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나는 축산업에서만 항생제 남용이 문제가 되는 줄 알았는데, 현장에서 과수 농사를 짓는 분 이야기를 들으니 과수에서도 세균병 때문에 항생제를 엄청나게 뿌린다고 하신다.

그래서 오늘 아침에는 해당 내용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니 이런 글이 나왔다. 2013년에 작성한 내용인데, 세균병에는 항생제가 좋으니 돈 아까워하지 말고 팍팍 뿌리라는 게 골자이다. http://ecotopia.hani.co.kr/174181

축산업만이 아니라 과수농사에서도 흔하게 사용되는 게 항생제인가 보다. 그래도 괜찮은 건가? 특히 더 우려스러운 점은, 과수 농사짓는 분이 말씀하시길 320여 가지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항생제 항목은 없다고 하는 게 아닌가? 본인이 못 찾았을 수도 있지만 꼼꼼히 살펴보았는데 따로 없더라고 한다. 농산물 품질관리원 같은 곳에 전화를 해서 담당자들과 통화도 했는데, 담당자들조차 무슨 농사에 항생제를 뿌리냐는 식의 대응만 했단다. 나도 그런 점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으니 그 사람들도 그랬을 것이다. 농사를 모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럴 것이다.

누구 농산물에 항생제를 살포하고 잔류하는 문제에 대해서 아시는 분 없습니까? 축산업에서도 육류에 잔류한다든지, 슈퍼 박테리아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추세로 가고 있는데, 과수 농사 등에서는 그냥 막 뿌려도 괜찮은 겁니까?



728x90
728x90

살충제 계란 문제로 시끄러운 요즘. 미국에서는 양계업에서 사용하는 항생제 문제를 다루는 책 <Big Chicken>이 출간되었단다. 과연 값싼 고기를 풍족히 먹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일이냐?


https://www.economist.com/news/united-states/21729544-new-book-about-rise-cheap-chicken-how-use-antibiotics-poultry-farming?fsrc=scn%2Ftw%2Fte%2Fbl%2Fed%2Fhowtheuseofantibioticsinpoultryfarmingchangedthewayamericaeats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농업 현대화  (0) 2017.09.29
쌀 대책, 이게 최선인가?  (0) 2017.09.29
중국을 뒤덮고 있는 농업용 비닐  (0) 2017.09.09
농부 없는 농사  (0) 2017.09.07
프랑스의 글리포세이트 퇴출  (0) 2017.09.07
728x90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 2010-2015년에 회원국들에게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최초로 작성했다는 <가축 항생제 사용 연간보고서>입니다. 필요하신 분 참고하세요.


728x90
728x90
<유기농 식품과 유기농업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란 유럽연합의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요약은 이렇다.

"이 보고서는 유럽연합에서 유기농 관리 기법이 건강한 먹을거리 체계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유기농 식품의 영향에 관한 기존의 과학적 증거들을 검토한다.

인간의 건강에 유기농 식품이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거의 없다. 유기농 식품은 알러지 질환과 비만의 위험을 줄일 수는 있지만, 이 증거가 확실한 건 아니다. 유기농 식품의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더 건강한 식단을 챙기는 경향이 있다. 동물 실험에 의하면 유기농 또는 관행농의 농산물로 똑같이 구성된 사료가 초기의 발육과 생리학에 다른 영향을 미치지만, 인간의 건강에 대해서는 이런 결과의 중요성이 불분명하다.

유기농업에서는 농약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역학연구에서는 현행 노출 수준에서 특정 농약이 어린이의 인지 발달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위험은 특히 임신과 유아기에 유기농 식품으로, 그리고 관행농업에 농약을 쓰지 않는 식물보호를 도입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다.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의 작물 사이에는 알려진 구성의 차이점이 거의 없다. 아마 가장 중요한 것은, 비료의 사용량과 토양 유기물의 차이로 인하여 유기농의 작물이 관행농의 작물보다 카드뮴 함량이 낮다는 지표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건강과 매우 큰 관련이 있다. 유기농 우유와 아마 육류도 관행농의 축산물과 비교하여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높긴 하나, 이것이 다른 먹을거리에 비추어 영양학적으로 중요하지는 않다.

관행농의 동물 생산에서는 항생제를 보편적으로 사용해 항생제 내성을 발생시킨다. 유기농 생산에서 실행하는 것처럼, 동물 질병의 예방과 항생제의 제한적 사용은 공중보건에 잠재적으로 상당한 이익을 가져오는 것과 함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니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유기농업의 생산물이 관행농업의 생산물과 비교하여 인간의 건강에 확실히 이런 게 더 좋다고 말할 수 있는 건 아직은 없다는 내용이다. 현재로서는 유기농산물이 관행농산물에 비해 이런 측면에서는 더 좋은 것 같기도 하다는 정도만 밝혀진 것이라고나 할까? 이건 전부터 이야기했지만, 유기농업을 인간의 건강이라는 측면에서만 바라보면 당연히 나올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닌가 한다. 그래서 그보다는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의 노동환경, 생산자와 소비자의 문제 같은 사회경제적 측면과 농약과 비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생태환경적 측면을 함께 놓고 평가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그렇게 되면 문제가 너무 복잡해지니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연구하고 검토할지도 어려운 일이 된다.

그래도 이런 보고서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또 한 걸음 내딛을 수 있는 징검다리가 놓이는 것이니 이 과정을 절대 무시해서는 안 되리라. 징검다리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지 모른다. 징검다리를 하나하나 놓고 한 걸음 한 걸음 걸어가는 수밖에.


유기농산물과 인간의 건강.pdf
1.88MB
728x90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의 곡물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사실  (0) 2017.06.07
견제와 균형  (0) 2017.05.30
음식 문화는 변하는 거야  (0) 2017.04.03
미식가로 변한 농부 이야기  (0) 2017.03.17
영국의 식물학자 존 제라드  (0) 2017.01.17
728x90




농산물에는 유기농업 이전 단계로 무농약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농약을 쓰지 않고 농사지은 농산물에 붙여주는 인증이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축산물에는 무항생제라는 것이 있다. 이건 항생제와 같은 약품을 쓰지 않고 가축을 사육했다는 뜻이다. 항생제는 가축의 질병을 치료하고 막는 데에도 쓰이지만, 축산업에서 더 중요한 역할은 살을 찌우는 데에도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항생제를 남용한 가축의 살을 먹으면 어떻게 될까? 그것이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위해를 가하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그렇게 항생제를 남용한 가축의 살을 먹음으로써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슈퍼 박테리아 등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런 병균에 감염이 되면 어떤 항생제를 먹어도 치료가 되지 않아 죽을 확률이 높다는 말이다. 정말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미국에서는 이런 문제로 연간 2만3천 명 정도가 목숨을 잃는다고도 하니 얼마나 위험한가.



그런데 아래 기사를 보면 정부의 무항생제 인증에 구멍이 뻥뻥 뚫려 있다는 것이 드러난다. 너무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어쩌랴.

그뿐만 아니라 가축에게 먹이는 사료에도 잔류농약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많을 수도 있단다. 가까운 일본보다 더 허술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어 대충 아무거나 -싼 게 비지떡이라고 값싼 사료들이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상대적으로 허술한 잔류농약 기준에 걸러지만 않으면 되는 그런 사료를 사다가 사육된단다. 


제발 먹는 일과 관련된 일만이라도 엄격하게 다루었으면 좋겠다. 먹을거리로 장난질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

정부가 인증한 ‘무항생제 축산물’이 실제로는 표시된 것과 달리 각종 약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등 6개 기관을 상대로 축산물 안전관리 실태 관련 감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해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도록 통보했다고 30일 밝혔다.

감사결과 농림부로부터 무항생제 축산물 생산 인증을 받은 농가들도 도축전 일정 기간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휴약기간 규정을 제외하면 약품 사용 규정에 있어 일반 농가들과 사실상 차이가 없었다.

2013년 검사 결과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농가가 사육한 소와 돼지에서 유해잔류물질이 검출됐고, 심지어 일부 인증농가는 일반 농가보다 한우 한 마리당 2배 가까운 약값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감사원은 “무항생제 축산물이 일반 축산물과 유사한 정도로 약품을 사용하고 있는데도 '무항생제'를 표시제도로 그대로 운영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가축 사료를 대상으로 하는 잔류 농약 검사 품목도 국제 추세에 비해 훨씬 느슨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4월 농림부가 지정, 고시한 기준은 32개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가 정한 국제규격인 코덱스(Codex)의 99개에 비해 3분의 1이 안 됐고, 일본의 68개에 비해서 절반에도 못 미쳤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http://m.kmib.co.kr/view.asp?arcid=0009288644&code=61111111&sid1=soc#cb


728x90
728x90





Indiscriminate use of precious medicines in animal feed may lead us into a post-penicillin age.

The outbreak was predictable but still a shock. Salmonella infections emerged in California in March 2013, eventually spreading to 23 states. Although none of the 430 infected victims died, the illness was unusually severe. Nearly 40 percent of those infected required hospitalization. In October, the likely source was traced to people who had consumed Foster Farms chickens. When laboratory analysis discovered that strains causing the infections were resistant to several commonly prescribed antibiotics, the outbreak was seen as another demonstration of the dangers of mass use of antibiotics in industrial food animal production.

Antibiotic resistance has become such a widespread threat that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Commission recently warned: "… we are at the dawn of the postantibiotic era." In the U.S. alone, at least 2 million people acquire serious resistant infections every year leading to 23,000 deaths, according to recent CDC estimates. This epidemic of drug resistance is happening as the pipeline of new antibiotics is dwindling.

Since the discovery of penicillin in 1928, antibiotics have heralded a new era in humanity's war against pathogens. They also have been used extensively. An estimated 190 million doses of antibiotics are given to people every year in U.S. hospitals, according to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And up to half of all courses of antibiotics are unnecessary because the patient has a cold or other viral infection, according to ACP.

"I bought 10-pound bags of penicillin and tetracycline. When I tell my clinical friends [this story], they
begin to understand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Ellen Silbergeld

Misuse of antibiotics in clinical settings plays a role in antibiotic resistance, but the far greater contributor to the problem is the massive use of antibiotics in animal feed, says Ellen Silbergeld, PhD '72, who investigated the issue for 12 years and is writing a book on industrial farm animal production.

Eighty percent of antibiotics produced in the U.S. are used in industrial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FDA. The sub-therapeutic doses of multiple types of antibiotics given to cattle, swine and chickens are leading to multidrug resistance, says Silbergeld, an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professor. "Scientists who have looked at this issue have concluded that the major contribution to the problem is from animals because of the sheer amounts of antibiotics used in agriculture."

Silbergeld has seen the quantities used firsthand. Told by an FDA official seven years ago that it wasn't possible to buy large quantities of antibiotic feed additives, she went to a feed store on Maryland's Eastern Shore, home to many large poultry-raising operations. When she inquired about purchasing feed additive antibiotics, she was offered several types-in 10-, 25- and 50-pound bags. "I bought 10-pound bags of penicillin and tetracycline. When I tell my clinical friends [this story], they begin to understand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Robert Lawrence, MD, director of the Bloomberg School's Center for a Livable Future, also finds current practices to be a serious concern. Never "have such large quantities of antibiotics been routinely used at doses destined to accelerate the emergence of resistance," Lawrence says.

Early in his medical career, he says he could never have imagined such antibiotic profligacy. "As new antibiotics were introduced, it was common practice to mandate an infectious disease consultation before releasing the new drug from the hospital pharmacy … to preserv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antibiotic as long as possible," Lawrence says.

Yet, the FDA took a different approach when it came to their use in agriculture and began approving antibiotics as additives to animal feeds in 1946, says Silbergeld.

While several countries in Europe have reduced or banned the practice of using antibiotics as growth promoters, U.S. regulators have done little in the last 40 years-only recently adding voluntary guidelines. Public health scientists generally attributed this glacial movement to the combined influence of the agricultural and pharmaceutical lobbies.

Some of their tactics remind Silbergeld of the lead industry in the 1980s challenging public health researchers to "link" lead in gasoline with lead poisoning in a specific child. "When the government actually removed and then banned lead in gasoline," she says, "levels of lead in U.S. children declined in direct proportion to the reduction. Similar findings with respect to antimicrobials and drug resistance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EU countries following bans on use in feeds."

Following European bans of antibiotic use in animal feed more than a decade ago, for example, data collected by academic, government and industry scientists in several EU countries showed that rates of antibiotic resistance isolated from bacteria in humans, animals and food items decreased.

The U.S. could learn from the Europeans, Silbergeld says. "We collect such poor data, and industry and government have so successfully resisted legislation to improve data collection, that it is possible for [both government and industry] to continue their claims that absence of evidence is evidence of absence. The other problem is that we don't do anything with the data we do have. This is stupidity in place of science."

Investigators frequently find themselves stymied by industrial producers who deny researchers access to farms and production data, a problem known as the "ag gag." But researchers like Silbergeld have been innovative. She and colleagues Ana Rule, PhD '05, MHS '98, and Sean Evans, a PhD candidate, followed trucks moving poultry to processing plants and detected drug-resistant bacteria on surfaces and in the air inside cars traveling behind trucks carrying broiler chickens. Johns Hopkins PhD candidate Joan Casey (with co-authors Frank Curriero, PhD, MA; Sara E. Cosgrove, MD, MS; Keeve E. Nachman, PhD '06, MHS '01; and Brian S. Schwartz, MD, MS) recently used a large database of health records from a major HMO and plotted the location of patients' homes to show that people with more exposure to large animal operations were at greater risk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than those with less exposure. And Silbergeld and colleagues at Johns Hopkins' Homewood campus are seeking grant funding to collect evidence of the history of antibiotic use in Eastern Shore poultry operations by digging core samples of Pocomoke River sediment.

While European countries have already forced the industry to abandon antibiotics as growth promoters, the FDA in the U.S. has yet to require industry to take action. New FDA guidelines released in December 2013 ask pharmaceutical companies to voluntarily revise their labels so that antimicrobial drugs are reserved for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under the supervision of a veterinarian rather than growth promotion. The FDA argues that the voluntary guidelines, which include a three-year transition phase, will avoid years of litigation. David Kessler, a former FDA commissioner, told The New York Times: "This is the first significant step in dealing with this important public health concern in 20 years."

To many in public health, however, the voluntary effort seems a weak response. CLF researchers say the new FDA policy will still allow industrial food animal producers to use the same low doses of antibiotics in feeds by simply claiming they are for disease prevention rather than growth promotion.

The new guidelines are not "much of a step forward," says Nachman, a CLF scientist. "Voluntary measures from regulatory agencies are rarely seen as a successful vehicle for making change. I'm glad the agency is paying attention; I'm just saddened that the nature of their attention is not really going to result in a whole lot."

728x90
728x90






IF you walk into a farm-supply store today, you’re likely to find a bag of antibiotic powder that claims to boost the growth of poultry and livestock. That’s because decades of agricultural research has shown that antibiotics seem to flip a switch in young animals’ bodies, helping them pack on pounds. Manufacturers brag about the miraculous effects of feeding antibiotics to chicks and nursing calves. Dusty agricultural journals attest to the ways in which the drugs can act like a kind of superfood to produce cheap meat.


But what if that meat is us? Recently, a group of medical investigators have begun to wonder whether antibiotics might cause the same growth promotion in humans. New evidence shows that America’s obesity epidemic may be connected to our high consumption of these drugs. But before we get to those findings, it’s helpful to start at the beginning, in 1948, when the wonder drugs were new — and big was beautiful.


That year, a biochemist named Thomas H. Jukes marveled at a pinch of golden powder in a vial. It was a new antibiotic named Aureomycin, and Mr. Jukes and his colleagues at Lederle Laboratories suspected that it would become a blockbuster, lifesaving drug. But they hoped to find other ways to profit from the powder as well. At the time, Lederle scientists had been searching for a food additive for farm animals, and Mr. Jukes believed that Aureomycin could be it. After raising chicks on Aureomycin-laced food and on ordinary mash, he found that the antibiotics did boost the chicks’ growth; some of them grew to weigh twice as much as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Mr. Jukes wanted more Aureomycin, but his bosses cut him off because the drug was in such high demand to treat human illnesses. So he hit on a novel solution. He picked through the laboratory’s dump to recover the slurry left over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drug. He and his colleagues used those leftovers to carry on their experiments, now on pigs, sheep and cows. All of the animals gained weight. Trash, it turned out, could be transformed into meat.


You may be wondering whether it occurred to anyone back then that the powders would have the same effect on the human body. In fact, a number of scientists believed that antibiotics could stimulate growth in children. From our contemporary perspective, here’s where the story gets really strange: All this growth was regarded as a good thing. It was an era that celebrated monster-size animals, fat babies and big men. In 1955, a crowd gathered in a hotel ballroom to watch as feed salesmen climbed onto a scale; the men were competing to see who could gain the most weight in four months, in imitation of the cattle and hogs that ate their antibiotic-laced food. Pfizer sponsored the competition.


In 1954, Alexander Fleming — the Scottish biologist who discovered penicillin — visited the University of Minnesota. His American hosts proudly informed him that by feeding antibiotics to hogs, farmers had already saved millions of dollars in slop. But Fleming seemed disturbed by the thought of applying that logic to humans. “I can’t predict that feeding penicillin to babies will do society much good,” he said. “Making people larger might do more harm than good.”


Nonetheless, experiments were then being conducted on humans. In the 1950s, a team of scientists fed a steady diet of antibiotics to schoolchildren in Guatemala for more than a year,while Charles H. Carter, a doctor in Florida, tried a similar regimen on mentally disabled kids. Could the children, like the farm animals, grow larger? Yes, they could.


Mr. Jukes summarized Dr. Carter’s research in a monograph on nutrition and antibiotics: “Carter carried out a prolonged investigation of a study of the effects of administering 75 mg of chlortetracycline” — the chemical name for Aureomycin — “twice daily to mentally defective children for periods of up to three years at the Florida Farm Colony. The children were mentally deficient spastic cases and were almost entirely helpless,” he wrote. “The average yearly gain in weight for the supplemented group was 6.5 lb while the control group averaged 1.9 lb in yearly weight gain.”


Researchers also tried this out in a study of Navy recruits. “Nutritional effects of antibiotics have been noted for some time” in farm animals, the authors of the 1954 study wrote. But “to dat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the nutritional effects in humans, and what little evidence is available is largely concerned with young children. The present report seems of interest, therefore, because of the results obtained in a controlled observation of several hundred young American males.” The Navy men who took a dose of antibiotics every morning for seven weeks gained more weight, on average, than the control group.


MEANWHILE, in agricultural circles, word of the miracle spread fast. Jay C. Hormel described imaginative experiments in livestock production to his company’s stockholders in 1951; soon the company began its own research. Hormel scientists cut baby piglets out of their mothers’ bellies and raised them in isolation, pumping them with food and antibiotics. And yes, this did make the pigs fatter.


Farms clamored for antibiotic slurry from drug companies, which was trucked directly to them in tanks. By 1954, Eli Lilly & Company had created an antibiotic feed additive for farm animals, as “an aid to digestion.” It was so much more than that. The drug-laced feeds allowed farmers to keep their animals indoors — because in addition to becoming meatier, the animals now could subsist in filthy conditions. The stage was set for the factory farm.


And yet, scientists still could not explain the mystery of antibiotics and weight gain. Nor did they try, really. According to Luis Caetano M. Antunes, a public health researcher at the Oswaldo Cruz Foundation in Brazil, the attitude was, “Who cares how it’s working?” Over the next few decades, while farms kept buying up antibiotics, the medical world largely lost interest in their fattening effects, and moved on.


In the last decade, however, scrutiny of antibiotics has increased. Overuse of the drugs has led to the rise of antibiotic-resistant strains of bacteria — salmonella in factory farms and staph infections in hospitals. Researchers have also begun to suspect that it may shed light on the obesity epidemic.





In 2002 Americans were about an inch taller and 24 pounds heavier than they were in the 1960s, and more than a third are now classified as obese. Of course, diet and lifestyle are prime culprits. But some scientists wonder whether there could be other reasons for this staggering transformation of the American body. Antibiotics might be the X factor — or one of them.


Martin J. Blaser, the director of the Human Microbiome Program and a professor of medicine and microbiology at New York University, is exploring that mystery. In 1980, he was the salmonella surveillance officer for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oing to farms to investigate outbreaks. He remembers marveling at the amount of antibiotic powder that farmers poured into feed. “I began to think, what is the meaning of this?” he told me.


Of course, while farm animals often eat a significant dose of antibiotics in food, the situation is different for human beings. By the time most meat reaches our table, it contains little or no antibiotics. So we receive our greatest exposure in the pills we take, rather than the food we eat. American kids are prescribed on average about one course of antibiotics every year, often for ear and chest infections. Could these intermittent high doses affect our metabolism?


To find out, Dr. Blaser and his colleagues have spent years studying the effects of antibiotics on the growth of baby mice. In one experiment, his lab raised mice on both high-calorie food and antibiotics. “As we all know, our children’s diets have gotten a lot richer in recent decades,” he writes in a book, “Missing Microbes,” due out in April. At the same time, American children often are prescribed antibiotics. What happens when chocolate doughnuts mix with penicilli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ramatic, particularly in female mice: They gained about twice as much body fat as the control-group mice who ate the same food. “For the female mice, the antibiotic exposure was the switch that converted more of those extra calories in the diet to fat, while the males grew more in terms of both muscle and fat,” Dr. Blaser writes. “The observations are consistent with the idea that the modern high-calorie diet alone is insufficient to explain the obesity epidemic and that antibiotics could be contributing.”


The Blaser lab also investigates whether antibiotics may be changing the animals’ microbiome — the trillions of bacteria that live inside their guts. These bacteria seem to play a role in all sorts of immune responses, and, crucially, in digesting food, making nutrients and maintaining a healthy weight. And antibiotics can kill them off: one recent study found that taking the antibiotic ciprofloxacin decimated entire populations of certain bugs in some patients’ digestive tracts — bacteria they might have been born with.


Until recently, scientists simply had no way to identify and sort these trillions of bacteria. But thanks to a new technique called high-throughput sequencing, we can now examine bacterial populations inside people. According to Ilseung Cho, a gastroenterologist who works with the Blaser lab, researchers are learning so much about the gut bugs that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make sense of the blizzard of revelations. “Interpreting the volume of data being generated is as much a challenge as the scientific questions we are interested in asking,” he said.


Investigators are beginning to piece together a story about how gut bacteria shapes each life, beginning at birth, when infants are anointed with populations from their mothers’ microbiomes. Babies who are born by cesarean and never make that trip through the birth canal apparently never receive some key bugs from their mothers — possibly including those that help to maintain a healthy body weight. Children born by C-section are more likely to be obese in later life.


By the time we reach adulthood, we have developed our own distinct menagerie of bacteria. In fact, it doesn’t always make sense to speak of us and them. You are the condo that your bugs helped to build and design. The bugs redecorate you every day. They turn the thermostat up and down, and bang on your pipes.


In the Blaser lab and elsewhere, scientists are racing to take a census of the bugs in the human gut and — even more difficult — to figure out what effects they have on us. What if we could identify which species minimize the risk of diabetes, or confer protection against obesity? And what if we could figure out how to protect these crucial bacteria from antibiotics, or replace them after they’re killed off?


The results could represent an entirely new pharmacopoeia, drugs beyond our wildest dreams: Think of them as “anti-antibiotics.” Instead of destroying bugs, these new medicines would implant creatures inside us, like more sophisticated probiotics.


Dr. Cho looks forward to this new era of medicine. “I could say, ‘All right, I know that you’re at risk for developing colon cancer, and I can decrease that risk by giving you this bacteria and altering your microbiome.’ That would be amazing. We could prevent certain diseases before they happened.”


Until then, it’s hard for him to know what to tell his patients. We know that antibiotics change us, but we still don’t know what to do about it. “It’s still too early to draw definitive conclusions,” Dr. Cho said. “And antibiotics remain a valuable resource that physicians use to fight infections.”


When I spoke to Mr. Antunes, the public health researcher in Brazil, he told me that his young daughter had just suffered through several bouts of ear infections. “It’s a no-brainer. You have to give her antibiotics.” And yet, he worried about how these drugs might affect her in years to come.


It has become common to chide doctors and patients for overusing antibiotics, but when the baby is wailing or you’re burning with fever, it’s hard to know what to do. While researchers work to unravel the connections between antibiotics and weight gain, they should also put their minds toward reducing the unnecessary use of antibiotics. one way to do that would be to provide patients with affordable tests that give immediate feedback about what kind of infection has taken hold in their body. Such tools, like a new kind of blood test, are now in development and could help to eliminate the “just in case” prescribing of antibiotics.


In the meantime, we are faced with the legacy of these drugs — the possibility that they have affected our size and shape, and made us different people.

728x90
728x90

흙이란? 물, 바람, 기온 등에 의한 풍화작용으로 바위가 부서져 가루가 된 것으로, 여기에 동식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이 합쳐져 탄생된다. 흙 1cm가 생성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대략 200년 정도이다. 여기에 인간의 노동력이 더해져 작물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토양이 숙전화되며 농지가 만들어지고 식량을 생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쓰레기, 산업폐수, PVC 비닐, 방사능 등 각종 폐기물과 산성비 등으로 토양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토양의 유실과 악화로 인해 앞으로 겉흙을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이 약 60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는 등 흙이 죽어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러면 지금 우리가 작물을 생산하고 있는 토양의 현주소는 어떠한가?


첫째는 항생제이다. 육류 1kg을 생산하는데 0.72g의 항생제가 쓰이고 있는 우리나라는 미국의 3배, 영국의 5배, 스웨덴의 24배가 되는 양을 가축의 사료에 또 질병 치료에 쓰고 있는 실정인데, 항생제는 축분을 통해 토양에 유입되어 흙 1g에 100억 마리 이상이 살고 있는 미생물의 숫자를 급격하게 낮추는 영향을 주고 있다. 토양에 잔류하는 항생제는 토양 미생물을 죽이거나 활동을 억제하고, 이는 유기물 분해를 지연시켜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늘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둘째, 농약 사용량 역시 OECD 국가 가운데 1위를 차지할 정도이다. 전 세계 4위인 영국의 2배, 폴란드의 16, 캐나다의 21배 이상을 쓰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해 1,200여 종을 가지고 단위면적당 13.1kg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화학비료의 사용량도 만만치 않다. 화학비료의 사용량은 1ha당 242kg으로 세계 8위이다.


이렇게 농업에 항생제나 농약, 화학비료를 많이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에서는 우리의 농산물이 세계 최고라고 소리칠 수도 없고, 외국으로 수출할 수도 없는 건 아닌지, 또 국내 소비자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작물을 생산하는 흙이 숨쉬지 못하고 죽어가고 있다는 현실이다. 토양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근절하지 못하면 고품질의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겠다는 말이 성립될 수 없다. 또 토양이 병든만큼 인간도 병들 수밖에 없다는 것도 명심해야 할 일이다.


이렇게 병들어 가는 흙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첫째는 토양에 항생제, 농약, 화학비료 등의 투입량을 최소화하거나 중단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박정희 정부에서 추진했던 식량자급을 위한 다수확 정책의 실천으로 밀식과 밀파(같은 면적에 종자를 많이 뿌리는 농법)를 하고 화학비료와 농약을 많이 사용하여 수확량을 높이겠다고 했던 지난 시절의 농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현실에서, 항생제와 농약, 화학비료를 투입하지 않고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로서 그 실천을 주저하고 있는 것이다.


농약뿐만 아니라 비료나 퇴비조차 사용하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는 자연농법의 창시자 일본 “기무라 아키노라” 씨는 산속의 식물들은 비료가 없어도 풍성하게 잘 자라고, 농약을 하지 않아도 가지가 휠 정도로 열매를 맺으며 해거리도 없다고 얘기한다. 또 우리나라에서 자연농법을 실천하고 있는 조영상 씨는 "도법자연(道法自然) : 자연에게 물어보고 자연을 따라야 된다." "자타일체(自他一體) : 몸과 땅(흙)은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으로 자기가 사는 땅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좋다는 것을 의미(로컬푸드), "성속일여(聖俗一如) : 약도 과하면 독이 되고 독도 적당하면 약이 된다"는 의미로 토양 미생물 등을 잘 활용하면 좋은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산야초 공생(山野草 共生) : 풀과 공생을 적극적으로 모색 할 때가 자연농법이 실천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둘째, 녹비작물, 산야초와 공생공존을 통한 지구온난화 방지와 흙을 살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녹비작물을 재배하면 토양의 보습효과가 극대화되고, 토양의 비옥도가 상승하면서 병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많다. 이렇게 녹비작물을 이용한 초생재배를 하면 기후온난화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과수의 ‘조기개화’ 또는 기온 급강하로 인한 ‘동해나 냉해’ 및 여름철 초고온기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토양 초고온화’로 인한 피해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흙을 살릴 수 있는 일석삼조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셋째, 흙(토양)을 자원 차원에서 다루는 정책의 전환이 요구된다. 흙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이라는 인식이 매우 부족하다. 흙은 생물과 같이 생겼다가 성숙하며 병들고 죽는 생명이 있는 자원이라는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토양은 경관을 이루는 바탕이 될 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물질순환에서도 근본이 되며, 현재는 주말농장, 도시농업 등이 활발해지면서 토양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홍보하는 정책이 필요한 때이다. 10~15cm의 겉흙에 세균, 곰팡이, 원생동물과 같은 토양 미생물과 선형동물(선충류), 땅강아지 등의 절지동물, 환형동물인 지렁이, 두더지 같은 척추동물 등 흙속에도 먹이그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안전한 농산물을 소비자의 식탁위에 올려놓기 위해서, 즉 유기농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항생제, 화학농약, 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아 흙속에 미생물 등을 기반으로 하는 먹이그물을 만들어 주어야 하고, 식물의 영양분을 공급해주기 위해 녹비작물을 재배해야 하며, 흙을 자원으로 보고 지원하는 정책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가 지금이라고 판단된다. 




유기농업의 실천을 위해 흙을 살려야 하는데 가장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녹비작물을 재배하여 화학비료를 대체하고 병충해나 잡초로부터 약간의 자유로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유기농업에 꼭 필요한 녹비작물이란 무엇인가?

녹비작물이란 일종의 비료식물로서, 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토양에 넣어줄 목적으로 작물재배 전 또는 재배중에 심어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녹비작물은 코와, 화본과, 경관 겸용 작물로 나뉘며, 각자가 지닌 장점에 따라 달리 이용하고 있다. 질소비료 대체효과가 뛰어난 콩과 작물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자운영, 헤어리베치, 크림손클로버, 살갈퀴, 완두콩 등이 있으며, 양분의 흡수력이나 보수력이 뛰어나 토양개량에 탁월한 화본과 작물에는 호밀, 보리, 수단그라스, 옥수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등이 있다. 아름다운 꽃을 즐길 수 있는 경관 겸용 녹비작물은 크림손클로버, 메밀, 황화초, 파셀리아, 꽃양귀비, 수레국화 등이 대표적인 녹비작물로 재배되고 있다.

또 다른 녹비작물의 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지구를 살리기 위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대한 녹비작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좋은 녹비작물은 생육이 왕성하고 재배가 쉬워야 하며, 뿌리가 깊어 땅 속의 양분을 잘 활용하여야 하고 또한, 양분함량이 풍부하여 화학비료를 가능한 많이 대체할 수 있고, 줄기나 잎이 부드러워 토양 중에서 분해가 빨라야합니다.

둘째 비료 그 이상의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녹비작물은 기본적으로 천연비료로서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도 농업생태계 보호와 생물다양성 증진, 도시민에게 아름다움과 여유를 제공하는 농촌경관 조성, 토양유실 예방과 염류제거, 수자원 보호, 미세먼지 제거 등 공기정화,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높아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저감, 그리고 부수적으로 친환경농산물 인증, 밀원(꿀벌 생산에 필요한 식물)식물로 이용, 종자생산 등에 따른 농가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유기농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헤어리베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헤어리베치는 두과작물로 공기중의 질소를 고정해 작물에 필요한 질소비료를 공급하며 잡초 억제효과가 좋아 피복작물로도 활용하고 있다. 헤어리베치는 9월 상순에서 10월 상순 사이에 파종하여 다음해 6월까지 생육하는데 그 이후에

크게보기
크롬숀크로버.

크롬숀크로버 하고현상(여름에 풀이 죽는 현상)이 일어나 일생을 마감한다. 이 헤어리베치 2,000~2,500kg을 베어 토양에 넣으면 질소 20.2, 인산 5.5, 가리14.3kg/10a 함유하고 있어 인산질 비료만 조금 보충하면 화학비료를 하지 않고도 유기농업을 실천할 수 있는 천연비료라 생각하면 되겠다.



우리가 어렸을 때 자주 봐왔던 자운영은 화학비료가 없던 시절의 대표적인 비료를 공급할 수 있는 녹비작물이었다. 자운영도 두과작물로서 공기중의 질소를 고정해 10a당 15kg의 질소를 공급할 수 있어 수천년 전부터 아시아 지역에서 녹비작물로 흙과 혼합하여 거름을 만들어 썼다.



이렇게 유기농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녹비작물의 기능성은 다양하다. 수단그라스, 네마장황 등은 토양선충을 방제하는 효과가 탁월해 하우스 재배농가들이 선호하고 있으며, 헤어리베치, 호맥 등은 잡초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자운영, 크롬숀크로버 등은 밀원식물 및 경관조성으로 녹비작물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면 화학비료,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유기농업을 실천할 수 있다.



녹비작물이 흙을 살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녹비작물은 유기물(짚, 산야초, 분뇨 등)이 주성분으로 흙 속에서 천천히 분해되면서 토양내 유기물 함량을 높인다. 흙(토양) 속에 녹비작물은 넣고 갈거나 잘게 부수면 분해과정에서 흙 입자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통기성(通氣性)과 보수성(保守性)을 향상시키며, 또한 퇴비를 분해하는데 관여하는 미생물들이 많아지면서 토양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기능을 하게 된다.



2000년대 이후 국민들의 소득이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healing, wellbeing 등 소비 트랜드 열풍과 맞물리면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최근에는 곡물, 채소, 과일 중심에서 가공식품, 산업소재까지 확장되고 있어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한 녹비작물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가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유기농법과 연계한 녹비작물의 효과와 이용연구를 통해 자연순환 농업 실천, 생물다양성 유지를 추구해 나가고 있고 개도국에서도 화학비료를 대체하고, 토양침식을 방지하며, 잡초의 과대한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차원에서 녹비작물의 연구와 현장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다.



유기농업의 실천 차원에서 또 환경보전 및 농가경영비 절감 등의 목적으로 녹비작물을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할 수 있어 탄소거래제 시행에 기여할 수 있으며, 토양, 수질보호 및 농업생태계 보호 등 1석 3조 이상의 효과가 내재되어 있고, 농가 입장에서는 비료구입 비용절감으로 비료용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완충작용이 가능할 것이다.



지자체 중심으로 보급이 이루워질 경우, 경관자원 확보, 환경보전, 농촌지역의 관광농업화 등 지역경제 활성화 가능성이 매우 높아 행정당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정책을 펼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시에서도 전년에 친환경농업단지에 녹비작물을 심었으나 작년 겨울 이상기온과 잦은 강우로 녹비작물이 겨울에 언 피해를 입은 결과를 초래하여 생육상태가 불량한 곳이 많다. 이렇게 동사피해를 입지 않으려면 행정에서는 파종시기를 앞당겨 9월 중순까지는 파종이 완료되어야 하겠고, 농업인들도 배수구(물빠짐 도랑)을 잘 만들어 습해를 입지 않도록 노력 유기농업 인증면적 확대에 힘을 모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O의 2013년 통계연감  (0) 2013.06.27
세계화 시대 한국의 농업 산업화에 관한 연구  (0) 2013.06.17
팥, 녹두 재배법  (0) 2013.05.30
논 생태계의 보물창고, 둠벙  (0) 2013.05.29
'보농서 역주' 발간  (0) 2013.05.28
728x90

이렇게 사육되는 돼지라면 농민에게도, 돼지에게도, 소비자에게도 참 좋겠다. 



2013년 Growing Green Awards 수상자: '돼지의 교황'으로 알려진 생산자 Russ Kremer 씨. 그는 미주리 주에서 5대째 다각적인 돼지 사육을 실천하며 무항생제 운동을 펼치고 있다. 1989년 자신이 사육하던 돼지에게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죽음 직전까지 갔다가 살아난 경험 이후 관행적인 사육법의 위험성을 깨닫고 곧바로 사육법을 바꾸었다. Russ 씨는 돼지를 자연적으로, 옛날 방식으로 키우기 시작했다. 돼지를 놓아먹이고, 풀을 주고, 약품 없이 말이다. Russ 씨는 52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Ozark Mountain Pork 협동조합을 이끌며, 항생제 없이 건강한 돼지를 수익성 있게 키우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리랑카의 소규모 어민들 이야기  (0) 2013.05.15
어머니 나무  (0) 2013.05.11
코코넛  (0) 2013.04.17
심토파쇄기  (0) 2013.04.09
내일의 닭(1948년)  (0) 2013.04.08
728x90

 미국 식품의약국의 새로운 자료에서는 육류업계의 항생제 사용이 아픈 사람에게 사용하는 양을 추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우리는 우리의 동물, 음식, 스스로의 건강을 유지하길 바란다. 현재 육류업계는 인간에게 처방되는 항생제보다 3.9배를 소비하며, 점점 항생제 내성균으로 가득한 고기를 대량생산하고 있다. 이는 현행 치료법으로 치료했던 질병이 점점 고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 최신 자료를 보면서 퓨 자선신탁(Pew Charitable Trust)은 항생제 사용과 육류업계의 사용량 증가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를 만들었다. 생산자들은 비위생적이고 지나치게 밀집된 상태에서 동물의 건강을 유지하며 빠르게 키우기 위하여 항생제를 사용한다. 그런 밀폐된 공간에서 병원균이 균을 죽이는 약에 적응하며 내성을 개발한다. 현재 이러한 내성균이 점점 많은 사람들에게 퍼지며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퓨 자선신탁에 따르면,

  • 칠면조의 살모넬라균 가운데 약 78%는 적어도 하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박테리아의 절반은 세 가지 이상에 대해 내성이 있다. 이 수치는 2010년 대비 상승한 것이다. 
  • 소매되는 닭 가슴살에서 발견되는 살모넬라균 가운데 약 3/4은 적어도 하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약 12%의 소매되는 닭 가슴살과 칠면조 표본에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었다. 
  • 테트라사이클린(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소매되는 닭의 캄필로박터에서 증가했다. 약 95%의 닭고기 제품이 캄필로박터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박테리아 가운데 약 절반은 테트라사이클린에 내성이 있다. 이는 2002년에서 지난해에 걸쳐 증가한 것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