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庫間/문서자료439 식목실총植木實總 조선 정조 때 서명선徐命善이 왕궁의 식목관련 업무처리를 기술한 책. 5절折 6면面의 소첩小帖이다. 정조 당시의 영의정 서명선이 왕에게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사당인 경모궁景慕宮 안팎에 나무를 심고 관리하는 규정에 관하여 올린 내용으로 ≪식목절목植木節目≫이라고도 부른다. 그것은 책의 표제.. 2008. 5. 15. 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 1415년(태종 15) 태종의 뜻에 따라 원나라의 농서인 ≪농상집요農桑輯要≫에서 양잠에 관한 부분을 번역한 책. 불분권 1책. 우대언右代言 한상덕韓尙德이 이두로 번역하였고, 경상도관찰사인 안등安騰이 주선하여 경주에서 간행하였다. 현재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16세기 중간본의 후쇄본으로 보이는 .. 2008. 5. 15. 양화소록養花小錄 강희안姜希顔이 1474년(성종 5)에 쓴 원예서. 규장각본奎章閣本은 ≪진산세고晉山世稿≫로 4권 1책 중 권4에 수록된 것이며, 국립중앙도서관본은 사본寫本으로서 30매 정도이다. 권두에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정창손鄭昌孫의 서序가 있고, 권말에는 성화 7년(1471) 최호세崔灝勢 발跋, 계사癸巳(1473) .. 2008. 5. 15. 원서방圓薯方 1832년(순조 32) 조성묵趙性默이 편찬한 감자·밀·고구마의 재배, 이용법에 관한 책. 필사본. 1책(18장). ≪원서방≫(7편)에 이어 ≪종감저법種甘藷法≫(4면)이 합본되어 있고, 이어서 ≪종저방種藷方≫(4면)이 한문으로 전사轉寫되어 있다. ≪원서방≫은 감자의 전래경위와 재배, 이용법을 기술하고 있.. 2008. 5. 15. 월여농가月餘農歌 1861년(철종 12) 김형수金逈洙가 역저譯著한 월령식농서月令式農書. 1책 31장. 필사본. 김형수는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를 같은 해에 엮기도 하였다. [구성 및 내용] 이 책은 서문·범례·본문·발문·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범례에서는 11개 항으로 나누어 수록, 내용의 정리방식을 설.. 2008. 5. 15. 육해법陸海法 1834년(순조 34) 최한기崔漢綺가 각종 양수기의 구조양식과 조립방법을 도해, 설명한 책. 2권 1책. [구조 및 내용] 그 구조와 사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인답번차는 중국 한漢나라와 위魏나라의 제도를 모방한 목조 족답식 기계로, 높은 곳에 설치하여 발로 밟아 양수하는 것이다. 수전번차는 족답기와 .. 2008. 5. 15.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반응형