것 같다. 아무튼 이러한 유전공학의 방법은 육종을 하는 인간이 의도하는 바를 매우 정확하고 빠르게 식물에게서 구현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주목을 받으며 활용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분명 20세기에 들어와 산업사회가 무섭게 확장되면서 내건 기치 -생산성, 효율성, 균질성 등등- 가 인간의 경제와 문화는 물론 과학과 농업에도 구석구석 영향을 미친 결과이리라. 21세기는 어떻게 흘러갈까? 여전히 20세기의 가치가 유효하게 그 세력을 더욱더 확장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세기이고 이전 세기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했던 만큼 사람들이 새로운 기치에 합의하고 그를 표방할 것인가? 육종의 역사를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일까지 생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728x90
728x90




으아아아아! 여러분 유전자 편집 기술로 매운 토마토를 생산할 수도 있답니다. 


이 소식을 한국인들이 좋아합니다.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9/jan/07/gene-editing-could-create-spicy-tomatoes-say-researchers?CMP=share_btn_tw


https://www.cell.com/trends/plant-science/fulltext/S1360-1385(18)30261-9

728x90
728x90




<농학, 환경 및 독성학적 특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영향: 21년 동안의 현장 데이터에 대한 메타 분석>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8-21284-2



요약 : 유전자변형(GE) 옥수수의 대규모 재배와 그것의 농업-환경에 대한 영향을 다룬 많은 과학적 보고서에도 불구하고,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위험과 혜택은 여전희 논쟁거리이며 안전에 관한 우려가 남아 있다. 이 메타 분석은 수확량, 곡물의 품질, 비표적 유기체(NTO), 표적 유기체(TO)와 토양의 바이오매스 분해에 관한 동료 심사를 받은 논문(1996-2016년)들을 분석함으로써,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농학, 환경, 독성학적 특성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을 지닌다. 결과는 유전자변형 옥수수가 그 근동질유전자계통보다 더 나은 성취를 이루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했다. 곡물 수확량은 5.6으로 24.5% 더 높으며, 마이코톡신은 -28.8%, 푸모니신은 -30.6%, thricotecens는 -36.5%로 농도가 더 낮았다. 분석된 비표적 유기체는 인시류 활성 Bt 옥수수의 표적인 유럽 옥수수들명나의 천적으로 대표되는 고치벌과(Braconidae)를 제외하고는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줄기와 잎의 리그닌 함량 같은 생지화학적 순환의 모수는 달라지지 않은 반면, 바이오매스의 분해는 유전자변형 옥수수가 더 높았다. 그 결과는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재배를 지지한다. 이는 주로 곡물의 품질이 향상되고, 마이코톡신이 인간에게 노출되는 일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적이 되는 기생충의 감소와 다른 비표적 유기체에 대한 일관된 영향이 결여됨이 확인된다.



이렇다고 합니다. 결론은 유전자변형 옥수수에 대한 여러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괜찮다는 여러 면에서 괜찮다는 이야기네요.



728x90
728x90

Global Greengrants Fund에서 약 4800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아서, 지역의 할머니에게 수집한 토종 수수를 재배한다는 인도네시아 한 지역의 이야기를 읽었다. 

기후변화 등으로 현대적인 농법으로도 흉작이 계속되며 사람들이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고 있는데, 이 이야기의 주인공 Maria Loretha 씨는 그 대신 토종 수수를 재배하는 방법을 강구했단다. 


이들의 시도가 성공을 거두기를 바란다.




728x90
728x90

 

‪미국 농무부에서 이와 같은 디자인으로 유전자변형 농산물 표시를 하려고 한단다.

“생명공학에서 유래된” 이라는 글귀와 함께.

 

대충 봐서는 이게 뭔지 의식하지도 못하겠네.

728x90
728x90

농장에서 하는 유기농 식물 육종







목차


1부: 들어가며

    Why plant breeding is important

    A philosophy of organic plant breeding

        Our farming ancestors never stopped breeding

        Returning farmers to their role as seed stewards


2부: 식물 육종의 기초

    Selection in theory and practice

    How to select

    A crop’s mating system and how it affects plant breeding

        Self-pollinated crops

        Cross-pollinated crops

    Breeding self-pollinated crops vs. breeding cross-pollinated crops


3부: 식물 육종 계획의 개발

    Thinking about your target environment

    Determining traits 

    Prioritizing traits

        How can the traits be measured?

        How easily can the traits be inherited?

    Choosing parents

    Creating a breeding timeline


4부: 현장에 기반한 유기농 식물 육종의 이론

    How genes travel from parents to offspring

        How genes determine the appearance and performance of plants

        How genes travel together during reproduction

    How genes operate in populations

    How to see the genetic differences between plants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Ensure that plants receive consistent treatment 

        Use sufficient population and plot sizes


5부: 유기농업을 위해 육종하는 농민의 사례 

    ‘Abundant Bloomsdale’ organic spinach breeding project

        What were the goals of this project?

        Breeding procedure 

    ‘Winter Sprouting’ Broccoli 

        What were the goals of this project?

        Breeding Procedure


용어해설과 찾아보기

참조 및 출처










계속......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